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국내 조사료 재배면적은 최근 10년간 꾸준히 증가하여 2020년 기준 134천ha로 2011년 대비 23%증가하였지만 소 사육두수 증 가와 수입조사료 선호현상 등 시장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국내 조사료 자급률은 80%대에 머물러 있다(MAFRA, 2021). 국내산 조사료는 원형 곤포 사일리지 그리고 수입산 조사료는 장기보관 및 유통에 적합한 사각 건초 형태로 유통되며 국내산 조사료의 경우 가격은 낮으나 수확시기 환경에 따라 수분함량이 다르고 이 물질 혼입 등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Park et al., 2019;Kim et al., 2020;Lee et al., 2020). 또한, 2024년 한국과 캐나다를 시작으로 2026년 한국과 미국, 2028년 한국과 호주의 조사료 수입자유화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산 조사료의 경 쟁력강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조사료 산업의 확대를 위해서는 사일리지 중심에서 축산농가가 선호하는 수분 20%이 하의 건초와 수분 40~50%인 헤일리지(Gordon et al., 1961) 등 저장 조사료의 품목 다양화가 필요하다(MAFRA, 2021).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6년부터 국 내산 조사료의 품질검사 및 등급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MAFRA, 2019). 이러한 노력으로 국내산 조사료는 과거 고수분 사일리지 가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저수분 저장조사료 형태인 헤일리 지 또는 건초 위주로 바뀌는 추세이다. 현장에서는 양질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 이전에는 호밀 등을 재배하여왔지만 사료가치가 높고 저수분 조사료 제조에 유리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를 선호 하면서 재배면적이 크게 늘었고 최근에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의 조사료 산업으로 전환되고 있다(Choi et al., 2018b). 하지 만 국내 조사료 생산 여건상 논을 이용한 답리작 재배가 주를 이 루고 있고 수확 시 강우 등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건초 생산이 어 려운 실정이다(Seo et al., 1998).
사일리지 중심의 국내 조사료 생산 환경에서 수분함량이 높은 원형곤포 사일리지는 저장기간 동안 외부 환경에 노출되기 쉽기 때문에 곰팡이 오염 등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축의 기호성이 떨어지고 섭취량도 감소 할 수 있으며, 가축의 생산성 저하 등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되었다(Choi et al., 2017;Sung et al., 2011). 또한 TMR공장에서는 수분함량에 균 일한 건초 등을 선호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생산 여건상 건 초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많은 경우 비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강 우일수 증가로 인한 조사료의 가소화 영양분과 상대사료가치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시간 단축이 필요하며 건조시간 단 축을 위하여 반전기, 컨디셔너 등의 활용이 필요하다(Kim et al., 2016;Park et al., 2016).
국내산 조사료의 품질 개선 연구는 주로 초종 또는 수분함량에 따른 사일리지 저장 특성 구명, 젖산균 첨가제를 통한 저장성 향 상기술 개발, 사일리지 급여 시험 등이 주를 이루었다(Kang et al., 1999;Kim et al,. 1996;Kim et al., 2001;Kim et al., 2008;Moon et al., 2009;Song et al., 2009;Choi et al., 2014). 최근에 는 그 추세가 근적외선분광법 등을 이용한 조사료 품질평가기술, 안정적인 건초 제조 방법, 헤일리지 및 펠릿 제조기술 연구 등 조 사료 품목 다양화 및 품질 규격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Park et al., 2015;Moon et al., 2016;Park et al., 2019;Kim et al., 2020;Lee et al., 2020;Lee et al., 2021). 이러한 최근 연구 트렌 드 변화는 국내 축산 농가의 조사료 선호도와 무관하지 않다.
앞으로 축산 농가가 선호하는 건초 등 저수분 조사료 중심의 생산체계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국내 생산 환경에 적합한 안정적 인 건초 생산기술이 개발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산 조사료의 이용 실태 및 수입 조사료 대비 국내 조사료에 대한 인식, 품질 경쟁력 등을 점검하여 향후 국내 조사료 자급률 확대를 위해 품질 개선 방안 및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 를 추진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조사대상 및 대상 특성
전국 축산 농가(한우)를 대상으로 모바일, 전화, e-mail을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 인원은 한우농가 220명으로 하 였다. 조사항목은 응답자 특성분석을 위하여 연령(40대 이하, 50 대, 60대 이상), 축산업 종사기간(10년 미만, 10∼20년 미만, 20년 이상), 사육규모(한우 번식우, 한우 비육우), 지역을 조사하였다.
