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8 No.1 pp.61-73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8.38.1.61

Effect of Forage Species, Mixed Pastures and Mesh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for Rapid Establishment of Grassland at Cutting Area in Middle Region of Korea

Seung Min Oh1,2, Hee Chung Ji1, Ki Won Lee1, Ki Yong Kim1, Hyung Soo Park1, Sang Hoon Lee1, Ji Hye Kim1, Kyung Il Sung2, Tae Young Hwang1*
1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eonan, 31000, Republic of Korea
2Department of Animal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2434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 Tae Young Hwang,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Cheonan, 31000, Republic of Korea +82-41-580-6777, +82-41-580-6779, soybeanhwang@korea.kr
February 21, 2018 March 9, 2018 March 12, 2018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itable method for rapid establishment of grassland according to forage species, mixed pastures and installation of mesh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In agronomic characteristics after wintering, vegetation coverage of Tall fescue(TF) was 74% in monoculture, which was the highest among 3 forage crops. Meanwhile average vegetation coverages of monoculture and mixed pasture were 67 and 92% in treated of mesh, which were 4 and 18% higher than untreated of mesh, respectively. In botanical composition, TF of monoculture and Orchardgrass(OG) and TF oriented mixed were indicated over 94% forage coverage. Meanwhile forage coverages Kentucky bluegrass(KBG) and Red top(RT) of monoculture and Perennial ryegrass(PRG) oriented mixture were 89, 81 and 92% in treated of mesh, which were 7, 6 and 5% higher than untreated of mesh, respectively. In forage productivity, dry matter yield(DMY) of TF(12,537kg/ha) and KBG(11,897kg/ha) of monoculture were significant(p<0.05) higher than RT(9,604kg/ha). Meanwhile DMY of OG(12,227kg/ha), TF(12,823kg/ha) and PRG(11,871kg/ha) oriented mixed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forage quality of monoculture, in the first year, crude protein of KBG was 13.6%, which was the highest among 3 forage species. Also neutral detergent fiber(NDF) of TF was 56.5%, which was the lowest among 3 forage species. In mixed pasture, in the second year, NDF and acid detergent fiber of PRG oriented mixed were 56.5 and 34.3%, respectively, which was the lowest among 3 mixed pasture. In conclusion, forage species TF was more suitable on initial rootage and continuous forage coverage, OG and TF oriented mixed were more suitable on continuous forage coverage. Also the installation of mesh showed positive effects on initial rootage and maintain forage ratio.



중부지역 절개지에서 신속한 초지조성을 위한 목초의 초종, 혼파조합 및 그물망 설치가 생산성과 식생에 미치는 영향

오 승민1,2, 지 희정1, 이 기원1, 김 기용1, 박 형수1, 이 상훈1, 김 지혜1, 성 경일2, 황 태영1*
1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천안, 31000
2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춘천, 24341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193502

    Ⅰ. 서 론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 조사료 자급률은 82% 내외이나 볏 짚을 제외한 양질 조사료 자급률은 49%에 불과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MAFRA, 2016).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산기반이 필요하며 농림축산식품부는 2014년부터 산지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축산 업 육성을 위해 산지생태축산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MAFRA, 2014).

