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8 No.2 pp.120-125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8.38.2.120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Native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Capra hircus coreanae)

Yeong Sik Yun1, Hye Jin Seong1, Qi Man Zhang1, Sang Uk Chung1, Ga Eul Lee1, Jae Hyun Park2, Se Young Jang2, Jin wook Lee3, Kwan woo Kim3, Sang Ho Moon1*
1Division of Food Bio Science, konkuk University, Chungju, 27478, Korea
2Institute of Livestock Environmental Management, Daejeon, 34065, Korea
3Animal Genetic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Namwon, 55717, Korea
Corresponding author : Sang Ho Moon, Division of Food Bio Science, konkuk University, Chungju, 27478, Korea, Tel: +82-43-840-3260, E-mail: moon0204@kku.ac.kr
April 3, 2018 June 21, 2018 June 21, 2018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n forage productivity, feed value, grazing intensity and livestock productivity in growing Korean native female goat grazing in native pasture. Its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of 14.10±3.6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Dry matter content of native pasture was the highest at 33.48 ± 2.56% in June, and the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spring to autumn (p<0.05). Crude protein was maintained between 11% and 12% on average. Nutrient content was maintained at a certain level in native pasture, but there were differences due to the different types of wild grasses produced in each season. The productivity of forage crops increased from June, but decreased after August and showed a characteristic of grassland where productivity decreased rapidly in spring and autumn. The average grazing intensity are 39 head/ha. Black goat average daily gain was 80.2g/d. The stable weight gain in grazing is that the nutrient requirement of the black goat was met by supplementing the concentrated feed during grazing. study, can be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of livestock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proper feeding of supplementary feed and maintenance of grazing intensity



육성 암컷 흑염소 방목 야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윤 영식1, 성 혜진1, 장 치만1, 정 상욱1, 이 가을1, 박 재현2, 장 세영2, 이 진욱3, 김 관우3, 문 상호1*
1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충주, 27478
2축산환경관리원, 대전, 34065
3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센터, 남원, 55717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29

    Ⅰ. 서 론

    우리나라는 전 국토의 64%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고, 이중 초지로 개발 가능한 면적은 26.6%인 1,711천ha로 추산된다 (Kwon et al., 2016). 그러나 현재 관리하고 있는 초지면적은 34천ha 수준에 머물고 있으며, 그 가운데에서도 효과적으로 관리되는 면적은 미미한 수준이다(Kwon et al., 2016). 대부분 의 사료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나라는 세계 곡류 가격 상승 등으로 사료비가 축산물 생산비의 60% 정도를 점 유하고 있는 실정으로, 산지이용 방목은 사료비 절감 등에 효 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가능하다. 특히 국내 산지초지 중 일부만이라도 초지를 조성하거나 잘 관리운영 한다면 반추가축용 사료의 자급률은 대폭 상승될 수 있을 것 으로 여겨진다(Moon et al., 2016). 또한 산지방목을 통해 가 축 복지를 실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가능 할 것으로 기 대된다(Hwangbo et al., 2008). 한편 흑염소는 대형 초식 가축 보다 수엽류를 선호하는 습성이 강하고 수엽류와 저급사료 등을 이용하는데 유리한 소화기 구조를 가지고 있어(Kingbury, 1964) 부존사료자원 활용성이 높다. 또한 경사가 높은 지역을 좋아하며 한 지역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여러 곳을 포괄적으 로 채식하는 습성(Gihad, 1980)이 있어 토지이용성이 높기 때 문에 한국의 산지초지 및 야초지에서 방목에 적합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국내의 산지초지를 활용한 방목 시스템 으로 흑염소를 사육 시 일반 관행사육에 비해 300두 사육규 모 기준 약 50%의 사육비를 절감하는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전업화와 사육규모가 증가하고 있는 현재의 국내 흑염소 산 업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Park et al., 2013). 그러나 산지초지 및 야초지를 적절히 이용하기 위한 축종 및 사육시기별 방목기술개발의 부재로 농가에선 초지를 방치하 거나 가축을 관행적인 방법으로 방목하는 등 방목 사육에 대 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적절하지 못한 방목사육은 초지 황폐화 및 식생파괴를 야기하기 때문에 흑염소의 방목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현실이다. 우리나라 산지초지 및 야초지의 이 용률 제고와 가축의 동물복지 실현 및 산지생태축산을 활성 화하고 흑염소 산업의 발전에 따른 적절한 방목 사양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암컷 육 성기 흑염소의 사초생산성, 사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방목지로서의 야초지 이용성을 평 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Ⅱ. 재료 및 방법

