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우리나라의 최근 5년간 조사료 자급률은 82% 내외이나 볏 짚을 제외한 양질 조사료 자급률은 49%에 불과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MAFRA, 2016). 따라서 양질의 조사료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생산기반이 필요하며 농림축산식품부는 2014년부터 산지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축산 업 육성을 위해 산지생태축산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MAFRA, 2014).
산지생태축산을 위해 산지초지를 조성할 때는 지형정지, 축사시설 및 부속시설의 배치 등의 기반조성이 이루어져야 장기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기반조성 시 필수적으로 발생하 는 것이 절개지(切開地; Cutting area)이다. 절개지는 지형에 따라 경사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Kim(2014)은 경사 도별 등급을 0∼2°: 평탄, 3∼7°: 매우 약한 경사, 8∼15°: 약한 경사, 16∼30°: 경사, 31∼60°: 심한 경사 및 61° 이상: 매우 심 한 경사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절개지는 토양의 유실 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며, Lee(1994)는 토양유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초지라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초지를 구성하는 목초 중에서도 특히 경사지에서 잔디형목초(Turfgrass)가 토양유실 방지에 유리하다고 보고하 였다(Ahn and Choi, 2013). 또한 초지는 기본적으로 두과 및 화본과 목초를 2종 이상 파종하여야하며 표고, 지역 및 시비 등에 따른 혼파조합의 선발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Hwang et al., 2016; Jung et al., 2017; Kim et al., 2016; Kim et al., 2017; Sung et al., 2005) 경사수준에 따른 초종(Forage species) 및 혼파조합(Mixed pasture)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Lee et al.(1998)은 경사지에서 초지를 조성하였을 때 토양 유실량이 조성 1년차에서 ha당 약 18∼20t이 발생하며 조성 2년차에서 ha당 약 2∼4t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 Adekalu et al.(2007)은 초지의 피복도가 높아짐에 따라 물 의 침투가 적어져 토양유실이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 하였다. 즉, 초지의 피복도에 따라 토양유실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토양유실이 많아지게 된다면 목초 의 정착 또한 불리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부지역 35° 의 심한 경사의 절개지에 서 목초의 초종, 혼파조합 및 그물망 설치에 따른 초지의 생 산성, 식생변화 및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신속한 초지조성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Ⅱ. 재료 및 방법
1. 시험포장
본 시험은 2014년 9월 15일에 충청남도 천안에 위치한 국 립축산과학원 축산자원개발부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35° 내외의 절개지에 목초를 파종하여 2016년 10월 14일까지 실 시하였다. 시험포장의 토양은 pH가 7.21로 적정범위인 6.0∼ 6.5보다 높았으며, 유기질 함량은 14.4g/kg로 적정범위인 25 ∼30g/kg 보다 낮았고, 인산함량은 105mg/kg로 적정수준인 80∼120mg/kg안에 분포하였다(Table 1). 시험포장에서 시험 년도와 평년의 기상조건을 비교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평균기 온은 높았으며 강수량은 적었다(Figure 1, Figure 2).
2. 시험처리 및 재배방법
절개지에서 적합한 초종 및 혼파조합 선발을 위하여 사용 된 목초 및 파종량은 Table 2와 같다. 사용된 목초는 오차드 그라스(Orchardgrass; OG), 톨페스큐(Tall fescue; TF), 페레니 얼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 PRG), 켄터키 블루그라스 (Kentucky bluegrass; KBG) 및 레드톱(Red top; RT)이었다. 목초별 품종으로서 OG는 Kodione, TF는 Purumi, PRG는 Linn, KBG는 Kenblue 및 RT는 Streaker를 이용하였다. 초종 선발의 시험구에서 주구는 토양유실 방지 도구로서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TF(30kg/ha), PRG(10kg/ha) 및 RT(12kg/ha)의 3가지 초종을 단파(Monoculture)한 것이었다. 혼파조합 선발의 시험구에서 주구는 토양유실 방지 도구로서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혼파조합 3가지로서 처리 구 A는 OG 위주 및 처리구 B는 TF 위주로서 상번초 위주이 고, 처리구 C는 PRG 위주로서 하번초 위주였다. 그물망 처리 는 일반 농가에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는 그물망(방조망 이 용)을 3겹으로 덮어 고정하였으며(Fig .3), 목초가 월동 후 재 생하기 전인 이듬해 3월 중순에 제거하였다.