인식조사 결과 한우사육농가의 평균 사육 두수는 35두로 조사 되었다. 한우 농가는 50두 미만이 80.5%로 구성되어있다. 평균연 령은 한우의 경우 60대 이상이 45.4%로 고령의 비율이 높았다. 운영기간은 한우농가에서 20년 이상의 비중이 높았다. 지역별로 보면 한우농가는 주로 경상지역 비중(36.4%)이 높았다(Table 1.).
2. 조사항목 설정
국내산 조사료 인식조사 변수는 조사료 전문가 집단(10명)을 활용하여 선정하였다. 한우 농가는 월 조사료 소비량, 조사료 조 달방법, 국내산과 수입산 조사료 비율, 구입가격, 수입산 조사료 초종별 사용 비중과 선호도, TMR사용 유무, 볏짚 사용이유, 향후 농가 사용 조사료 형태(건초, 펠릿, 사일리지, 헤일리지, TMR), 건초 구입 조사료 가공 형태(원형 곤포, 사각 곤포), 국내산 조사 료 선호도, 국내산 조사료 사용 이유, 국내산 조사료 미사용 이유, 수입산 조사료 사용이유, 수입산 조사료 미사용 이유, 조사료 구 입 시 고려요인, 수입 조사료 만족도, 국내산 조사료 향후 사용 의향으로 구성하였다.
3. 통계분석방법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분석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조사료 사 용 비중, 가축두수, 조사료 사용률 등 일반적인 사항은 백분율 또 는 빈도수로 산출하였다. 국내산 및 수입산 조사료 선호도, 국내 산 및 수입산 조사료 선호/비선호 요인, 조사료 구입 시 중요 고 려요인, 국내산 및 수입산 조사료 전반적 만족도, 국내산 조사료 경쟁력에 관한 사항은 7점 척도를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국내산 조사료 우선 개선 요인은 평가항목의 기대치 대비 달성 정도를 기준으로 중요도 인식 대비 불만족자 비율을 분석해 향후 추진 방향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방법인 Matrix기법을 적용하 였고 세로축은 불만족 강도, 가로축은 불만족자 수로 나타내었다.
Ⅲ. 결과 및 고찰
1. 한우농가의 조사료 사용 현황
국내 조사료 소비 비율은 70.5%, 수입 조사료는 29.5%로 국 내산 조사료 소비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Table 2).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내산 조사료 소비 비율은 전라지역(JL) 농가에서 79.3%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수입산 조사료는 수도권 지 역(SIG)에서 36.7%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라지역에서 국내산 소비 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국내 조사료 전체 면적 중 61%가 전라지역(JL)에 집중되어 있는 지역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Choi et al., 2018a;KOSTAT, 2021).
조사료 구입가격에 대한 조사결과 2020년 기준 국내산 조사료 는 1롤(400kg원물 기준) 당 58,466원이었고 수입산 조사료는 1kg 당 482원으로 나타났다(Fig. 1). 국내산 조사료 1롤(수분함량 50 %, 400 kg)을 건초(수분 함량 15 %) kg으로 환산하면 kg 당 248원으로 수입 조사료 482원 대비 48.5%낮은 가격으로 산정된 다. Kim et al. (2021)은 국내산 조사료는 수입산에 비해 최대 kg 당 171원 저렴하며 국내산 조사료 섭취시 두당 연간 약 17만원 사료비 절감 가능할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다른 연구에서도 국내 산 조사료 활용으로 가축 경영비를 낮출 수 있다고 하였다(Choi et al., 2018c;Park et al., 2003;Kim et al., 2020).
한우 농가에서 조사료 형태 중 볏짚을 절반(50.5%)의 비율로 가장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국내산 건초 15%, 수입산 건초 12.5%, TMR 10.7% 순으로 나타났다. 사육 유형별로는 일괄사육보다 비육농가에서 볏짚 사용률이 높았고 IRG 건초 및 TMR은 일괄사육농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볏짚 사용률은 충청ㆍ강원(GS)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상대적으 로 서울ㆍ인천ㆍ경기(SIG)지역에서 낮게 나타났다. IRG건초는 전 라(JL)지역에서 높게 나타났고 경상(GS)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 게 나타났다(Table 3). 볏짚 소비가 많은 이유는 국내에서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섬유소원이고 또한 비육기 육질등급 향상을 위하여 볏짚을 주로 이용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최근 고급육 생산을 위해서 한우 육성기에 볏짚이용보다는 양질 의 목건초를 활용하는 것이 도체 등급 및 일당 증체량에 유리하 게 작용한다는 여러 보고가 있으며 한우 농가에서 건초사용이 증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Cho et al., 2009;Kim et al., 2006).