    산지생태축산을 위해 산지초지를 조성할 때는 지형정지, 축사시설 및 부속시설의 배치 등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져야 장기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기반조성 시 필수적으로 발생하 는 것이 절개지(切開地; Cutting area)이다. 절개지는 지형에 따라 경사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Kim(2014)은 경사 도별 등급을 0∼2°: 평탄, 3∼7°: 매우 약한 경사, 8∼15°: 약한 경사, 16∼30°: 경사, 31∼60°: 심한 경사 및 61° 이상: 매우 심 한 경사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절개지는 토양의 유실 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며, Lee(1994)는 토양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초지라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초지를 구성하는 목초 중에서도 특히 경사지에서 잔디형목초(Turfgrass)가 토양유실 방지에 유리하다고 보고하 였다(Ahn and Choi, 2013). 또한 초지는 기본적으로 두과 및 화본과 목초를 2종 이상 파종하여야하며 표고, 지역 및 시비 등에 따른 혼파조합의 선발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Hwang et al., 2016; Jung et al., 2017; Kim et al., 2016; Kim et al., 2017; Sung et al., 2005) 경사수준에 따른 초종(Forage species) 및 혼파조합(Mixed pasture)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Lee et al.(1998)은 경사지에서 초지를 조성하였을 때 토양 유실량이 조성 1년차에서 ha당 약 18∼20t이 발생하며 조성 2년차에서 ha당 약 2∼4t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Adekalu et al.(2007)은 초지의 피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 의 침투가 적어져 토양유실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다. 즉, 초지의 피복도에 따라 토양유실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토양유실이 많아지게 된다면 목초 의 정착 또한 불리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부지역 35° 의 심한 경사의 절개지에 서 목초의 초종, 혼파조합 및 그물망 설치에 따른 초지의 생 산성, 식생변화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신속한 초지조성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시험포장

    본 시험은 2014년 9월 15일에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국 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35° 내외의 절개지에 목초를 파종하여 2016년 10월 14일까지 실 시하였다. 시험포장의 토양은 pH가 7.21로 적정범위인 6.0∼ 6.5보다 높았으며, 유기질 함량은 14.4g/kg로 적정범위인 25 ∼30g/kg 보다 낮았고, 인산함량은 105mg/kg로 적정수준인 80∼120mg/kg안에 분포하였다(Table 1). 시험포장에서 시험 년도와 평년의 기상조건을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평균기 온은 높았으며 강수량은 적었다(Figure 1, Figure 2).

    2. 시험처리 및 재배방법

    절개지에서 적합한 초종 및 혼파조합 선발을 위하여 사용 된 목초 및 파종량은 Table 2와 같다. 사용된 목초는 오차드 그라스(Orchardgrass; OG), 톨페스큐(Tall fescue; TF), 페레니 얼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PRG), 켄터키 블루그라스 (Kentucky bluegrass; KBG) 및 레드톱(Red top; RT)이었다. 목초별 품종으로서 OG는 Kodione, TF는 Purumi, PRG는 Linn, KBG는 Kenblue 및 RT는 Streaker를 이용하였다. 초종 선발의 시험구에서 주구는 토양유실 방지 도구로서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TF(30kg/ha), PRG(10kg/ha) 및 RT(12kg/ha)의 3가지 초종을 단파(Monoculture)한 것이었다. 혼파조합 선발의 시험구에서 주구는 토양유실 방지 도구로서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혼파조합 3가지로서 처리 구 A는 OG 위주 및 처리구 B는 TF 위주로서 상번초 위주이 고, 처리구 C는 PRG 위주로서 하번초 위주였다. 그물망 처리 는 일반 농가에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는 그물망(방조망 이 용)을 3겹으로 덮어 고정하였으며(Fig .3), 목초가 월동 후 재 생하기 전인 이듬해 3월 중순에 제거하였다.

    시험구의 면적은 6m2(2m×3m)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난괴 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예취는 1년 4회를 기준으로, 2015 년 1차 예취는 5월 18일, 2차는 7월 1일, 3차는 8월 19일 및 4차는 10월 21일에 예취하였으며, 2016년 1차 예취는 5월 12 일, 2차는 6월 29일, 3차는 8월 26일 및 4차는 10월 14일에 예취하였다. 월동 후 생육조사는 2015년 3월 10일에 실시하 였다.

    초지조성시 비료는 N – P2O5 – K2O = 80 – 200 – 70kg/ha를 시용하였으며, 관리 비료는 연간 N – P2O5 – K2O = 210 – 150 - 180kg/ha를 시용하였다. 관리비료의 시비방법은 질소비료를 이른 봄, 1차, 2차, 3차 및 4차 수확 후 각각 35, 30, 15, 0 및 20% 비율로 분시하였으며, 인산과 칼리는 이른 봄과 4차 수 확 후에 각각 50% 분시하였다.

