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8 No.4 pp.266-272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6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sture Productivity in a horse grazing low productive pasture

Young Jin Kim1, Sang Taek Song2, Kyung Jun Hwang3*, Si Hyun Kim4, Nam Gun Park5
1Korea Racing Authority
2Jeju Doctoral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al Life Science
3Korea Airport Service
4Hannon Bio Industry Corp.
5Subtropic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Corresponding author: Kyung Jun Hwang, Korea Airport Service, Jeju 217, Korea. Tel: +82-64-780-3930, Fax: +82-64-800-8906, E-mail: kjhwang@cas.co.kr
September 28, 2018 November 8, 2018 November 9, 2018

Abstract


In this study, we created grassland establishment(paddock No.39), grassland improvement(Paddock No.44), and tall fescue seeding(paddock No.64), and the rate botanical composition, DM yield, nutritive value were examined through 2016 to 2017.



The rate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81% in 2016, 75% in 2017, up to 21% higher than No.39 67%, 60%, No.44 58% and 54%. The annual average DM yield was the highest at 13,234kg/ha in the district, followed by No.39, No.44, followed by 10,636kg/ha and 10,235kg/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t No.39 12.16%, with No.44 and No.64 showing 10.7%, respectively. NDF content (average for two years) was 55.90% in No.44 and No.39, slightly lower than 58.42% and 57.00%, respectively. The two-year ADF average content was 31.07% for the same trend as the NDF capacity in the No.44, below 31.71% and 32.65%, respectively.



To sum up the results, Although there was a high level of incentive sowing plot(No.39) in nutritive value, consider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pasture, it is also deemed desirable to have a tall fescue plot(No.64).



말방목 부실초지의 목초생산성 향상 연구

김 영진1, 송 상택2, 황 경준3*, 김 시현4, 박 남건5
1한국마사회
2제주농업생명과학박사연구회
3한국공항
4한농바이오산업(주)
5난지축산연구소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2403

    Ⅰ. 서 론

    말산업육성법 제정(2011.9)으로 단일 축종으로는 국내최초 로 말은 한우, 돼지 등과 같이 국가기간 산업으로 자리매김하 는 축종이 되었다. 말을 사육하는데 있어서 목초는 사육비를 감소시키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 고 있다 잘 관리된 양질의 목초는 말에게 좋은 사료가 되며 말이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양분을 공급하여 줄 수 있다(Kim et al., 1991). 말은 방목습성이 일반 초식동물인 소와 달리 목 초를 선택하여 채식하는 경향이 높아 기호성이 낮은 목초가 우점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른 가축보다 활동하는 운동량 이 많기 때문에 말 발굽에 의한 목초 손상률도 높아 목초의 밀도가 떨어지고 나지율이 높은 편이다(Lee et al., 2007).

    초지는 한번 조성하여 오랫동안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좋으나 대체로 조성 후 4~6년이 경과하면 생산성이 줄게 되고 초종이 단순화되며 잡초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 등 으로 생산성이 급격히 저하하게 되는데, ha 당 생초수량 10,000kg(건물수량 2,000kg)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초지 갱신 이 필요하다(Kim et al., 1991). 말 생산 농가 초지 구성은 주 로 한지형목초(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오차드그라스 등) 위주 로 조성되어 있어 여름철 생육저하 및 하고현상으로 인한 조 사료의 생산성 및 방목지속성 감소, 특히 최근 기후온난화로 인해 이에 알맞은 난방형 목초 도입 등으로 안정적인 조사료 생산 초지 이용률 극대화가 필요하다(Korea racing authority, 2014). 또한 기존의 목초 조합을 톨 페스큐, 오차드그라스 등 의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를 혼파 조합한 결과 기간이 경과 함에 따라 두과 목초 등에 의한 화본과 목초의 생육저하로 부 실초지가 다량 발생하는 등 방목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Korea Racing Authority, 2010). 특히 말은 반추가축과는 달리 자주, 그리고 오랜 시간 동안 방목섭취를 하며 하나의 발굽(단제)을 가지고 있어 답압에 의한 방목지의 피해가 크 며, 제주지역에서의 경주마 사육형태는 오차드그라스, 톨 페 스큐, 레드톱 등 비교적 목초비율이 높은 개량초지에서 방목 하면서 농후사료를 보충 급여하는 형태, 야초지에서 방목을 하면서 농후사료를 급여하는 형태 및 마사주변 운동장에서 사사위주의 형태로 사육되고 있고(Oh et al., 1996), 목초 식생 구성율은 신규초지의 경우 목초 47%~54%, 잡초 및 고사주 36%~55%, 기성 개량초지는 목초 15%~19%, 잡초 및 고사주 가 80% 내외로 조사되었으며(Kim and Choung, 1996), 제주 지역 해발 400m 내외 지역에서는 티머시, 오차드그라스, 페 레니얼 라이그라스 및 화이트클로버 혼파조합이 시기별 생산 성과 기호성을 고려할 때 말 방목초지로 활용할 수 있다고 보 고하였다(Lee et al., 2007).