    1 공시가축 및 사양관리

    본 실험에 이용된 공시축은 4개월 령 체중 14.1±3.6kg인 암 컷 흑염소 10두를 선별하여 개체관리를 위한 이표부착과 체 중측정 후 방목사양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6년 4월 부터 9월까지 충청북도 충주시 두정리의 산정농장 내 방목지 에서 진행하였다. 방목지는 비가림 시설이 마련되어 있고 3,500m2 의 면적에 고사리, 질경이, 쇠비름, 쑥, 용담 등의 산 야초가 분포하였다.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8시간 동안 방목을 실시하였고, 보충사료를 체중의 1.5%로 1일 1회 급여 하였다. 물은 자유급수 하여 충분히 음수 하도록 하였다. 급 여한 보충사료는 시판중인 흑염소용 농후사료를 이용하였으 며 사료의 일반성분은 Table 1과 같다.

    2 사초생산성 및 가축의 생산성 조사

    야초지에서의 사초생산성을 측정하기 위해 방목지 내에 흑 염소의 채식을 회피하도록 3개소 장소에 50×50cm의 쿼드랏 을 설치하였다. 매월 동일한 쿼드랏 내 시료를 채취하였고, 현장에서 현물량을 측정 후, 실험실 통풍건조기에서 65℃의 조건으로 48시간 건조한 다음 사초생산성을 측정하였다. 또 한 확보된 건조시료는 분쇄기(KNIFETEC 1095 Sample Mill) 를 이용하여 1mm screen 통과 가능 크기로 분쇄 후 사료가치 측정을 위한 화학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축의 생산성은 처리구별 실험종료 후 월별로 체중을 측 정하여 기록하였으며 체중변화를 토대로 일당증체량을 구하 여 개체별로 분석하였다.

    3 사료가치 분석

    야초지의 사료 가치 평가를 위해 월별로 채취한 시료에 대 한 일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의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에 대한 분석은 AOAC(1990) 에 준하 여 실시하였고, 중성세제섬유소(NDF)와 산성세제섬유소(ADF) 의 함량은 Georing and Van Soest(1970)의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4 방목강도 분석

    야초지에 있어서 흑염소의 방목 강도를 규명하기 위해 매 월 사초생산성을 측정함과 동시에, 흑염소 채식량을 조사하 여 이를 근거로 방목강도를 월별로 나타내었다. 흑염소의 채 식량은 방목 전후의 사초 수량의 변화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해 매월 일정시기에 2일 동안의 채식량을 샘플링법을 이용하여 조사 후 일별 채식량을 구하였다. 방목 강도는 방목 시 가축의 사초 이용율 약 80%(Amanda, 2006)를 기준으로 월별 제시하였다.

    5 통계분석

    조사 및 분석된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AS program(ver 9.3, SAS Institute, Cary, NC, USA, 2008)의 GLM (Gener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 후 처리 간의 평균값 비교를 위해 Duncan의 다증 검정법을 통한 유의차 를 p<0.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흑염소 방목을 위한 야초지의 월별 사료가치 비교

    흑염소를 방목하고 있는 야초지의 월별 사료 가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2 과 같다. 건물함량은 여름철 가뭄으로 인한 고사된 주수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라는 연구(Seong et al., 2016)와 야초지를 보유한 농장이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한다(Moon et al., 2015)는 보고와 비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0.56%, 24.4±0.89%로 유의하게 높았 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5월에 9.2±0.51%로 다른 계절에 비하여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p<0.05), 전체적으로 9%~12% 정도로 번식흑염소 야초지 방목 시 산야초구의 조단백질 함 량이 5.98%~12.49% 범위라는 보고(Hwangbo et al., 2007)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조지방의 함량은 4월과 9월에 6.9± 0.32%, 6.8±0.84%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조섬유소 함량 은 4월과 7월 9월에 각각 14.2±0.17%, 17.8±0.75%, 18.5± 0.45%로 낮은 함량을 보였으나 5월 25.3±0.61, 6월에 28.5± 0.72%, 8월 31.5±0.25%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NDF 함 량은 8월에 57.7±0.18%로 가장 높았으나 야초의 NDF 함량이 75.14%~77.77%인 보고(Hwangbo et al., 2007)보다는 낮았다. 이는 야초지 내 구성 초종의 차이나 비율로 인한 것으로 사료 된다. ADF는 6월에 36.7±0.78%로 가장 높았으며 4월에 14.2 ±0.17%로 가장 낮게 나타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조회분은 5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8월과 9월에 다른 계절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본 실험 결과 방목지가 야 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험기간동안 영양소 함량이 유 지되었으나, 계절마다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미세하기 다 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2 흑염소 방목 야초지의 월별 사초 생산성의 변화