    3. 예취시기별 초지 식생분류

    예취시기별 초지 식생분류는 시험구내에 30cm×30cm quadrat 를 설치하여 예취시기별로 quadrat 내의 생초를 예취 후 육안으로 각각의 초종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각의 생초는 65℃ 순환식 송풍 건조기에서 72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4. 수량성 분석

    수량은 시험구 6m2 전체를 예취하여 생초수량을 측정하였 으며, 그 중 300∼5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65℃ 순환식 송풍 건조기에서 72시간 정도 충분히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 여 건물률을 계산하였다. 건물수량은 생초수량에 건물률을 곱하여 환산하였다.

    5. 사료가치 분석

    사료가치 분석에 이용된 샘플은 건물중 측정 후 3개의 시 료에서 각각 일부를 취하여 20 mesh screen의 Wiley mill로 분쇄한 뒤 고르게 섞은 후 이중마개가 있는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분석하기 전까지 보관하였다. 시료의 CP (Crude protein)은 AOAC법(1990)으로, ADF(Acid detergent fiber) 및 NDF(Neutral detergent fiber)는 Goering and Van (1970)의 방법에서 사용되어지는 시약을 이용하여 Ankom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로 분석하였으며, in vitro 건 물 소화율(IVDMD)은 Tilly and Terry의 방법(1963)을 Moore (1970)가 수정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6.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ver. 9.1)를 이용하여 분 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5% 유의수준에서 처리구간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초종 및 혼파조합별 월동 후 생육특성

    초지조성 후 초종별 월동 후 생육특성은 Table 3과 같다. 피복도는 상번초인 TF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72 및 76%로 나타났으며, 하번초인 KBG 및 RT의 경우 그물 망 처리 유ꞏ무에 관계없이 모두 TF보다 낮았다. 또한 TF는 초 장에서도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16 및 18cm로 다른 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분얼수는 TF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1.6개로 나타나 2.6개인 RT에 비해 다소 적은 경향이었다. 이것은 파종 후 이듬해 봄 에 상대적으로 TF의 생육이 빠른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 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TF 및 RT에서 피복도가 각각 4 및 12% 높아졌으며, 잡초의 피복도 는 각각 12 및 9%가 낮아졌다. KBG의 경우 피복도가 3% 낮 아졌으나 잡초의 피복도는 11% 낮아졌다. 그러나 초장 및 분 얼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잡초의 비율을 줄여주고 목초의 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 었다. 이것은 35° 절개지에서 초지를 조성할 때 강우 등에 의 해 파종한 종자가 토양과 함께 쓸려 내려가는 것에 의한 유실 이 그물망을 처리함으로써 방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Ahn et al.(2002)이 30° 내외의 경사지에서 파종한 식물을 멀 칭했을 경우 침투하는 물의 양이 적어져 생장에 유리하였다 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외에도 그물망의 설치는 이 듬해 봄까지 토양을 고정시키는 효과로 인해 봄철 땅이 얼고 녹는 것에 의한 목초의 뿌리 들림 현상(서릿발 피해)을 방지 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초지조성 후 혼파조합별 월동 후 생육특성은 Table 4과 같 다.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각각 비교하였을 때 혼파조합 간 피복도, 나지율, 초장, 분얼경 및 도복률에서 차이가 없었 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피복도의 평균을 확인 하였을 때 처리구에서 18%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혼파조 합에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피복도를 높이고 나지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월동 후 초기생육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물망의 처 리는 초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목초의 피복도를 높이 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 인하였다.

