Ⅰ. 서론
반추동물에게 급여하는 조사료는 영양소 공급 외에도 반추위 의 운동, pH 및 미생물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Wanapat et al., 2014). 거세한우 육성기에 조사료를 충분히 섭취해야 반추위가 발달하면서 대사성 질병이 예방되고 성장 능력이 향상된다(Kim, 2006). 또한 양질의 조사료 급여가 한우의 비육 및 도체 특성을 개선하여 고급육 생산을 가 능케 하고, 특히 육성기의 사양성적 및 육질특성을 개선시키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Kim et al., 2007).
반추동물에 있어서 양질의 조사료인 알팔파는 기호성과 건물 섭취량이 양호하고 TDN 및 조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각종 비타 민과 아미노산 조성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반추동물 의 고에너지 및 고단백질 공급원으로 사료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 다(Barros et al., 2019). 또한 알팔파의 품종 및 재배 시기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단백질,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 함량과 소화율이 높은 다년생 두과목초로 알려져 있다(Karayilanli et al., 2016;Lee et al., 2021a;Motsinger, 2021). 알팔파는 반추 위의 발달을 자극하고 소화기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 며(Gao et al., 2023), 육성기에 알팔파 급여 시 반추위 및 근골격 발달을 촉진하여 비육기에 체중 증가 및 지방 축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Oka et al., 1999;Sua´rez et al., 2007).
알팔파는 기온 변화에 대한 적응성이 좋고 가뭄에도 강하여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고 있다(Pordomingo et al., 2021). 그러나 알 팔파의 생육 조건이 국내 토양 환경과 맞지 않아 국내에서 생산 하지 못하고 전량 수입에 의존해 왔다(Kim et al., 2021). 2021년 국내 조사료 자급률은 약 80% 수준이지만, 대부분 볏짚이 차지 하고 있으므로 알팔파와 같은 양질의 조사료에 대한 자급률은 매 우 낮은 상황이다(Lee et al., 2022).
사료 원료의 국제 가격이 상승하는 경우 국내 축산 농가의 수 익성 악화로 이어지기 쉬우며 한우 농가 경영 안정화를 위해 수 입에 의존하는 조사료의 자급률을 높이는 것은 국가적으로도 매 우 중요한 부분이다. 수입에 의존하는 사료의 국제 가격 상승에 따른 국내 축산 농가 경영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 알팔파 품종개발 및 열풍건초 기술 연구가 추진되었 고 국립축산과학원에서는 2023년에 국내에서도 재배가 가능한 알팔파 품종을 개발하고 생산을 시작하였다(Jeong et al., 2024). 따라서 본 연구는 육성기 한우에게 국내에서 열풍건조 기술로 생 산된 알팔파와 수입산 알팔파를 급여하여, 이들이 육성기 한우의 영양적 가치 및 성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 경제성을 평 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Ⅱ. 재료 및 방법
1. 공시동물 및 시험사료
본 연구는 국립축산과학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절차에 따라 수행되었으며(NIAS-2023-0629), 2023년 10월부터 12월까지 2개월간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소재의 국립축산과학 원 한우연구소에서 실행되었다. 시험축은 6개월령 한우 수소 8두 (평균 일령 188.3일, 평균 체중 148.2 ± 22.5kg)를 공시하였고, 수입산 알팔파(1 head/pen)와 국내산 알팔파(1 head/pen) 급여구 로 나누어 각 4두씩 편입하였다.
시험 사료는 1일 2회(오전 08시, 오후 3시) 급여하였으며, 사 료의 화학적 조성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알팔파는 수입산의 경우 시중에서 유통되는 건초를 이용하였고, 국내산의 경우 국립 축산과학원 초지사료과에서 생산된 열풍 건초를 이용하였다. 국 내산 알팔파의 수확시기는 개화기이며 재배 현장에서 수분 50% 수준으로 건조 후 열풍건초 생산 시스템(온도 약 80℃, 통과시간 10∼15분)을 적용하여 생산되었다. 물은 항상 자유롭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타 사양관리는 시험 목장의 방식에 따라 실 시되었다. 건물량(DM, dry matter), 조단백질(CP, crude protein), 비구조탄수화물(NFC, non-fiber carbohydrates), 조섬유(CF, crude fiber), 조지방(EE, ether extract), 회분(Ash), 칼슘(Ca) 및 인(P) 과 같은 일반성분은 AOAC (2005)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분석 하였다. 중성세제불용성섬유(NDF, neutral detergent fiber)와 산 성세제불용성섬유(ADF, acid detergent fiber)함량은 Van Soest (1991)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소화영양소총량(TDN, total digestible nutrient)은 NRC (2001)에서 제시된 계산식을 이 용하여 도출하였다.