    따라서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아진 초지 갱신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제주지역에서 기후환 경, 말 특성(섭취 및 행동)을 고려한 방목지조성과 생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목초의 선발 및 이용체계 구축이 필요한 실정 으로 본 연구는 갱신 혼파(신규초지 조성), 보파(혼파) 및 톨 페스큐(단파) 갱신구로 구분하여 목초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 를 구명하기 위해 본 사업을 수행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본 시험의 공시포장은 제주 동부지역 해발 450m에 위치한 한국마사회 제주 경주마 육성목장 방목지 패독(39번, 44번, 64번)을 활용하였다. 처리구는 신규로 혼파 초지조성을 한 갱 신 혼파구(intensive sowing plot=paddock No.39;10,000㎡), 기 성 초지의 생산성이 저하된 목초지에 갱신혼파구와 동일한 목초 혼파조합으로 보파를 통해 초지를 조성한 보파 혼파구 (surface sowing plot=paddock No.44;19,063㎡) 그리고 톨 페스 큐 단일 초종으로 신규초지를 조성한 톨페스큐 단파구(tall fescue plot=paddock No.64;13,864㎡)로 하였다.

    처리별 혼파조합은 갱신 시험포는 파종량 40kg/ha(오차드그 라스 25kg/ha,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15kg/ha), 보파 혼파구 20kg/ha(초종명 오차드그라스 12.5kg/ha,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7.5kg), 톨 페스큐 단파구 40kg/ha으로 공시하여 2014년 9월 21일에 산파로 파종하였다. 시비량(kg/ha)은 기비로 N-P-K= 80-250-70, 추비로는 시험기간 내(2016~2017) 매년 N-P-K= 150-150-120kg/ha를 시용했고 봄ㆍ가을로 구분하여 각각 60% 와 40%로 분시하였다.

    시험기간 동안의 온도와 강수량은 Table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목초의 생육시기인 4월부터 10월까지 최소 66.4mm에서 최대 437.3mm의 강수량을 보여 목초 생육에 알맞은 것으로 사료되나 2017년의 7월과 8월 하고기에 427.5mm와 437.3mm 의 강우량을 보였으며 강우 횟수는 3회에 거쳐 집중적으로 내 려 목초생육에는 큰 의미가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월 평균 기온이 25℃가 넘는 달은 7월과 8월로 나타났으며 시험 기간 동안의 전체적인 기후특성은 평년과 비교하여 평균 강수 량이 다소 많았으며 평균기온도 1℃ 이상 높았으며 2017년 7 월에는 2.6℃ 높은 기온을 보였다.

