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최근 국내 축산농가에서 양질 풀사료 생산의 중요성이 높아지 면서 건물수량(Dry matter yield; DMY)와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수량이 높고 기호성까지 높은 사일리지용 옥수수(whole crop corn; WCC; Zea Mays L.)의 재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Kim et al., 2020). 그러나 최근 이상고온, 이상저온 및 이상다우 등과 같은 이상기상이 빈번해 짐에 따라(Shim et al., 2018) 안정 적인 WCC 재배가 어려워지고 있다.
이상기상에 따른 WCC의 피해량 산출연구는 Jo et al.(2021) 및 Kim et al. (2022a)이 기계학습모델에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WMO)기준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기존의 WMO 방식을 적용한 이상기상의 조건은 산술적으로 변동값(기온 및 강 수량의 표준편차± 2배)을 이용한 것이다. 이 방법은 실제 기상변 화를 반영하기 보다는 단순히 기상의 극단값을 만드는 것이므로 현재 기상에서 나오기 어려운 비현실적인 이상기상 데이터가 생 성될 수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이 상기상 피해량 산정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실제로 발생할 수 있는 이상기상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는 Kim et al. (2022a)는 이상기상 연구 시 WMO 방법을 비교·평가하기 위해 다른 방법을 설정할 필요하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었다.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서 제시 한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저감 정도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2.6(지 구자정 가능), 4.5, 6.5 및 8.5(온실가스 저감정책 없음)로 4가지 시나리오가 있다(NIMR, 2011).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시 나리오)는 변화하고 있는 온실가스를 고려하기 때문에 WMO 방 식보다는 이상기상을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NIHHS(2014)에서 제시한 RCP 시나리오는 각 지역의 월별 평균 기온 및 강수량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어 WMO의 방법보다 이상기상 에 따른 피해량을 보다 세밀하게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험은 RCP 시나리오를 고려한 이상기상을 적용한 WCC 피해량을 제시하기 위해서 기계학습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예측된 피해량을 전자지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RCP 시나리오는 온실가스저감 정책이 진행된 RCP 4.5 시나리오를 고 려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데이터 수집 및 가공
WCC의 데이터 수집은 1978년부터 2017년까지였으며 수집된 WCC 데이터는 농협중앙회의 목초 및 사료작물 품종수입적응성 시험인증품종자료(n=1,219), 국립축산과학원 시험연구보고서 (n=1,294), 한국축산학회지(n=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n=707) 및 학위논문(n=4)에서 총 3,232점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항목은 재배지역, 파종일, 수확일 및 DMY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 구에 이용한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KMA, Weather Data Service-Open MET data portal)에서 우리나라 전체 종관기상대(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102개소)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Table 1). 기상데이터의 수집은 WCC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지점의 1978년부터 2017년까지의 40년 간의 자료이며, 매년 1월부터 12월까지 시간단위로 수집하 였다. 수량예측모델 구축을 위해서 사용한 기상데이터는 전체 102개 종관기상대 데이터 중 시간단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2개 기상대(대구(기) 및 강진군)와 1978년부터 2017년까지의 연 도별 데이터가 5개 이하인 5개 기상대(관악산, 무안, 북춘천, 세 종 및 홍성)을 제외한 95개 기상대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WCC 재배지역 중 종관기상대가 없는 광산, 광주, 김제, 군위, 경산, 당 진, 서천, 성주, 성환, 아산, 안성, 이리, 의정부, 여주, 영암, 유성, 진부, 칠곡, 평창 및 화성 총 20개 지점은 가장 가까운 종관기상 대의 데이터를 적용하였다(Table 2).
RCP 4.5 데이터는 농촌진흥청의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발 행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시군별 농업용 미래상세기후정보(NIHHS, 2014)에서 수집하였다. 한편 RCP 4.5 데이터에서는 광역시 단위 의 자료는 제공하지 않아 9개 지역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하여 총 86개 지역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RCP 4.5 데이터의 조사항목 은 시군별·월평균기온, 최고기온, 최저기온 및 월강수량을 수집하 였다. 월평균온도와 월강수량은 ASOS의 기상데이터에서 시간 단위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나 RCP 4.5 데이터는 월평균온도와 월 강수량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RCP 4.5 데이터는 기상 데이 터와 온도 및 강수량 단위를 매칭하기 위해 월평균온도와 월강수 량을 시간단위로 환산하는 과정을 거쳤다.
기상 데이터는 WCC의 생육기간을 고려하여 4월 1일부터 10 월 31일까지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기상요인은 기온 및 강수량이었다. 기상요인의 결측값은 해당 시간의 전·후 시간 측정 값의 평균을 입력하는 것으로 보완하였다.
