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우리나라는 동계 사료작물 재배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 배면적이 적은 하계 사료작물의 재배면적 확대와 단위면적당 생산성 향상이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MAFRA, 2018). 동계 사료작물과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한 연중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를 운영할 때, 여름철 사료작물로는 사료용 옥 수수와 사료용 수수류가 대표적이지만 가축의 기호성과 사료 가치를 고려하면 사료용 옥수수의 재배면적 확대가 더욱 중 요하게 되었다(NIAS, 2007). 사료용 옥수수는 사료가치와 가 축의 기호성이 매우 높고 단위면적당 최고의 가소화양분을 생산하는 여름철 사료작물로 잘 알려져 있다(Kim, 1991).
근래 조사료 생산현장은 조사료를 전문으로 생산하는 조사 료 경영체가 1,700개 정도 육성되어 있다(MAFRA, 2018). 이 들 조사료 생산 경영체는 양질 조사료를 생산하여 자가소비 를 하거나 한우나 젖소를 키우는 양축농가에게 판매를 함으 로써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조사료 생산과 유통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MAFRA, 2018). 이와 같이 유통 조사료의 소 비자인 양축농가나 TMR 공장에서는 사료가치가 높고 기호 성이 우수한 조사료를 선택 구매함으로써 앞으로 사료용 옥 수수의 가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근래 자주 식 옥수수 원형곤포사일리지용 수확기의 농가보급으로 원형 곤포 옥수수 사일리지 생산이 확대되면서 조사료의 유통량 증가와 함께 사료용 옥수수의 재배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조사료 생산 현장에서 단위면적당 양질조사료 생산성 향상 을 위해서는 동계 사료작물과 하계 사료작물을 연계하여 재 배하는 연중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의 효율적 운영이 필요하 다. 그러나 연중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 운영에 있어서 동계사 료작물의 수확시기가 5월 중순경이기 때문에 하계 사료작물 로 사료용 옥수수의 파종시기는 파종적기인 4월 하순보다 1 개월 정도 늦은 5월 하순에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사료용 옥 수수의 수량 감소를 피할 수 없다(Lee et al., 2007;Son et al., 2009).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사료용 옥수 수를 5월 하순에 파종하였을 때, 수량의 감소가 적은 만파재 배 적응성 품종의 선발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조사료 생산현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사료용 옥수수의 장려품종들을 5월 하순경 파종하고 생육특 성과 수량성을 평가하여 건물수량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은 만파재배 적응성 품종을 선발하고 관련 정보를 조사료 생산 현장에 보급함으로써 단위면적당 양질 조사료 생산성 향상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은 우리나라 중부지역인 충남 천안에서 2017년부 터 2018년까지 수행되었다. 사료용 옥수수 품종은 우리나라 조사료 생산 현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장려품종 중에서 2개의 국내 육성 품종(광평옥, 평안옥)과 10개의 국외 육성 품종 (‘P32P75’, ‘P3394’, ‘P31N27’, ‘P31P41’, ‘P32W86’, ‘P2088’, ‘P1921’, ‘P1690’, ‘P1543’, ‘Nero IT’)을 선정하였다. 시험지 는 밭 토양으로서 2년 연속 동일포장에서 재배하였다. 2017 년 시험 전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농촌진흥청 토양화학분석 법에 준하여 분석하였으며 (RDA, 1988), 시험지는 밭 토양으 로서 유기물과 유효인산 함량이 풍부한 토양으로서 사료용 옥수수의 생육에 알맞은 토양조건이었다(Table 1). 비료 시용 량은 사료용 옥수수 재배의 표준시비량인 ha당 N-P2O5-K2O를 200-150-150kg로 하였다. 시비방법은 인산 비료와 칼리 비료 는 파종할 때 전량 기비로 시용하였고, 질소 비료는 기비와 추 비로 각각 50%씩 나누어 시용하였다. 시험재배기간의 평균온 도는 평년과 비슷하였다. 강수량은 2017년은 5월과 6월에 평 년보다 73mm 적은 반면 7월과 8월은 평년보다 598mm 많았 고, 2018년은 평년보다 강수량이 302mm 많은 기상조건이었 다(Table 2). 시험구의 면적은 12m2 (3×4m)로 하였으며, 시험 배치는 12개의 품종을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사료용 옥수 수의 파종은 5월 중순경 수확하는 동계작물의 수확시기를 고 려하여 파종적기인 4월 25일경보다 1개월 정도 늦은 2017년 5월 24일과 2018년 5월 25일 각각 파종하였고, 재식밀도는 이 랑거리 75㎝ × 포기간격 16㎝로 하여 2립씩 파종하였다. 사료 용 옥수수가 발아 후 생육이 3~4엽기에 포기당 1주 만을 남기 고 제거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일반생육특성은 농사시험연 구조사기준에 준하여 조사하였고(RDA, 1995), 사료용 옥수수 의 수확은 2017년 8월 31일과 2018년 8월 22일에 각각 하였 다. 이때 생초수량은 가운데 2줄 전체를 10㎝ 높이로 예취하 여 생체무게를 조사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암이삭 비율을 조사하기 위해 수확한 2줄 전체의 옥수수를 암이삭과 경엽으 로 분리하여 무게를 조사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건물율은 시험구 내에서 평균되는 생육을 보인 2개체를 경엽과 알곡으 로 분리하여 생체무게를 조사한 다음, 열풍순환 건조기(dry oven) 60℃에서 5일 이상 건조시킨 후 건조무게를 조사하여 계산하였다. 건물수량은 경엽과 알곡의 생체무게에 각각의 건 물율을 곱하여 환산하였다. 사료용 옥수수의 사료가치분석에 서 식물체의 조단백질 함량은 AOAC(1990)법으로 분석하였 고, acid detergent fiber(ADF)와 neutral detergent fiber(NDF) 는 Goering and Van Soest(1970)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가 소화영양소총량(Total digestible nutrient, TDN)은 88.9-(0.79× ADF%)로 계산하였다(Holland et al., 1990). 시험결과의 통계 분석은 SAS Packge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및 Duncan의 다중검 정방법으로 처리간의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고, 생육특성 과 수량성간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SAS, 2002).