    목초 생산성과 목초와 잡초의 비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매 시험구마다 말 방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케이지 (2m×2m)를 3개소(3반복)씩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목초 구성 률은 생초수량 측정을 위한 보호케이지에서 일정량을 취한 후 목초와 잡초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생초 수량은 처리구 별 케이지 전체를 채취하여 ha당 수량으로 환산하였으며 건 물수량은 각 처리구별로 300g∼5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생초 중량의 무게를 재고 70℃ 열풍건조기에서 48시간 이상 건조 후 건물함량을 계산한 다음 ha당 수량으로 환산하였다. 식물 체 분석을 위해서는 건조된 시료를 20 mesh mill로 분쇄한 다 음 플라스틱 시료통에 보관한 후 분석용 시료로 공시하였다. 조단백질 함량(crude protein, CP)은 AOAC (1990)법에 의해 서 분석하였고 중성세제섬유소(neutral detergent fiber, NDF), 산성세제섬유소(acid detergent fiber, ADF) 함량은 Goering 및 Van soest(1970)법에서 사용되는 시약을 이용하여 Ankom fiber analyze로 분석하였다. 사초의 무기물(P, K, Ca, Na, Mg) 은 Yoshida(1983) 등의 방법에 의해 추출하여 P는 비색법으 로 UV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K, Ca, Na, Mg은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하였다 (Perkin-Elmer Corperation, 1982).

    Ⅲ. 결과 및 고찰

    1. 목초와 잡초 구성율

    본 시험의 처리구는 처리별 초지의 신규조성(No.39), 부실 초지의 보파(No.44) 및 톨 페스큐 단일파종(No.64)구에 대한 특성을 비교ㆍ조사하는 시험으로 식생분류는 목구내의 목초 와 잡초의 구성 비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다. 조사기간 동안 목초비율이 가장 높은 구는 No.64로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은 목초비율을 보였 다. 이러한 요인은 2016년과 2017년 여름철 2~3회에 거쳐 집 중 강우로 인한 강수량은 많았으나 평균 기온 25℃이상의 고 온지속으로 극심한 하고현상 때문에 오차드그라스와 페레니 얼 라이그라스 혼파구인 No.39와 No.44구가 톨 페스큐 단파 구인 No.64에 비해 목초 고사률이 높았고 나지에는 잡초 침 입이 높았던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오차드그라스 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의 초지가 여름철에는 하고를 받아 식생구성율이 급격히 감소한 반면 톨 페스큐 초지에서 는 목초비율이 높았다는 Hwang et al.(2016)의 보고와 유사하 였고 Jung et al.(2017)이 부실초지에 톨페스큐 위주의 보파구 에서 목초비율이 80%정도까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는 보 고와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2. 목초의 생산성

    각 처리별 사초에 대한 건물 생산량은 Table 2과 같다. 2016 년과 2017년 모두 No.64(톨 페스큐 단파)구가 13,237kg/ha 및 13,232kg/ha로 타 처리구보다 높은 일정한 생산성을 보였다. 이러한 요인은 오차드그라스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목 초구가 여름철 고온에 의한 하고피해 때문으로 사료되며 이러 한 결과는 수량성에서 톨 페스큐 위주 혼파조합은 3년차에서 톨 페스큐가 안정적으로 정착하면서 오차드그라스위주의 혼 파조합보다 잡초침입 없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량을 보였다는 Jung et al.(2017), Kim et.al.(2016) 및 Hwang et al.(2016)의 보 고와 유사하였다.

    연도별로는 2016년에는 No.64구가 13,237kg/ha로 타 처리 구보다 30%~47% 높은 생산성을 보였다. 2017년엔 1차 수량 조사 시 10,001kg/ha로 매우 높은 생산성을 보인 No.44구가 연간 13,459kg/ha를 보여 가장 높은 생산성을 보였으며, No.64 및 No.39가 각각 13,232kg/ha와 12,042kg/ha 순으로 비교적 높 은 생산성을 보였다. 처리 간에는 2년 평균 생산량은 No.64구 가 13,233.5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No.39, No.44가 각 각 10,636.0kg/ha 및 10,235.0kg/ha 순이었다. 또한 모든 처리 구에서 봄철(1차) 수량이 연간 생산량에 61%~66%가 생산되 어 Seo et al.(1998)이 오차드그라스와 톨 페스큐 목초는 계절 에 따라 생산량의 변이가 심한데 봄에는 수량이 최대 60%정 도 나타내다 여름철에는 하고현상 등으로 수량이 현저히 저하 된다는 보고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3. 사료가치