    2. 초종 및 혼파조합별 초지식생 변화

    초종별 예취시기에 따른 식생변화는 Figure 4와 같다. TF의 목초 피복도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약 90% 이 상으로 나타나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KBG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상대적으로 온도 가 높았던 2015년 3차 예취 때 하고의 피해를 받아 상대적으 로 잡초의 비율이 높아졌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듬해 2016년 3차 예취 때는 피해 정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취횟수가 증가할수록 목초 피복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KBG가 잔디형 목초로서 해를 지나면서 더 넓게 분포된 뿌리로 인해 잡초의 비율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 된다. RT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여름철 잡초 의 비율이 높아져 KBG와 달리 예취횟수가 증가할수록 목초 피복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T의 피복도는 KBG와 비교하여 2015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는 4%가 높았고 처리구에서는 4%나 낮아 차이가 크지 않았 던 것과 비교하여, 2016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 그물망 무처 리구 및 처리구가 각각 19 및 6%가 낮게 나타나 본 실험환경 에서 상대적으로 생육이 불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3 가지 초종 중에서 TF 단파가 초기정착에서도 유리하였으며 그 식생이 조성 2년차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중부지역 35° 경사지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TF는 피복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KBG의 피복도는 2016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는 차 이가 없었으나 2015년 4회 예취의 평균의 경우 그물망 처리 구에서 13%가 높게 나타나 그물망 처리가 초기정착에 유리 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RT의 피복도는 여름철 잡초 의 비율이 다른 초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물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2015년 및 2016년 4회 예취의 평 균에서 각각 5 및 8%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물망의 처 리가 목초의 초기정착에 도움을 주어 KBG 및 RT 단파에서 잡초비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혼파조합별 예취시기에 따른 식생변화는 Figure 5와 같다. O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PRG의 비율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63 및 67%로 나타났으 나 2015년 2차 예취 때 크게 감소하여 각각 8 및 9%로 나타 났으며 2016년 4차 예취 때는 모두 1%이하로 떨어졌다. 이것 은 초기생육이 다른 목초에 비해 양호한 PRG가 빠르게 피복 되었으나 여름철 하고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비율 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Ji et al., 2010; Ji et al., 2011).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도 PRG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68 및 67%로 나타났으며 2015년 2 차 예취 때 5 및 10%로 OG 위주의 혼파조합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특이했던 점은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OG의 비율이 2015년 2차 예취 때 모두 78%로 O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2015년 2차 예취 때 OG 비 율과 차이가 없었으며, 그 후의 예취에서도 OG의 비율이 TF 보다 모두 높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양의 pH는 7.21로서 작물 생육의 적정 수준이라 고 보고한 pH 5∼7 사이의 범위(Jones et al., 1982)보다 다소 높으나 모든 작물의 생육에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TF 보다 상대적으로 생육이 빠르나 습해에 취약하다 고 알려져 있는 OG의 경우(Hwang et al. 2016) 경사지의 특 성상 습해의 피해를 받지 않았으며, TF 보다 빠르게 생육하 여 우점하였다. 한편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OG 위주의 혼 파조합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는 잡초비율이 7% 이하로 나타났으며 나지비율 또한 4% 이하로 목초비율이 높게 나타 났다. PRG 위주의 혼파조합의 경우 PRG의 비율이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90 및 88%로 나타났으며 2015년 2차 예취 때 각각 80 및 85%로 나타난 뒤 2015년 3차 예취 때부터 크게 감소하여 2016년 4차 예취 때 는 1%이하로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앞선 OG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과 같이 하고의 피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PRG가 하고의 피해를 받아 소멸된 자리에 잡초가 발생하여 2015년 3차 예취 때 잡초의 비율이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25 및 12%로 증가하였으며 2016년 4차 예취 때는 각각 18 및 14%로 OG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 보 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확인하였을 때 OG와 TF 위주의 혼파조합은 처리에 따른 차 이가 없었으나, PR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는 그물망을 처리 한 것에서 모든 예취시기 때 잡초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목초의 초지식생 변화에서 초종은 초기정 착과 이후 예취에도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도를 유지하였던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은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 도를 유지하였던 OG 및 TF 위주가 유리하였다. 또한 그물망 을 처리하는 것은 KBG 및 RT 단파에서, 혼파조합 PRG 위주 에서 잡초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 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 초종 및 혼파조합별 목초 생산성