시험구의 면적은 6m2(2m×3m)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난괴 법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예취는 1년 4회를 기준으로, 2015 년 1차 예취는 5월 18일, 2차는 7월 1일, 3차는 8월 19일 및 4차는 10월 21일에 예취하였으며, 2016년 1차 예취는 5월 12 일, 2차는 6월 29일, 3차는 8월 26일 및 4차는 10월 14일에 예취하였다. 월동 후 생육조사는 2015년 3월 10일에 실시하 였다.
초지조성시 비료는 N – P2O5 – K2O = 80 – 200 – 70kg/ha를 시용하였으며, 관리 비료는 연간 N – P2O5 – K2O = 210 – 150 - 180kg/ha를 시용하였다. 관리비료의 시비방법은 질소비료를 이른 봄, 1차, 2차, 3차 및 4차 수확 후 각각 35, 30, 15, 0 및 20% 비율로 분시하였으며, 인산과 칼리는 이른 봄과 4차 수 확 후에 각각 50% 분시하였다.
3. 예취시기별 초지 식생분류
예취시기별 초지 식생분류는 시험구내에 30cm×30cm quadrat 를 설치하여 예취시기별로 quadrat 내의 생초를 예취 후 육안으로 각각의 초종을 분리하였다. 분리한 각각의 생초는 65℃ 순환식 송풍 건조기에서 72시간 충분히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4. 수량성 분석
수량은 시험구 6m2 전체를 예취하여 생초수량을 측정하였 으며, 그 중 300∼500g의 시료를 채취하여 65℃ 순환식 송풍 건조기에서 72시간 정도 충분히 건조한 후 건물중을 측정하 여 건물률을 계산하였다. 건물수량은 생초수량에 건물률을 곱하여 환산하였다.
5. 사료가치 분석
사료가치 분석에 이용된 샘플은 건물중 측정 후 3개의 시 료에서 각각 일부를 취하여 20 mesh screen의 Wiley mill로 분쇄한 뒤 고르게 섞은 후 이중마개가 있는 플라스틱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분석하기 전까지 보관하였다. 시료의 CP (Crude protein)은 AOAC법(1990)으로, ADF(Acid detergent fiber) 및 NDF(Neutral detergent fiber)는 Goering and Van (1970)의 방법에서 사용되어지는 시약을 이용하여 Ankom fiber analyzer(Ankom technology)로 분석하였으며, in vitro 건 물 소화율(IVDMD)은 Tilly and Terry의 방법(1963)을 Moore (1970)가 수정한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6. 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Enterprise Guide(ver. 9.1)를 이용하여 분 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에 의하여 5% 유의수준에서 처리구간의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Ⅲ. 결과 및 고찰
1. 초종 및 혼파조합별 월동 후 생육특성
초지조성 후 초종별 월동 후 생육특성은 Table 3과 같다. 피복도는 상번초인 TF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72 및 76%로 나타났으며, 하번초인 KBG 및 RT의 경우 그물 망 처리 유ꞏ무에 관계없이 모두 TF보다 낮았다. 또한 TF는 초 장에서도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16 및 18cm로 다른 초종에 비해 높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분얼수는 TF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1.6개로 나타나 2.6개인 RT에 비해 다소 적은 경향이었다. 이것은 파종 후 이듬해 봄 에 상대적으로 TF의 생육이 빠른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 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TF 및 RT에서 피복도가 각각 4 및 12% 높아졌으며, 잡초의 피복도 는 각각 12 및 9%가 낮아졌다. KBG의 경우 피복도가 3% 낮 아졌으나 잡초의 피복도는 11% 낮아졌다. 그러나 초장 및 분 얼수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잡초의 비율을 줄여주고 목초의 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 었다. 이것은 35° 절개지에서 초지를 조성할 때 강우 등에 의 해 파종한 종자가 토양과 함께 쓸려 내려가는 것에 의한 유실 이 그물망을 처리함으로써 방지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Ahn et al.(2002)이 30° 내외의 경사지에서 파종한 식물을 멀 칭했을 경우 침투하는 물의 양이 적어져 생장에 유리하였다 는 보고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외에도 그물망의 설치는 이 듬해 봄까지 토양을 고정시키는 효과로 인해 봄철 땅이 얼고 녹는 것에 의한 목초의 뿌리 들림 현상(서릿발 피해)을 방지 하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초지조성 후 혼파조합별 월동 후 생육특성은 Table 4과 같 다.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각각 비교하였을 때 혼파조합 간 피복도, 나지율, 초장, 분얼경 및 도복률에서 차이가 없었 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피복도의 평균을 확인 하였을 때 처리구에서 18%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혼파조 합에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피복도를 높이고 나지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월동 후 초기생육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물망의 처 리는 초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목초의 피복도를 높이 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정착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확 인하였다.