    각 처리별 사초에 대한 조단백질함량에 대한 조사결과는 Table 3과 같다. 조사기간 연평균 조단백질함량을 보면 No.39(갱신혼파)가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 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 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도의 처리별 평균 CP함량이 11.51% 로 2017년 평균 10.91%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오차드그 라스 및 톨 페스큐 단파시 CP 함량이 12.9%와 11.2%였다는 보고(Hwang et al., 2016)보다는 다소 낮았다. 반면 중부산간 초지에서의 혼파조합 목초의 CP 함량이 14.56%였다는 Kim et al.(2016)의 보고와 조사료의 단백질이 16.5%~18.16%라는 Chae et al.(2015)의 보고보다는 훨씬 낮은 함량을 보였다.

    사초에는 식물의 구조를 형성하는 세포벽 물질(셀룰로오 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의 양은 급여사료의 부피 또는 채워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축의 섭취량과 밀접한 관계 가 있다. NDF는 가축의 건물섭취량과 부의 상관관계이므로 조사료 내 NDF함량이 증가하면 가축의 섭취량은 감소한다. 그리고 사초의 숙기가 진행될수록 NDF함량은 증가한다. 한 편 ADF는 가축에 있어서 조사료의 소화율과 부의 상관관계 이므로 ADF 함량이 증가하면 소화율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 서 조사료가 주사료로 공급되는 말 방목에 있어서 NDF와 ADF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 본 시험의 처리별 NDF와 ADF 함량은 Table 3과 같다. 목초의 NDF 함량을 2년 평균 처리별 비교시 No.44구가 55.90%로 No.64 및 No.39가 각각 58.42% 와 57.00%에 비해 다소 낮았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에 생 산된 사초내 NDF 함량이 비교적 낮아 No,44가 50.68%로 가 장 낮았고, No.39 및 No.64도 각각 52.75% 및 55.96%로 연평 균 함유량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 2017년에는 NDF 농 도가 처리간 농도차가 적어 60.85%~61.25%를 보였다. 사초 중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과 동일한 경향 으로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ADF 또한 NDF와 유사한 경향으 로 2016년도에 No.44, No.39 및 No64에서 각각 26.82%, 28.10% 및 30.16%로 2017년도 34.93%~35.31% 보다 낮은 함 량을 보였다.

    2016년~2017년에 수확한 시료를 대상으로 사초에 대한 무 기물함량은 조사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P의 함량(평균값) 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으며 2016년 No.44구가 0.31%로 가장 높았고 2017년 No.64가 0.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K 함량은 2.23%~3.83%의 농도 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각 3.01% 및 2.81%를 보였 다. 또한 사초 생산년도에 따라 큰 편차를 보여 2017년도의 경우 No.44, No39 및 No.64가 각각 3.83%, 3.69% 3.08%롤 2016년도에 비해 높은 농도를 보였다. Ca함량은 0.18%~0.38% 롤 보여 생산연도 및 처리간 함량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2년 평균치로는 No.39구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연도별로 보면 2016년 No.39구에서 0.38%로 동년 No.64구 0.19%보다 2배 높 은 함량을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처리구 중 에는 2016년 No.39구에서 0.34%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가장 낮은 함량은 2017년 No.44구 0.17%였다. Na함량(2년평 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목초의 생산성, 목초구성률 및 사료가치를 고려했 을 때 목초 생산성과 목초구성률은 톨 페스큐 단파구(No.64) 구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사료가치 면에서는 갱신 초지(No.39)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목초 구성률이 낮 아 초지 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Ⅳ. 요약

    본 연구는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 아진 초지에 대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드그라스+페레 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경운초지(paddock No.39)과 보파초지 조성(paddock No.44) 및 톨 페스큐 단파 경운초지(paddock No.64)를 조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에 거쳐 목초율, 건물생 산성 및 사료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비율은 No.64가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았다. 연평균 건물생산량은 No.64구가 13,234kg/ha로 가장 높았으 며 그 다음 No.39, No.44로 각각 10,636kg/ha 및 10,235kg/ha 순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No.39(갱신혼파)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다. NDF함량(2년평균)은 No.44구 가 55.90%로 No.64 및 No.39 각각 58.42%와 57.00%에 비 해 다소 낮았다.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 과 동일한 경향인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았다. P의 함량(평균값)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고, K 함량은 2.23%~3.83%의 농도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 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 각 3.01% 및 2.81%를 보였다. Ca함량(2년 평균)은 No.39구 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Na함량 (2년평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목 초의 영양가치면에서는 갱신혼파(No.39)가 높았으나 목초 구성률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톨 페스큐 단파구(No.64)가 바람직한 것으로 났다.