    방목지의 월별 사초 생산성을 비교한 결과는 Table 3과 같 다. 야초지의 생산성은 계절별(4~9월)로 야초지에 대한 생산 성을 쿼드랏을 통한 샘플링 방식에 의해 측정하여 건물량으 로 제시하였다. 기존 방목지에 존재하던 고초로 인해 사초생 산성이 5월보다 4월이 많았으며, C-4형(남방형) 식물은 건조 하고 기온이 높은 기후조건에서 생산성이 높고 여름철에 C-4 형 식물이 높은 생산성을 나타낸다는 보고(Lee., 1992)와 기 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8월에 가장 높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그러나 8월 이후의 생산성은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낮은 생산성을 기록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야초지 에서 방목을 실시함에 있어서 계절별 사초생산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용성이 높은 개량 목초류를 통한 목초지로의 전환이 요구되며(Moon et al., 2016) 흑염소를 방목 시 가축 생산성을 높이고 방목초지 이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계절 에 따른 적절한 보충 사료의 급여 수준 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 야초지에 있어 흑염소 방목 시 적정 방목 강도 설정

    방목 야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된 월별 방목강도의 설정 결과는 Table 3 과 같다. 실험 야초지의 사초생산성은 여름철인 8월에 1584.0±141.4kg/ha 로 가장 높았고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흑염소의 건물 섭취량은 평균 730±40g/d 로 산야초구에서 흑염소 방목시 건 물섭취량이 346.1~549.2g/d 이라는 보고(Hwangbo et al., 2007) 보다 높게 나타났다. NDF 함량이 건물섭취량의 제한인자이 며(Van soest., 1994) 사료섭취량은 조단백질 함량과 밀접한 관계로(Van soest., 1982) 반추위 미생물 성장을 위해서는 충 분한 조단백질 공급이 있어야 하며 부족 시에는 사료섭취량 이 감소한다고 보고(Milford and Minson., 1965)하였다. 본 실 험의 야초성분에서 NDF 함량이 Hwangbo(2007)의 연구에 비 해 평균 함량 55% 수준으로 다소 낮았고 조단백질 함량이 11.20~14.80% 정도로 높았기 때문에 건물섭취량이 높았던 것 으로 판단되며 영양소 함량의 차이는 방목지 야초의 종류와 지속적인 방목여부의 차이로 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흑 염소의 체중이 증가함에 따라 건물섭취량이 증가하였는데 초 지의 계절 등 환경요인으로 인해 사초생산성이 월별로 다르 며 야초의 경우 대부분 남방형 식물로 여름철이 지난 뒤 사초 생산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적절한 방목 수준 조절 및 부족한 영양소의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계 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 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본 실험 기간동안의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혼파 산지초지에서 4 개월령 거세 흑염소를 방목 시 적정 평균 방목두수가 37두/ha 라는 Seong(2016) 등의 보고와 중국 원링산맥의 6개월령 흑 염소를 대상으로 방목강도에 따른 생산성 조사결과 방목강도 30head/ha 의 경우 일당증체량이 2008년도에 45.3g/d, 2009년 도에 50.3g/d 으로 방목강도 7.5head/ha, 15head/ha 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보고(Zhu et al, 2012)와 비슷한 경향 을 보였다. 이를 기준으로 가축 생산성 향상을 위해 사초생산 성이 높은 4월부터 8월과 다소 떨어지는 9월 사이에 급여하 는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4 흑염소 사육방식에 따른 가축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