    예취시기에 따른 초종별 목초 생산성은 Table 5와 같다. 2015과 2016년의 건물수량의 평균을 확인하였을 때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TF와 KBG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p<0.05), RT는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예취시기 별 건물수량을 확인하면 TF는 2015년 1차 예취 때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KBG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p>0.05) 각각 1,196 및 682kg/ha의 차이가 있 었으며, RT보다는 유의적으로(p<0.05) 건물수량이 높았다. 또 한 다른 초종이 2015년 4차 예취 때 건물수량이 1,000kg/ha 아래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예취가 진행됨에 따라 변동폭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KBG는 그물 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2015년 4차 예취 때 TF 보다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전체 평균건물수 량은 TF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RT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 평균건물수량이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RT는 KBG와 마찬가지로 2015년 4차 예취 때 하고의 피해를 받아 수량이 적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으며, 2016년에서도 다른 2개 초종에 비해 수량 이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초종별 비교에서는 초기 생육에서 TF 단파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 록 초기 정착 때는 TF 단파 보다 낮았으나 안정화된 뒤 2년 차에서는 KBG 단파의 수량이 다소 높았다. 한편 각 초종별 로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3가지 초종 모 두 예취시기 및 총 건물수량에서 그물망 처리에 따른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것은 모든 초종에서 나지의 비 율이 낮았던 것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Figure 2). 그러나 비 록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조성 1년차와 2년차의 건물수량을 비교하면 TF는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2,716kg/ha 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3,497kg/ha가 증가하였다. 또한 KBG 는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5,651kg/ha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6,544kg/ha가 증가하여 그물망을 처리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건물수량이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물망 을 처리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목초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이는 추후에 지속적인 조사 및 검 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취시기에 따른 혼파조합별 목초 생산성은 Table 6과 같 다.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 관계없이 전체 건물수량은 모 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 이유는 조성 1년차에서는 그 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혼파조합에서 1차 예취 때 초기 생육이 빠른 PRG가 우점함으로서(Figure 5) 수량의 차이가 없 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PRG 위주의 혼파조합의 경우 4 차 예취 때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p<0.05) 낮았음에도 불구 하고 전체 건물수량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유의적인 차이 는 없으나(p>0.05) 1차 예취 때 PRG 위주의 파종으로 다른 혼파조합에 비해 다소 건물수량이 높았던 것에 기인한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조성 2년차에서는 모두 안정화가 되어 차 이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 를 비교하였을 때 모든 혼파조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p>0.05). 이것은 초종별 비교와 마찬가지로 모든 혼파조합 에서 나지의 비율이 낮은 것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Figure 3). 또한 초종과 마찬가지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p>0.05) 조성 1년차와 2년차의 건물수량을 비교하면 OG, TF 및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각각 811, 222 및 2,145kg/ha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각각 1,915, 1,997 및 2,885kg/ha로 나타나 그물망 처리구의 건물수량 증가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초종별 목초 생산성은 전체 수량으로 봤을 때는 TF 와 KBG 단파가 우수하였으나, KBG 단파의 경우 TF 단파보 다 잡초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TF가 상대적으로 모든 예취 시기에서 기복이 적은 생산성을 보여주었고, KBG는 안정화 된 뒤 조성 2년차에 건물수량이 높아졌다. 혼파조합에서는 처 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물망을 처 리한 것은 모든 처리구에서 나지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초 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그러나 초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그물망 처리구 의 건물수량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 여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초종 및 혼파조합별 사료가치