Ⅲ. 결과 및 고찰
1. 생육특성
우리나라 중부지역인 천안에서 5월 하순경에 파종하여 재 배한 사료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육특성은 Table 3과 같다. 2017년 5월 24일과 2018년 5월 25일 파종한 사료용 옥수수는 6월 5일과 6월 1일에 각각 출현하였다. 출사기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p<0.05), 가장 빠른 품종은 P1543과 P1690 품종으로 7월 21일경이었고 가장 늦은 품종은 광평옥과 평안 옥 품종으로 7월 27일경이었으며 대부분의 품종은 7월 22 일~23일 경이었다. 간장은 광평옥 품종과 Nero IT 품종 간에 는 차이가 있었으나(p<0.05) 나머지 품종 간에는 차이가 없었 다. 줄기의 굵기는 품종에 따라 19~22mm 범위였으며 통계적 인 차이는 없었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발생률은 모든 품 종에서 3% 이하로 낮았으며, 국내 개발 품종인 광평옥과 평 안옥이 1% 미만으로 다른 외국 품종보다 발생이 적었는데,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료용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발생이 품 종과 파종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Choi et al.,(2008, 2013, 2017)의 보고와 같은 경향이다. 조사료 생산현장에서 연중 양 질조사료 생산 작부체계를 운영하기 위해 동계사료작물을 5 월 중순 수확하면 하계작물의 파종시기는 아무리 빨라도 5월 하순경이 된다. 사료용 옥수수의 파종적기인 4월 하순경보다 약 1개월이 늦어짐으로서 사료용 옥수수의 생육특성이 품종 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on et al., 2009). 암이삭 비율은 품종 에 따라서 30~47% 범위에 있었는데, 국내 품종 중에서 평안 옥이 30%로 가장 낮았고 외국종인 P1543 품종이 47%로 가 장 높았으며 나머지 품종은 36~42% 범위로서 품종 간에 차 이가 있었다(p<0.05). Choi et al.(2017)은 사료용 옥수수의 암 이삭 비율은 파종시기와 관련이 있어 4월 하순경 파종한 경 우 암이삭 비율은 40% 정도이나 5월 하순이나 6월 상순으로 파종시기가 늦어지면 암이삭 비율이 28%까지 떨어진다는 보 고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파종시기가 5월 하순으로 늦었지만 품종에 따라서 암이삭 비율의 감소에 차이가 있어, 사료용 옥 수수를 파종적기보다 늦은 5월 하순경 파종하여 재배할 경우, 암이삭 비율이 높은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2. 수량성
중부지역(천안)에서 재배한 사료용 옥수수의 품종별 생산 성은 Table 4와 같다. 건물수량은 품종 간 차이가 있었다 (p<0.05). 2년 간 12개 품종의 평균 건물수량은 15,474kg/ha이 었으며, 품종별로는 P32P75, P31N27, P2088, 광평옥, 평안옥 의 건물수량은 모두 16,022kg/ha 이상으로 수량이 많았으나 Nero IT 품종은 12,965kg/ha으로 가장 적었다. 암 이삭의 수량은 품종에 따라 4,987~6,995kg/ha 범위였으며 품종 간 차이가 있었 다(p<0.05). 암이삭 수량이 많은 품종은 P1543, P31N27, P32P75, P32W86, P2088 순이었으며, 평안옥이 4,987kg/ha로 가장 적었 다.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품종에 따라 9,051~12,276kg/ha로 서 품종 간 차이가 있었다(p<0.05). TDN 수량이 많은 품종은 P32P75, P2088, P31N27, 광평옥 순이었고, 가장 적은 품종은 Nero IT이었다. 사료용 옥수수는 파종시기가 늦으면 건물 생 산성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2007;Son et al., 2009). Son et al.(2011)은 전국 4개 지역 에 국내 및 국외품종을 파종적기인 4월 중하순에서 5월 상순 사이에 파종하였을 때 품종 간 차이가 없다고 보고 하였다. 이와 같이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적기에 파종을 하면 품종에 따른 건물 생산성의 차이가 없으나 파종시기가 늦으면 수량 이 감소하게 되는데, 6월 10일 파종은 4월 22일 파종보다 건 물수량은 24%, TDN 수량은 28%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 다(Son et al., 2010). 우리나라 조사료 생산 작부체계에서 동 계사료작물을 5월 중순에 수확하고 5월 하순경에 사료용 옥 수수를 파종하게 되면 건물수량의 감소를 예측할 수 있다. 이 러한 수량 감소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5월 하순경 파종했 을 때 수량의 감소가 적은 만파적응성 품종인 P32P75, P2088, P31N27, 광평옥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하나의 방안 이 될 수 있다.