2. 한우농가의 조사료 인식 및 태도
집단별 조사료 구입시 중요 고려 요인에서 사육 유형별로 보면 한우 번식우(reproductive)에서 가격(price),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이물질 혼입(foreign matter), 영양가(Feed value). 구입 용이성(convenience to buy)에 대한 중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 게 나타난 반면, 일괄사율(BR)농가에서는 포장형태(bailing types), 보관 및 운반 편리성(convenience of storage and carrying), 급이 용이성(convenience to feed), 물량 공급안정성(stable supply of forage)에 대한 중요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규모별로 보면 사육규모가 50∼100두 규모 농가는 조사료 중요성 인식이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00두 이상은 수분함량(moisture content)과 물량공급의 안정성(stable supply of forage)에 대한 중 요성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Table 5).
국내산와 수입산 조사료의 만족도 분석 결과는 Fig. 2에 제시 하였다. 국내산 조사료의 가격(price) 경쟁력은 수입산 조사료(3.6 점) 대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이물질 혼입(foreign matter) 그리고 영양가치(feed value) 등 품질 관련된 요소와 사용 편의성 부분은 수입 조사료 대비 낮게 나타 났다.
향후 한우농가의 국내산 조사료 만족도 제고를 위해서는 이물 질 혼입(foreign matter)에 대한 최우선 개선과 함께 수분함량 (moisture content), 가격(price), 영양가(feed value), 구입 용이성 (convenience to buy), 급이 용이성(convenience to feed)에 대한 개선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Fig. 3). 가축의 생산성을 위해서 조 사료의 품질은 매우 중요하며 수분함량, 섬유소함량, 소화율 등은 반추위 활동에 영향을 크게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평가 요소 이다(Allen, 1996). AFGC (The American Forage and Grassland Council) 에 의하면 수출용 조사료 품질을 이야기 할 때 이물질(Foreign matter) 의 함유량을 2% 이내로 제한하고 있으며(Coppock, 1997), 이물 질로 인하여 가축 질병과 저장조사료의 오염을 야기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조사료 품질평가에서 돌, 흙, 막대, 줄, 뼈 등의 이물질이 혼입되었을 경우 외관검사를 통하여 평가하 여 이입을 최소화 하고 있다(Ball et al., 2001). 이처럼 국외에서 도 조사료 품질 평가 시 수분함량과 이물질 혼입 등을 중요한 요 소로 설정하여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한우 농가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중요한 평가요소로 넣는 것이 중요하며 이물질 혼 입 최소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3. 한우 농가 조사료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 분석 및 개선 방향
한우농가의 조사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결과 가 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불균일한 수분함량으로 조사료 만족도 향 상을 위해서는 수분함량(moisture content)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한우농가 대상 수입산 대비 국 내산 조사료 만족도 및 중요도 산출 결과는 가격(price)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국내산 조사료보다 수입산 조사료의 만족도가 대 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수입산 조사료 대비 국내산 조사료의 만 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수분함량(moisture content), 이물질 혼입(foreign matter), 영양가(feed value) 항목은 중점적으로 개 선해야할 요소로 나타났다(Fig. 4)
Ⅳ. 요약
국산 조사료 재배면적은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지만, 국내 산 조사료 자급률은 2010년 이후로 80%내외로 정체가 심화된 상황으로 농가에서는 사용이 편리한 수입산 건초를 선호하고 있 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산 조사료의 이용 실 태 및 수입 조사료 대비 국내 조사료에 대한 인식, 품질 경쟁력 등을 점검하여 향후 국내 조사료 자급률 확대를 위해 품질 개선 방안 및 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추진하였다. 한우 농 가에서는 수입산과 국내산 조사료 비율이 3:7 정도로 국내산 조 사료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조사료 조달 방법은 구입이 55.6%, 자가 재배가 44.4%로 나타났다. 조사료 형태별 사용 비 율은 볏짚 50.5%, 국내산 건초 15%, 수입산 건초 12.5%, TMR 10.7% 순으로 나타났다. 한우농가에서 조사료 구입 시 중요도는 이물질 혼입, 수분, 가격, 사료가치 순이었다. 국내산과 수입산의 만족도 분석 결과에서 국내산 조사료의 가격은 수입산 조사료 대 비 높게 나타난 반면 수분함량, 이물질 혼입 등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수입산 조사료 대비 국내산 조사료 만족도 및 중요도 산출 결과에서 가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수입산 조사료의 만족도 가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한우농가에서 조사료 만족 도 제고를 위해서는 우선 이물질 혼입을 최소화하고 수분함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건초 형태로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