    사육방식에 따른 흑염소의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해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를 공시하였다. 4~9월 사이 실행 된 월별 체중변화 및 일당증체량의 결과는 Fig 1에 나타내었 다. 개시 체중은 14.1±3.6kg 이었으며 실험 종료 후 체중은 25.4±4.3kg 으로 나타났다. 일당증체량은 50 g/day 이상으로 안정적인 결과를 보였고 평균 80.2±27g/day 으로 5월 까지는 높은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전월에 비하여 6월부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다(p>0.05). 월 별 일당증체량의 차이는 방목 중 건물 채식량과 초지 생산성 의 변화와 흑염소가 환경온도 상승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아 heat stress로 인한 일당증체량의 감소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 다. 이러한 결과는 7개월령 수컷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이 방목 시 50.6 g/day, 사사사육 시 52.3g/day 이라는 Hwangbo(2014) 의 보고와 생후 6개월령의 수컷 흑염소의 일당증체량이 개량 목초구 59.77 g/day, 유기목초구 48.28 g/day, 산야초구 46.09 g/day, 수엽류구 42.83 g/day 이라는 Hwangbo et al.(2008)의 연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한편 흑염소 사사사육 연구결 과와 비교 시 3개월령의 거세 흑염소 옥수수 첨가 TMR 사료 급여시 처리구 별 증체량이 75.3g~100.2g 수준이라는 Kim et al.(2016)의 보고와 TMR 급여에 의한 집약사육 시의 일당증 체량은 120g (Moon, 2016)에 비하여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 다. 이는 일반적으로 염소의 증체가 품종, 성별, 성장 단계 및 사양 방법 및 급여하는 사료의 영양소 수준에 따라 차이가 나 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Hwangbo., 2014). 본 실험에서 평 균적으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시 농후사료를 보충 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 시켰기 때문 으로 사료되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를 급여 한다면 육성기 암컷 흑염소에 있어 사사사육 방식과 비 교 하였을 때 사료비 절감 효과와 가축건강 증진 등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야초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초지관리 기술 및 방목기술 보급 등 추가 적인 연구를 통하여 동물복지와 국내 유휴자원 재활용으로 인한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 로 사료된다.

    Ⅳ 요 약

    본 연구는 야초지에서 흑염소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 사 료가치, 적정 방목강도 규명 및 가축생산성 분석을 통하여 야 초지의 이용성을 평가하고 흑염소 방목 사육에 대한 기초적 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축은 평균체중 14kg 전후의 4개월 령 육성기 암컷 흑염소 10두로 방목실험을 실 시하였다. 방목 시 보충사료는 체중의 1.5%로 추가 급여 하였 으며, 물은 자유 급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야초지의 건물함 량은 봄에서 가을로 갈수록 건물함량이 증가하는 보고와 비 슷하게 6월과 9월에 각각 24.9±0.56%, 24.4±0.89%로 유의하 게 높았다(p<0.05). 조단백질 함량은 평균함량 11%~12%를 유지하여 처리구간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야초지의 사료 가치는 일정수준으로 영양소 함량이 유지되었으나 계절별로 생산되는 야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방목 시 사초생산성은 야초의 경우 대부분 C-4형 식물이기 때문에 기온이 높은 여름철인 6월부터 8월까지 생산성의 증 가한 것으로 보이며 8월의 경우 유의하게 높았다(p<0.05). 8 월 이후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여 봄철과 가을철에 급격하 게 생산성이 저하되는 야초지의 특성을 보였다. 방목 초지의 월별 생산성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을 통해 월 별 방목 강도를 설정하였다. 계산된 방목 강도는 8월에 55두 /ha 로 가장 높았으며,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인 9월에 21두/ha로 가장 낮았다. 평균 방목강도는 37두/ha로 이를 기 준으로 보충사료의 양을 조절하여 방목 흑염소에게 부족하거 나 과잉된 영양소 공급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 료된다. 흑염소 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증체량이 80.2 g/d 이 었다. 방목구에서 안정적인 증체의 결과는 방목 후 추가로 농 후사료를 보충급여 함으로써 흑염소의 영양소 요구량을 충족 시켰기 때문이며, 방목사육 시 사초생산성이 떨어지는 시기 에 적절한 방목강도 조절과 필요 영양수준에 맞춘 보충사료 를 급여 한다면 가축의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되며 야초지의 효율적인 활용기술 및 흑염소 방목기술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유기축산 및 산지생태축산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Ⅴ.사 사

    Ⅴ.