2. 사양 성적
체중과 체위 측정은 시험 개시일과 종료일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의 국가단위 검정체계 내 평가형질 중 체척 형질 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Lee et al., 2021b), 체척 자를 이용하여 체고(WH, wither height), 십자부고(HH, hip height), 체장(BL, body length), 흉심(CD, chest depth), 흉폭(CW, chest width), 요각폭(RW, rump width), 곤폭(PW, pelvic width), (HB, hipbone width), 고장(RL, rump length), 흉위(CG, chest girth)를 측정하였다.
일당증체량(ADG, average daily gain)은 시험 기간 중 증가한 체중을 실험 일수로 나누어 산출하였다. 사료섭취량(DMI, dry matter intake)은 오전 사료를 급여하기 전에 측정한 잔량을 전날 급여한 사료량에서 차감하여 산출하였으며, 사료요구율(FCR, feed conversion ratio)은 일일 사료섭취량에서 일당증체량을 나 누어 산출하였다.
3. 혈중대사물질 분석
혈액은 체중 측정 시 경정맥에서 약 10mL 채혈하였으며, 헤 파린이 첨가되지 않은 진공 튜브(BD Vacutainer)에 담아 4℃에 서 6∼8시간 정치 후 3,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분리한 혈청은 –70℃에서 보관하였다가 생화학 분석기(7020 Automatic Analyzer,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혈중 대사물질 을 분석하였다.
4. 사료비용 비교 분석
시험축 8두의 개체별 건물 섭취량과, 구입 당시의 사료 유통 가격을 기준으로 육성기 한우에게 투입된 사료비용을 시험구별로 산출하여 비교하였다. 시험에 이용된 당시의 사료 가격은 배합사 료 992원/kg, 톨페스큐 532원/kg, 국내산 알팔파 494원/kg, 수입 산 알팔파 850원/kg이다. 배합사료와 톨페스큐는 실제 구입 가격 이며, 국내산 알팔파의 가격은 국립축산과학원에서 알팔파를 재 배하고 건조하는 과정에서 투입된 생산비용과 이윤을 고려하여 추정한 유통가이다. 국내산 알팔파 건초 1kg 생산에 드는 총비용 은 풀사료 원료비 279.3원, 감가상각비 4.7원, 연료비(LPG, 전기) 117원, 인건비 35.7원, 원형 포장 5원, 유지관리비 3.5원, 자본이 자 3.5원을 합친 448.7원이며, 10% 수준의 이윤 44.9원을 가산하 여 산출하였다. 수입산 알팔파의 가격은 농협경제지주에서 2023 년 3월에 844∼880원/kg이라고 발표한 유통 가격에 근거하였다.
5. 통계처리
본 시험 조사 결과 얻어진 자료는 SPSS 26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cience, USA)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처리구 간 95%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T-검정을 진행하였다 (p<0.05).
Ⅲ. 결과 및 고찰
1. 체중, 체위, 사료섭취량 측정 및 사료요구율 분석
국내산 및 수입산 알팔파 건초 급여가 육성기 한우 사양 성적 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분석 결과는 Table 2과 Table 3에 제시 하였다. 수입산 대비 국내산 알팔파를 급여한 시험구에서 일당증 체량, 건물섭취량, 사료요구율 및 체위 성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료의 영양적 가치는 반추동물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 며, 섭취량에 따라 소화되는 영양소의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 료 섭취량은 반추동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Paek et al., 2005;Albertí et al., 2008). 또한 사료섭취량이 많아지면 체중이 더 많이 증가하며, 이는 체형 성장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Herd et al., 2004).