2. 수량예측모델 제작
수량예측모델은 수집 후 가공한 WCC 및 기상 데이터를 기반 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제작되었다. 수량예측모델은 WCC의 생육 기간 및 재배지역에 따른 기상 조건의 DMY를 학습하였으며 특 정 기상 조건 하에서 DMY 예측값을 산출하였다. 수량예측모델 제작에 이용한 기계학습 기법은 Linear, Factorization Model (FM), Deep, DeepCrossing, Wide&Deep, DeepFM, Compressed Interaction Network (CIN) 및 xDeepFM으로 총 8가지였다. 본 연구에서 피해량 산출을 위하여 기계학습 기법으로 제작된 수량 예측모델의 선정은 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값이 가장 높 고 평균 제곱근 오차 (root mean square error, RMSE)값이 가장 낮은 것을 선택하였다.
기상 데이터는 이상기상에 해당하는 데이터 수를 증가시켜 정 상기상에 해당하는 데이터의 수와 유사한 수준으로 맞춘 뒤 수량 예측모델에 학습시켰다. 이상기상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RCP 4.5 시나리오에서 제시한 지역별 기상자료를 이용하였다. 기계학 습을 통한 수량예측모델 제작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Python 및 Tensorflow였다.
3. 이상기상 피해량 산정
지점별 정상기상은 WCC 데이터 수집 연도(1978~2017년)에 해당하는 연도별 기상 데이터의 평균(40년 평균)으로 설정하였 다. 이상기상은 각 지점의 정상기상에서 기상요인(시간당 평균기 온 및 강수량)에 변동을 주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이상기상의 변 동값은 IPCC의 RCP 4.5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050년과 2100년 의 미래기상과 2020년 현재 기상 간의 차이로 정하였다.
Abnormal climate = Normal climate + Variation
여기서, Variation은 2050 및 2100년의 기상자료에서 2020년 의 기상자료를 뺀 값이다.
이상기상에 따른 DMY 피해량(Damage)은 종관기상대 지점별 정상기상 및 이상기상을 이용하여 수량예측모델로 정상기상의 DMY 예측값(DMYnormal)과 이상기상의 DMY 예측값(DMYabnormal) 간 차이를 통해 산출하였다. 피해량 산출 과정은 아래의 식과 같다.
Damage = DMYnormal - DMYabnormal
4. 이상기상 피해량 전자지도 제시
이상기상 피해량 전자지도는 QGIS (quantum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를 이용하여 작성하였으며 종관기상대가 설 치된 지역을 행정구역 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피해량 산정 지점 중 행정구역이 중복되는 지역은 시청 및 군청에 가까운 지역을 적용하였다. 이 과정에서 고산, 고창군, 북강릉, 북창원, 성산, 성 산포, 주암 및 첨찰산은 각각 제주, 고창, 강릉, 창원, 서귀포, 서 귀포, 순천 및 진도군과 행정구역이 중복되어 전자지도 작성에서 제외하였다. 전자지도에서 제외한 지역은 RCP 4.5 시나리오에서 제시한 지역명과 동일하지 않아 제외한 곳이다. 따라서 최종적으 로 이상기상 피해량 전자지도를 작성한 지역은 78 지역이었다.
피해량은 수준에 따라 5계급으로 나누었으며, 피해량이 많을 수록 짙은 색으로 나타내었다. 전자지도에 나타낼 WCC 피해량 의 계급은 –5 미만~-3 이상, -3 미만~-1 이상, -1 미만~1 이상, 1 미만~3 이상 및 3 미만~5 이상 %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WCC의 DMY 예측값
8가지 기계학습 기법에 따른 WCC 수량예측모델의 R2 및 RMSE값은 각각 0.4534~0.5442 및 0.1769~0.1938 범위였다 (Table 3). 본 연구에서 기계학습을 통한 WCC의 수량예측모델 은 R2값이 0.5442로 가장 높고 RMSE값이 0.1769로 가장 낮은 DeepCrossing을 선정하였다. DeepCrossing을 통한 수량예측모 델로 산출한 정상기상에서 WCC의 DMYnormal은 지점에 따라 차 이가 있었으며, 13,845~19,347 (평균 16,492 kg/ha) kg/ha 범위 였다(Table 4).
DeepCrossing을 통한 수량예측모델로 산정한 이상기온 2050 년과 2100년에서 WCC의 DMYabnormal은 지점과 수준에 따라 차 이가 있었으며 각각 13,974~19,528 (평균 16,583 kg/ha) 및 14,208~19,776 (16,809 kg/ha) kg/ha 범위였다. 이상기온과 마찬 가지로 이상강수량 2050년과 2100년에서 WCC의 DMYabnormal은 각각 13,849~19,356 (평균 16,470 kg/ha) 및 13,843~19,349 (평 균 16,464 kg/ha) kg/ha의 범위였다.