2. 초종 및 혼파조합별 초지식생 변화
초종별 예취시기에 따른 식생변화는 Figure 4와 같다. TF의 목초 피복도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약 90% 이 상으로 나타나 가장 안정적으로 정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KBG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상대적으로 온도 가 높았던 2015년 3차 예취 때 하고의 피해를 받아 상대적으 로 잡초의 비율이 높아졌던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듬해 2016년 3차 예취 때는 피해 정도가 낮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예취횟수가 증가할수록 목초 피복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KBG가 잔디형 목초로서 해를 지나면서 더 넓게 분포된 뿌리로 인해 잡초의 비율이 낮아진 것으로 판단 된다. RT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여름철 잡초 의 비율이 높아져 KBG와 달리 예취횟수가 증가할수록 목초 피복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RT의 피복도는 KBG와 비교하여 2015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는 4%가 높았고 처리구에서는 4%나 낮아 차이가 크지 않았 던 것과 비교하여, 2016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 그물망 무처 리구 및 처리구가 각각 19 및 6%가 낮게 나타나 본 실험환경 에서 상대적으로 생육이 불리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3 가지 초종 중에서 TF 단파가 초기정착에서도 유리하였으며 그 식생이 조성 2년차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중부지역 35° 경사지에 유리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TF는 피복도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KBG의 피복도는 2016년 4회 예취의 평균에서는 차 이가 없었으나 2015년 4회 예취의 평균의 경우 그물망 처리 구에서 13%가 높게 나타나 그물망 처리가 초기정착에 유리 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RT의 피복도는 여름철 잡초 의 비율이 다른 초종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물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2015년 및 2016년 4회 예취의 평 균에서 각각 5 및 8%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그물망의 처 리가 목초의 초기정착에 도움을 주어 KBG 및 RT 단파에서 잡초비율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었다.
혼파조합별 예취시기에 따른 식생변화는 Figure 5와 같다. O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PRG의 비율은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63 및 67%로 나타났으 나 2015년 2차 예취 때 크게 감소하여 각각 8 및 9%로 나타 났으며 2016년 4차 예취 때는 모두 1%이하로 떨어졌다. 이것 은 초기생육이 다른 목초에 비해 양호한 PRG가 빠르게 피복 되었으나 여름철 하고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급격하게 비율 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Ji et al., 2010; Ji et al., 2011).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도 PRG는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68 및 67%로 나타났으며 2015년 2 차 예취 때 5 및 10%로 OG 위주의 혼파조합과 같은 경향이 나타났다.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특이했던 점은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OG의 비율이 2015년 2차 예취 때 모두 78%로 O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 2015년 2차 예취 때 OG 비 율과 차이가 없었으며, 그 후의 예취에서도 OG의 비율이 TF 보다 모두 높았다는 것이다. 그 이유에 대한 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토양의 pH는 7.21로서 작물 생육의 적정 수준이라 고 보고한 pH 5∼7 사이의 범위(Jones et al., 1982)보다 다소 높으나 모든 작물의 생육에 문제가 없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TF 보다 상대적으로 생육이 빠르나 습해에 취약하다 고 알려져 있는 OG의 경우(Hwang et al. 2016) 경사지의 특 성상 습해의 피해를 받지 않았으며, TF 보다 빠르게 생육하 여 우점하였다. 