    Ⅴ.사사

    Ⅴ.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022403)의 지원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Figure

    KGFS-38-266_F1.gif

    Botanical composition by treatments. (No.39; intensive sowing plot, No.44; surface sowing plot, No.64; tall fescue plot)

    Table

    Mea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t Seongsanpo during experiment.

    Dry matter yield by treatments(kg/ha)

    The CP, NDF, ADF by treatments(%)

    Mineral of pasture(%)

    Reference

    1. AOAC. 199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ition. Washington, DC.
    2. Chae, H.S. , Kim, N.Y. , Woo, J.H. , Back, K.S. , Lee, W.S. , Kim, S.H. , Hwang, K.J. , Park, S.H. and Park, N.G. 2015. Changes of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Stockpiled Period in Mixtured Orchardgrass-Tall Fescue Pasture of Jeju Reg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35:93-98.
    3. Goering, H.K. and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ultural Handbook 379. U.S. Government Print. Office Washington, DC.
    4. Hwang, T.Y. , Ji, H.C. , Kim, K.Y. , Lee, S.H. , Lee, K.W. and Choi, K.J. 2016. Effect of Mixed Pature Using Domestic Varieties Orchardgrass 'Kodione' and Tall fescue 'Purumi'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36:89-97.
    5. Jung, J.S. , Kim, J.K. , Kim, H.S. , Park, H.S. , Choi, K.C. , Lee, S.H. , Jee, H.J. , Choi, K.J. and Kim, W.H. 2017. The Effects of Grass Seed Mixtures using Domestic Cultivar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in Low Productive Hilly Pasture Central Region of Kore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37:132-139.
    6. Kim, D.A. , Kim, B.H. , Kim, C.J. , Kim, D.J. , Kim, M.C. , Bae, D.H. , Seo, S. , Ahn, K.J. , Yoon, I.S. , Lee, I.D. , Lee, H.W. , Kim, B.T. , Jeon, W.B. , Cho, M.W. , Cho, J.G. and Hur, S.N. 1991. A collection of grassland science. Sunjin printing. Seoul. pp. 337, 456.
    7. Kim, J.G. , Lee, Y.W. , Kim, M.J. , Kim, H.J. , Jeong, S.I. , Jung, J.S. and Park, H.S. 2016. Effects of Species and Seed Mixture on Productivity,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Quality in Middle Mountainous Pas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36:135-141.
    8. Kim, M.C. and Choung, C.C. 1996. A Study on Feeding, Reproduction, Meat and Milk Products, Disese and Genetic Character for Cheju Horse Industry Development. I. Monthly changes of herbage production comparing new pasture of horse farm with old pastur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16:61-68.
    9. Korea Racing Authority. 2010. Report on the Jangsu Racing Ranch.
    10. Korea Racing Authority. 2014. A Study on Appropriate hybridization forhorse grazing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Period. Final result report.
    11. Lee, C.E. , Park, N.G. , Park, H.S. , Oh, W.Y. , Ko, M.S. , Kim, D.H. and Kang, D.H. 2007. Changes in the Productivity and the Percentage of Grasses Intake in Different Mixture Grazed by Thoroughbred Hors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27:123-128.
    12. Oh, W.Y. , Park, N.G., Lee, J.E1996. A Study on the Promotion of Standard Cattle Ranch for Production Cost Reduc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Jeju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Annual Research Report. p. 60.
    13. Seo, S. , Han, Y.C., Lee, D.K. and Park, M.S.1988. Seasonal Distribution of Production in Cool-Season Grasses; Ⅰ. Grass growth and seasonal distribution of production in orchardgrass dominated pas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30:130-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