2.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WCC의 피해량
2050년 및 2100년의 이상기온에 따른 WCC의 피해량은 각각 -263~360 및-1,023~92 kg/ha 범위였다(Table 5). 이상기온에 따 른 최대피해량은 2050 및 2100년 모두 삼척지점이었으며, 오히 려 DMY가 최대로 증가한 지점은 2050년과 2100년 각각 제천과 철원지점으로 나타났다. 이상기온으로 인해서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서 WCC의 피해량이 발생하지 않고 DMY가 증가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 2050년 및 2100년의 이상강수량에 따른 WCC의 피해량 은 각각 -17~-2 및-12~2 kg/ha 범위였다(Table 6). 이상강수량은 2050년에서 모두 DMY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00년 에는 일부 지점(의령, 울릉도, 진도, 창원, 통영, 해남)에서 피해량 이 나타났으나 나머지 지점은 DMY가 증가하였다.
또한 이상기상에 따른 최대 피해량은 이상기온 2050년도의 삼척지역이 360 kg/ha 이었다. 이 피해량의 비율은 삼척지점의 DMYnormal (15,069 kg/ha)의 2.4 %에 해당하였다. 이 비율은 타 연구의 이상기상에 따른 피해량에 비해 적은 수준이다(Kim et al., 2019;Kim and Sung, 2021;Kim et al., 2022b).
사일리지용 옥수수는 이상기상 실태조사의 세부기준 및 기후 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기준을 설정에 관한 내용은 전무하였다 (Park and Chung, 2015). 본 연구의 결과는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이상기상 실태조사의 세부기준 및 기후변화 영향·취약성 평가 기 준설정 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WCC의 피해량 전자지도
전자지도는 WCC의 DMYnormal (Fig. 1)과 RCP 4.5 시나리오 를 적용한 이상기상과 그 수준에 따른 피해량(Fig. 2)을 시각적으 로 나타내기 위해 제시하였다. 각 지역의 기상요인별 WCC의 피 해량은 DMYnormal에 대한 비율로 환산한 결과 WCC 피해량의 비 율은 –5.98~2.39%의 범위에 있었다.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WCC의 피해량은 이상기온 및 이 상강수량 모두 지역과 이상기상에 따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기상에 따른 WCC 피해량 전자지도는 수치화 되어 있는 피해량을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User에게 WCC의 피해량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DeepCrossing 기반의 수량예측모델로 산 정한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WCC의 최대 피해량의 360 kg/ha (2.39%, 2050년도 이상기온) 이었다. 또한 이상기온으로 기온이 증가함에 따라서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DMY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WCC의 피해량은 ASOS의 기상데이터가 있는 행정구역을 전자지도로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본 연구에서 이상기상에 따른 WCC 피해량이 유 의미한 피해 수준인지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저감되었을 경우를 가정한 RCP 4.5 시나 리오에서 수행하였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온실가스배출의 저감이 없는 경우를 산정한 수준(RCP 6.0 또는 8.5)을 고려한 연구가 필 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Ⅳ. 요약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제작한 수량예측모델을 이용 하여 PCR 4.5 시나리오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WCC)의 피 해량 산정 및 전자지도를 작성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WCC 데 이터는 수입적응성 시험보고서(n=1,219), 국립축산과학원 시험연 구보고서(n=1,294), 한국축산학회지(n=8),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n=707) 및 학위논문(n=4)에서 총 3,232점을 수집하였으며, 기상 데이터는 기상청의 기상자료개방포털에서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 서 이상기상에 따른 WCC의 피해량은 RCP 4.5 시나리오에 따른 월평균기온 및 강수량을 시간단위로 환산하여 준용하여 산정하였 다. 정상기상에서 DMY 예측값은 13,845~19,347 kg/ha 범위로 나타났다. 이상기상에 따른 피해량은 이상기온 2050 및 2100년 각각 -263~360 및-1,023~92 kg/ha, 이상강수량 2050 및 2100년 각각 -17~-2 및-12~2 kg/ha였다. 월평균기온이 증가함에 따라서 WCC의 DMY는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RCP 4.5 시나리 오를 통해 산정한 WCC의 피해량은 QGIS를 이용하여 전자지도 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이 진행된 시나리오를 이 용했지만, 추가 연구는 온실가스 저감이 되지 않은 RCP 시나리 오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