한편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OG 위주의 혼 파조합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는 잡초비율이 7% 이하로 나타났으며 나지비율 또한 4% 이하로 목초비율이 높게 나타 났다. PRG 위주의 혼파조합의 경우 PRG의 비율이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2015년 1차 예취 때 각각 90 및 88%로 나타났으며 2015년 2차 예취 때 각각 80 및 85%로 나타난 뒤 2015년 3차 예취 때부터 크게 감소하여 2016년 4차 예취 때 는 1%이하로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이것은 앞선 OG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과 같이 하고의 피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PRG가 하고의 피해를 받아 소멸된 자리에 잡초가 발생하여 2015년 3차 예취 때 잡초의 비율이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각각 25 및 12%로 증가하였으며 2016년 4차 예취 때는 각각 18 및 14%로 OG 및 TF 위주의 혼파조합 보 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확인하였을 때 OG와 TF 위주의 혼파조합은 처리에 따른 차 이가 없었으나, PRG 위주의 혼파조합에서는 그물망을 처리 한 것에서 모든 예취시기 때 잡초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목초의 초지식생 변화에서 초종은 초기정 착과 이후 예취에도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도를 유지하였던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은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 도를 유지하였던 OG 및 TF 위주가 유리하였다. 또한 그물망 을 처리하는 것은 KBG 및 RT 단파에서, 혼파조합 PRG 위주 에서 잡초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영향 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 초종 및 혼파조합별 목초 생산성
예취시기에 따른 초종별 목초 생산성은 Table 5와 같다. 2015과 2016년의 건물수량의 평균을 확인하였을 때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TF와 KBG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p<0.05), RT는 그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예취시기 별 건물수량을 확인하면 TF는 2015년 1차 예취 때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KBG와 유의적인 차이는 없지만(p>0.05) 각각 1,196 및 682kg/ha의 차이가 있 었으며, RT보다는 유의적으로(p<0.05) 건물수량이 높았다. 또 한 다른 초종이 2015년 4차 예취 때 건물수량이 1,000kg/ha 아래의 수준으로 떨어지는 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예취가 진행됨에 따라 변동폭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KBG는 그물 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2015년 4차 예취 때 TF 보다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전체 평균건물수 량은 TF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RT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 평균건물수량이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RT는 KBG와 마찬가지로 2015년 4차 예취 때 하고의 피해를 받아 수량이 적었음을 확 인할 수 있었으며, 2016년에서도 다른 2개 초종에 비해 수량 이 유의적으로(p<0.05)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초종별 비교에서는 초기 생육에서 TF 단파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비 록 초기 정착 때는 TF 단파 보다 낮았으나 안정화된 뒤 2년 차에서는 KBG 단파의 수량이 다소 높았다. 한편 각 초종별 로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를 비교하였을 때, 3가지 초종 모 두 예취시기 및 총 건물수량에서 그물망 처리에 따른 유의적 인 차이가 없었다(p>0.05). 이것은 모든 초종에서 나지의 비 율이 낮았던 것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Figure 2). 그러나 비 록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p>0.05) 조성 1년차와 2년차의 건물수량을 비교하면 TF는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2,716kg/ha 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3,497kg/ha가 증가하였다. 또한 KBG 는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5,651kg/ha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6,544kg/ha가 증가하여 그물망을 처리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건물수량이 많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그물망 을 처리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목초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칠 것으로 생각되나, 이는 추후에 지속적인 조사 및 검 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예취시기에 따른 혼파조합별 목초 생산성은 Table 6과 같 다.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 관계없이 전체 건물수량은 모 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 이유는 조성 1년차에서는 그 물망 처리에 관계없이 모든 혼파조합에서 1차 예취 때 초기 생육이 빠른 PRG가 우점함으로서(Figure 5) 수량의 차이가 없 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PRG 위주의 혼파조합의 경우 4 차 예취 때 건물수량이 유의적으로(p<0.05) 낮았음에도 불구 하고 전체 건물수량에서 차이가 없었던 것은 유의적인 차이 는 없으나(p>0.05) 1차 예취 때 PRG 위주의 파종으로 다른 혼파조합에 비해 다소 건물수량이 높았던 것에 기인한 것으 로 판단된다. 