    예취시기에 따른 초종별 사료가치는 Table 7과 같다. 2015 년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KBG의 CP 함량이 각각 14.2 및 12.9%로 나타나 가장 높았으며 TF의 함량이 각각 10.6 및 10.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Lee et al.(2003) 에서 CP 함량이 KBG가 다른 하번초형 목초보다 높았으며 RT 및 TF의 순으로 나타난 경향과 같게 나타났다. 그러나 2016년에서는 2015년과 달리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CP 함량이 RT, KBG 및 TF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NDF 및 ADF에서는 2015년 TF가 다른 두 초종에 비해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2016년에 는 세 초종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 를 비교하였을 때 2015년 KBG에서만 1.3%의 차이가 있었으 며 다른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예취시기에 따른 혼파조합별 사료가치는 Table 8과 같다. 2015년도 CP 함량은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OG 위주의 혼파 조합이 11.0%로 가장 높고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9.7% 가 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 처리구에서 CP 함량은 TF 위 주의 혼파조합이 11.7%로 가장 높고 OG 위주의 혼파조합이 10.3%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 모두 CP 함량의 차이가 1% 내외로 크지 않았다. 또한 NDF, ADF 및 TDN도 차이가 1% 내외로 크지 않았다. 이것은 Lee and Lee(2003)가 상번초의 혼파조합과 상ꞏ하번초의 혼파조합을 비교하였을 때 CP, NDF 및 ADF 등의 사료성분 간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한 것과 같은 경향이었다. 2016년에서는 그물 망 무처리구에서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NDF 및 ADF가 다 른 혼파조합에 비해 약 2∼3%가 낮게 나타나 TDN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물망 처리구에서는 PRG 위주의 혼파 조합의 NDF가 OG 위주와 비슷하지만 ADF가 다른 혼파조합 보다 약 3%가 낮게 나타나 그물망 무처리구와 마찬가지로 TDN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를 비교하 였을 때는 모든 처리구에서 사료성분의 차이가 1% 내외로 크 지 않았다.

    따라서 초종에서 사료가치는 조성 1년차의 경우 CP 함량에 서 KBG 및 RT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NDF 및 ADF 함량에서 는 TF 단파가 우수하였다. 그러나 조성 2년차에서는 그 차이 가 미미하였다. 혼파조합은 조성 1년차의 경우 사료성분의 함 량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성 2년차에서는 PRG 위주의 혼파조 합에서 NDF, ADF 및 TDN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 을 처리한 것은 초종 및 혼파조합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초기 목초 피복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식생 을 유지하였으며, 혼파조합은 OG 및 TF 위주가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의 처 리는 목초의 초기정착과 그 이후 식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봄철 뿌리 들림 현상(서릿발 피해) 을 방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 요 약

    본 연구는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 혼파조 합 및 그물망 설치에 따른 초지의 생산성, 식생변화 및 사료 가치를 조사하여 신속한 초지조성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시험은 2014년에 중부지역 35°내외의 절개 지에 초지를 조성하여 2015년과 2016년의 월동 후 생육특성, 식생변화, 목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확인하였다. 초종별에 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TF, PRG 및 RT의 3가지 초종이었다. 혼파조합별에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혼파조합 3가지로서 처리구 A는 OG위주, 처리구 B는 TF위주 및 처리구 C는 PRG 위주였다. 그물망(방조망 이용)은 일반 농가에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 는 그물망을 3겹으로 처리하였다. 월동 후 생육에서 초종별은 목초 피복도 측면에서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 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물망의 처리는 초종 및 혼파조합별 에서 모두 목초의 피복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정착 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초지식생 변화에서 초종별은 초 기정착과 이후 예취에도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도를 유지하였 던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목초 피복도를 지 속적으로 유지한 OG 및 TF 위주가 유리하였다. 또한 그물망 의 처리는 초종 KBG 및 RT 단파와 혼파조합 PRG 위주에서 잡초의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목초 생산성에서 초종 별은 TF 및 KBG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종별의 사료가치는 조성 1년차 에서 CP 함량으로 KBG 및 RT 단파가, NDF 및 ADF 함량으 로 TF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조성 2년차는 차이가 미미하였 다. 혼파조합별은 조성 1년차에서 사료가치의 차이가 없었으 나, 조성 2년차는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NDF, ADF 및 TDN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초 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을 종합하 면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초기 목초 피복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였으며, 혼파 조합은 OG 및 TF 위주가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여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목초의 초 기정착과 그 이후 식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Ⅴ.사 사

    Ⅴ.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세부과제명: 난지형 목초 신작목 선발 및 우량계통 육성, 세부과제번호: PJ011935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본 연구는 2018년도 농촌진흥청 학・연협동연구과정 지원 사업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GFS-38-61_F1.gif

    Mean air temperatur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and 30 years average in middle region of Korea.