3. 생육특성과 수량성과의 상관
중부지역(천안)에서 재배한 사료용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생산성 간의 상관관계는 Table 5와 같다. 이삭수량은 줄기 굵 기와 정의 상관이 있고(p<0.05) 이삭비율과는 고도의 정의상 관(p<0.01)이 있었으나 줄기 길이와는 상관이 없었다. 건물수 량은 줄기 길이, 줄기 굵기 및 이삭수량과는 고도의 정의상관 (p<0.01)이 있었으나 이삭비율과는 상관이 없었다. 사료용 옥 수수의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줄기 길이, 줄기 굵기 및 이 삭수량과 고도의 정의상관(p<0.01)이 있었고, 이삭비율과는 정의 상관(p<0.05) 이 있었다. 이상과 같이 사료용 옥수수의 생육특성과 수량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줄기 길 이, 줄기 굵기 및 이삭수량이 생산성 향상에 매우 중요한 생 육특성임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사료용 옥수수의 TDN 수 량과 가장 상관이 높은 특성은 암이삭 수량이었다. 12개의 품 종 중에서 암이삭 수량이 많은 품종은 외국품종으로는 P1543, P31N27, P32P75, P32W86, P2088 품종이었고 국내 육 성품종으로는 광평옥 품종이었다.
4. 사료가치
중부지역(천안)에서 재배한 사료용 옥수수의 품종별 사료 가치는 Table 6과 같다. 12개 사료용 옥수수 품종들의 평균 조단백질 함량은 7.5%였으며, 6.5% 함량의 Nero IT품종을 제 외하고는 7.1~8.3% 사이로서 비슷하였다. 12개 품종들의 평 균 ADF 함량은 24.2%이었으며, 품종 간에 20.4~28.5% 사이 였으며 암이삭 비율이 낮은 평안옥 품종이 28.5% 가장 높았 다. 품종들의 평균 NDF 함량은 40.9%이었으며, 품종 간에 36.4~46.9% 사이였으며 암이삭 비율이 낮은 평안옥 품종이 46.9%로 가장 높았다. 품종들의 평균 TDN 함량은 69.8%로 양호한 사료가치를 나타내었고, 암이삭 비율이 낮은 평안옥 품종이 66.4% 가장 낮았다. 이상과 같이 사료용 옥수수는 사 료가치와 가축의 기호성이 매우 우수한 사료작물(Kim, 1991) 로 잘 알려져 있는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절대적인 사료가 치는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적요
본 연구는 5월 하순경 늦게 파종하여 재배한 사료용 옥수수 의 품종별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평가하고 생육특성에 따른 생 산성 변화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나라 중부지역인 충남 천안에서 수행되었다. 2017년 5월 24일과 2018년 5월 25일 파종한 사료용 옥수수는 6월 5일과 6월 1일에 각각 출현하였다. 출사기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p<0.05), 대부분의 품종은 7월 22일~23일 경이었다. 간장은 광평옥 품종 과 Nero IT 품종 간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나머지 품종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줄기의 굵기는 품종에 따라 19~22mm 범위였으 나 차이가 없었다. 옥수수 검은줄오갈병의 발생률은 모든 품종 에서 3% 이하로 낮았다.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품종 간 차이 가 있었고(p<0.05), TDN 수량이 많은 품종은 P32P75, P2088, P31N27, 광평옥 순이었다. 가소화양분(TDN) 수량은 줄기 길이, 줄기 굵기 및 이삭수량과 고도의 정의상관이 있었다(p<0.01). 12 개 사료용 옥수수 품종들의 평균 TDN 함량은 69.8%였다. 우리 나라 중부지역에서 동계사료작물을 5월 중순에 수확을 완료하 고 사료용 옥수수를 파종한다면, 만파적응성이 우수한 P32P75, P2088, P31N27, 광평옥 품종을 선택하여 재배하는 것이 양질 조사료 생산성 향상에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