    이 논문은 농촌 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0229)의 지 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GFS-38-120_F1.gif
    Seasonal changes in average daily gain of Korean native female goats grazing at native pasture

    Tabl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supplemental diet

    Seasonal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in native pasture

    1)DM: Dry matter
    2)CP: Crude protein
    3)CF: Crude fiber
    4)EE: Ether extract
    5)NDF: Neutral detergent fiber
    6)ADF: Acid detergent fiber
    a-c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column are different (<i>p</i><0.05).

    Estimated grazing intensity (head/ha) affected by forage productivity and dry matter intake

    a-bMeans with different superscript in the same row are different(<i>p</i><0.05).

    Reference

    1. AOAC (199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Association &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2. H.G. Chang , K.H. Kyung , S.K. Kim (1987) Changes in carbohydrate components of hard and soft wheat during kernel maturation.,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19 ; pp.69-74
    3. S.B. Cho , C.H. Kim , O.H. Hwang , J.C. Park , D.W. Kim , H.G. Sung , S.H. Yang , K.H. Park , D.Y. Choi , Y.H. Yoo (2011) The Effect of Fermented Diet with Whole Crop Barley Silage on Fecal Shape and Odorous Compound Concentration from Feces in Pregnant Sows., J. Housing Built Environ., Vol.17 ; pp.145-154
    4.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04)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protein sources for the animal feed industry., ; pp.167-184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2016) World food situation: FAO cereal supply and demand brief. p.1.,
    6. D.R. Gill , J.E. Oldfield , D.C. England (1966) Comparative values of hulless barley, regular barley, corn and wheat for growing pigs., J. Anim. Sci., Vol.25 ; pp.34-36
    7. K.H. Kim , J.H. Seo , T.I. Park , O.K. Han , K.H. Park , T.H. Song , J.C. Park , C.S. Park , C.S. Kang , H.H. Park , N.G. Park , J.H. Jeung , J.I. Ju , S.J. Kang , J.N. Hyun , K.J. Kim (2015) A high-yield wheat cultivar ‘Cheongwoo’ for whole crop forage., The Korean Journal of Breeding Science, Vol.47 ; pp.339-344
    8. K.J. Kim , H.G. Chang (1985) Changes in milling properties during maturation of wheat ker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Vol.30 (4) ; pp.381-387
    9.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2011) Feed process guide book. p.28.,
    10. Ministry of Agriculture (2016) Food and Rural Affairs (MAFRA)., Statistical Year Book of Agriculture and Food, ; pp.287
    11. H.W. Lee , Y.Y. Kim , J.S. Chang (2015) Feed science., KNOU press, ; pp.7
    12. F.N. Owens , D.S. Secrist , W.J. Hill , D.R. Gill (1997) The effect of grain source and grain processing on performance of feedlot cattle: a review., J. Anim. Sci., Vol.75 ; pp.868-879
    13. R Ver 3.2.3. (2015) The R Foundation for statistical computing platform.,
    14. J.H. Park , Y.J. Oh , Y.K. Cheong , T.H. Song , T.I. Park , K.W. Lee , K.H. Kim , Y.K. Kim , J.C. Park , B.K. Kim (2017) Feed value and fermentation quality of covered barley grain silage with respect to days after heading in Honam region of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Vol.62 ; pp.16-23
    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2)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of analysis based on research., ; pp.315-374
    16. Seo Kim (2004) Honam., Grass Forage Sci., Vol.24 ; pp.217-224
    17. T.H. Song , Y.J. Oh , H.J. Kang , T.I. Park , Y.K. Chenong , Y.K. Kim , B.K. Kim (2015) Effect of Feed Value and Fermentative Quality According to Harvesting Time of Barley and Wheat Grain Silag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Vol.60 ; pp.174-179
    18. H.E. Woodman , F.L. Engledow (1924) A chemical study of the development of the wheat grain., J. Agric. Sci., Vol.14 ; pp.563-5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