사료의 영양적 가치는 반추동물의 성장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 며, 섭취량에 따라 소화되는 영양소의 수준이 달라지기 때문에 사 료 섭취량은 반추동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Paek et al., 2005;Albertí et al., 2008). 또한 사료섭취량이 많아지면 체중이 더 많이 증가하며, 이는 체형 성장과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Herd et al., 2004).
사료의 TDN 수준은 송아지와 육성우 시기뿐만 아니라 추후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ll et al., 2013). 사료 단백질은 반추위 미생물의 성장에 필수적이며, 반추동물의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단백질 및 사료섭취량을 증가시키면 일당증체량이 향상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Huntington et al., 2001;Jeon et al., 2021).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과 수입산 알팔파의 TDN 및 조단백질 수준이 비슷하였으며(Table 1), 사료 섭취량에서도 유의적인 차 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따라서 시험구 간 비슷한 영양소 수준을 섭취하여 사양 성적 또한 유사하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 다(Jeong et al., 2010, Ahn et al., 2019;Jeon et al., 2021).
2. 혈중대사물질
혈중대사물질은 가축의 대사 생리와 관련된 항상성 상태를 나 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연구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Kwon et al., 2005;Lee et al., 2016). 국내산 및 수입산 알팔파 급여에 따른 육성기 한우의 혈중대사물질 분석 결과는 Table 4에 제시하였다. 시험 종료 시 혈중 IP 농도는 대조구(9.18 mg/dL)에 비해 처리구 (8.60 mg/dL)에서 낮게 나타났다(p<0.05). 다른 대사물질 항목에 서는 유의적인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 IP는 골격 구성, 체내 pH 균형 등에 관여하는 미량원소이 며(Soetan et al., 2010), 사료의 인 함유량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다(NRC, 2001). 알팔파 내 인의 함량은 수입산(0.17%)보다 국내산(0.19%)이 더 높았으나, 체내 이용성 및 흡수율은 개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혈중 인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차이는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혈중 IP 농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섭취량 및 알팔파의 영양성분에서 유의미한 차 이가 없었기 때문에 육성기 한우의 혈중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 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3. 사료비에 의한 경제성
하루에 투입된 두당 사료비용은 시험 당시의 유통 가격과 실제 섭취량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섭취량에 따른 사료비용은 Table 5와 같다. 총 사료비용은 처리구는 4,560원, 대조구 5,133원으로 국내산 알팔파 급여 시 약 11% 절감되었으며(P=0.055), 알팔파 만 산출하는 경우 처리구는 807원, 대조구 1,393원으로 약 42% 절감되었다(p<0.05). 본 연구에서 알팔파의 원산지 외에 톨페스 큐 및 배합사료는 동일한 조건으로 급여하였으며 시험구 간 사료 섭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산과 수입 산 알팔파의 유통 가격에 의한 비용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 된다.
결론적으로 수입산 알팔파를 국내산으로 대체하여 6∼7개월령 육성기 한우에게 급여하였을 때 사료섭취량 및 성장특성에 큰 차 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국내산 알 팔파를 활용하는 경우 비용 절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환율, 운송비, 국제 정세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수입 가격에 대한 변동성은 존재할 것이며, 국내산 조사료의 보급 기반을 마련 하려는 노력을 통해 수입 가격의 높은 변동성과 낮은 조사료 자 급률 문제를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육성기 중 2달간 진행된 단기 연구로서, 한우 육성기 거세우를 대상으로 급여하여 도축 후 도체 특성까지 비교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Ⅳ. 요약
본 시험은 수입에 의존하던 사료작물 중 하나인 알팔파의 국내 재배 및 생산이 가능해짐에 따라 육성기 한우에 급여 시 영양적 가치와 성장특성을 구명하고 경제성을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국내산 또는 수입산 알팔파 급여에 따른 6∼7개월령 육성기 한우의 체중, 체고, 십자부고 등 성장특성에 대한 조사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중 대사물질에서는 유일 하게 IP 에서 유의적인 수치 변화가 관측되었지만 모두 정상 범 위 수준 내에 있었다. 본 연구의 조사는 단기간에 그쳤지만 수입 산 대비 국내산 알팔파의 사료비 절감 가능성을 보였으며, 육성기 한우에게 장기간 급여하고 도체특성까지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