    KGFS-38-61_F2.gif

    Amount of precipita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and 30 years average in middle region of Korea.

    KGFS-38-61_F3.gif

    Picture of the treated mesh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KGFS-38-61_F4.gif

    Botanical composition of three monocul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 : Tall fescue(Purumi; 30kg/ha), (2) : Kentucky bluegrass(Kenblue; 10kg/ha), (3) : Red top(Streaker; 12kg/ha)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KGFS-38-61_F5.gif

    Botanical composition of three mixed pas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 : Orchardgrass(Kodione; 16kg/ha) + Tall fescue(Purumi; 9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2) : Orchardgrass(Kodione; 9kg/ha) + Tall fescue(Purumi; 16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 (Kenblue; 2kg/ha), (3) : Perennial ryegrass(Linn; 10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3kg/ha) + Red top(Streaker; 4kg/ha)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Table

    Chemical soil properties of the experimental field

    1)T-N = total nitrogen,
    2)OM = organic matter,
    3)CEC = cation exchange capacity.

    Descriptions of species and seeding rate about monocultures and mixed pastures

    1)TF : Tall fescue,
    2)KBG : Kentucky bluegrass,
    3)RT : Red top,
    4)Orchardgrass oriented mixed,
    5)Tall fescue oriented mixed,
    6)Perennial ryegrass oriented mixed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before wintering three monocul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TF : Tall fescue,
    2)KBG : Kentucky bluegrass,
    3)RT : Red top
    ·(1~9): 1 = strong(outstanding), 9 = weak(po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before wintering three mixed pas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9): 1 = strong(outstanding), 9 = weak(poor)
    1)Orchardgrass(Kodione; 16kg/ha) + Tall fescue(Purumi; 9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2)Orchardgrass(Kodione; 9kg/ha) + Tall fescue(Purumi; 16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3)Perennial ryegrass(Linn; 10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3kg/ha) + Red top(Streaker; 4kg/ha)

    Plant length, fresh matter yield and dry matter yield of three monocul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TF : Tall fescue,
    2)KBG : Kentucky bluegrass,
    3)RT : Red top
    a-dMean in a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i>p</i><0.05)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Plant length, fresh matter yield and dry matter yield of three mixed pas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Orchardgrass(Kodione; 16kg/ha) + Tall fescue(Purumi; 9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2)Orchardgrass(Kodione; 9kg/ha) + Tall fescue(Purumi; 16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3)Perennial ryegrass(Linn; 10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3kg/ha) + Red top(Streaker; 4kg/ha)
    a-cMean in a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i>p</i><0.05)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Forage quality of three monocul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TF : Tall fescue,
    2)CP: Crude protein,
    3)NDF: Neutral detergent fiber,
    4)ADF: Acid detergent fiber,
    5)IVDMD: <i>In vitro</i> dry matter disappearance,
    6)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7)KBG : Kentucky bluegrass,
    8)RT : Red top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Forage quality of three mixed pastures at 35 degree angle of cutting area

    1)Orchardgrass(Kodione; 16kg/ha) + Tall fescue(Purumi; 9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2kg/ha),
    2)CP: Crude protein,
    3)NDF: Neutral detergent fiber,
    4)ADF: Acid detergent fiber,
    5)IVDMD: <i>In vitro</i> dry matter disappearance,
    6)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7)Orchardgrass(Kodione; 9kg/ha) + Tall fescue(Purumi; 16kg/ha) + Perennial ryegrass(Linn; 3kg/ha) + Kentucky bluegrass (Kenblue; 2kg/ha),
    8)Perennial ryegrass(Linn; 10kg/ha) + Kentucky bluegrass(Kenblue; 3kg/ha) + Red top(Streaker; 4kg/ha)
    *2015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8, 7/1, 8/19 and 10/21, respectively
    **2016 year harvesting time of 1st, 2nd, 3rd and 4th were 5/12, 6/29, 8/26, and 10/14, respectively

    Reference

    1. K.O. Adekalu , I.A. Olorunfemi , J.A. Osunbitan (2007) Grass mulching effect on infiltration, surface runoff and soil loss of three agricultural soils in Nigeria., Bioresour. Technol., Vol.98 ; pp.912-917
    2. T.B. Ahn , S.D. Cho , S.C. Yang (2002) Stabilization of soil slope using geosynthetic mulching mat., Geotext. Geomembr., Vol.20 ; pp.135-146
    3. B.G. Ahn , J.S. Choi (2013) Effect of turfgrasses to prevent soil erosion., Korean Society of Weed Science and The Turfgrass Society of Korea., Vol.2 ; pp.381-386
    4.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5. H.K. Goering ,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 Handbook. No. 379. ARS., USDA,
    6. T.Y. Hwang , H.C. Ji , K.Y. Kim , S.H. Lee , K.W. Lee , K.J. Choi (2016) Effect of mixed pasture using domestic varieties Orchardgrass ‘Kodione’ and Tall fescue ‘Purumi’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6 ; pp.89-97
    7. H.J. Ji , S.H. Lee , S.H. Yoon , K.W. Lee , Y.C. Lim (2010) Selection of pasture species at paddy field in the middle region of Korea.,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0 ; pp.103-108
    8. H.J. Ji , O.D. Kwon , W.H. Kim , Y.C. Lim , J.H. Cho , K.W. Lee (2011) Selection of pasture species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2 ; pp.113-118
    9. U.S. Jones (1982) Fertilizers and soil fertility., Reston Publishing Company, ; pp.219-222
    10. J.S. Jung , J.G. Kim , H.S. Kim , H.S. Park , K.C. Choi , S.H. Lee , H.J. Ji , G.J. Choi , W.H. Kim (2017) The effects of grass seed mixtures using domestic cultivar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in low productive hilly pasture, central region of Korea.,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7 ; pp.132-139
    11. B.Y. Kim (2014) Productive improvement and establishment in silvopastroal systems., RDA,
    12. J.G. Kim , Y.W. Li , M.J. Kim , H.J. Kim , S.I. Jeong , J.S. Jung , H.S. Park (2016) Effect of species and seed mixture on productivity,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quality in middle mountainous pasture.,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6 ; pp.135-141
    13. J.G. Kim , Y.W. Li , M.J. Kim , H.J. Kim , S.K. Choi , J.D. Kim (2017) Effect of seed mixture and organic fertilizer application on productivity,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quality in middle mountainous pasture.,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37 ; pp.337-344
    14. I.D. Lee , H.S. Lee (2003)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all + short type mixtures.,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23 ; pp.121-128
    15. H.S. Lee , I.D. Lee , J.H. Lee (2003) A comparative study on dry matter yield and quality of turf grasses.,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23 ; pp.187-192
    16. J.K. Lee , Y.C. Lim , S.H. Yoon , M.J. Kim , G.J. Park , J.S. Yang , S.S. Choi , S.C. Lee (1998) Effects of the pasture types and the leveling methods of seedbed on the runoff, soil loss, botanical composition, dry matter yield of forage and economical value.,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18 ; pp.55-60
    17. S.K. Lee (1994) The importance of grassland and the direction of grassland science education in college.,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14 ; pp.149-156
    18. MAFRA (2014) Main statistics in agriculture, livestock, and food.,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9. MAFRA (2016) Forage production and utilization for animal production., Minister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 R.E. Moor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v. of Florida, Dept. of Animal Sci,
    21. K.I. Sung , J.W. Lee , J.W. Jung , J.K. Lee (2005) Effect of mixture types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yield in alpine pasture., Han-guk Choji Josaryo Hakoeji, Vol.25 ; pp.259-266
    22. J.M.A. Tilley , R.A. Terry (1963) A two-stage technique for th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crops., Grass Forage Sci., Vol.18 ; pp.104-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