또한 조성 2년차에서는 모두 안정화가 되어 차 이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 를 비교하였을 때 모든 혼파조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 다(p>0.05). 이것은 초종별 비교와 마찬가지로 모든 혼파조합 에서 나지의 비율이 낮은 것에 기인한 것이라 판단된다(Figure 3). 또한 초종과 마찬가지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p>0.05) 조성 1년차와 2년차의 건물수량을 비교하면 OG, TF 및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각각 811, 222 및 2,145kg/ha가, 그물망 처리구에서 각각 1,915, 1,997 및 2,885kg/ha로 나타나 그물망 처리구의 건물수량 증가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초종별 목초 생산성은 전체 수량으로 봤을 때는 TF 와 KBG 단파가 우수하였으나, KBG 단파의 경우 TF 단파보 다 잡초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TF가 상대적으로 모든 예취 시기에서 기복이 적은 생산성을 보여주었고, KBG는 안정화 된 뒤 조성 2년차에 건물수량이 높아졌다. 혼파조합에서는 처 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물망을 처 리한 것은 모든 처리구에서 나지의 비율이 낮았기 때문에 초 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 았다. 그러나 초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그물망 처리구 의 건물수량 증가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관련하 여 지속적인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 초종 및 혼파조합별 사료가치
예취시기에 따른 초종별 사료가치는 Table 7과 같다. 2015 년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KBG의 CP 함량이 각각 14.2 및 12.9%로 나타나 가장 높았으며 TF의 함량이 각각 10.6 및 10.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Lee et al.(2003) 에서 CP 함량이 KBG가 다른 하번초형 목초보다 높았으며 RT 및 TF의 순으로 나타난 경향과 같게 나타났다. 그러나 2016년에서는 2015년과 달리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CP 함량이 RT, KBG 및 TF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NDF 및 ADF에서는 2015년 TF가 다른 두 초종에 비해 그물망 무 처리 및 처리구에서 모두 낮은 결과가 나타났으며 2016년에 는 세 초종 모두 차이가 없었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 를 비교하였을 때 2015년 KBG에서만 1.3%의 차이가 있었으 며 다른 처리구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예취시기에 따른 혼파조합별 사료가치는 Table 8과 같다. 2015년도 CP 함량은 그물망 무처리구에서 OG 위주의 혼파 조합이 11.0%로 가장 높고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9.7% 가 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 처리구에서 CP 함량은 TF 위 주의 혼파조합이 11.7%로 가장 높고 OG 위주의 혼파조합이 10.3%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구 모두 CP 함량의 차이가 1% 내외로 크지 않았다. 또한 NDF, ADF 및 TDN도 차이가 1% 내외로 크지 않았다. 이것은 Lee and Lee(2003)가 상번초의 혼파조합과 상ꞏ하번초의 혼파조합을 비교하였을 때 CP, NDF 및 ADF 등의 사료성분 간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한 것과 같은 경향이었다. 2016년에서는 그물 망 무처리구에서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NDF 및 ADF가 다 른 혼파조합에 비해 약 2∼3%가 낮게 나타나 TDN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물망 처리구에서는 PRG 위주의 혼파 조합의 NDF가 OG 위주와 비슷하지만 ADF가 다른 혼파조합 보다 약 3%가 낮게 나타나 그물망 무처리구와 마찬가지로 TDN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그물망 무처리 및 처리를 비교하 였을 때는 모든 처리구에서 사료성분의 차이가 1% 내외로 크 지 않았다.
따라서 초종에서 사료가치는 조성 1년차의 경우 CP 함량에 서 KBG 및 RT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NDF 및 ADF 함량에서 는 TF 단파가 우수하였다. 그러나 조성 2년차에서는 그 차이 가 미미하였다. 혼파조합은 조성 1년차의 경우 사료성분의 함 량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성 2년차에서는 PRG 위주의 혼파조 합에서 NDF, ADF 및 TDN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 을 처리한 것은 초종 및 혼파조합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초기 목초 피복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식생 을 유지하였으며, 혼파조합은 OG 및 TF 위주가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의 처 리는 목초의 초기정착과 그 이후 식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 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봄철 뿌리 들림 현상(서릿발 피해) 을 방제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Ⅳ. 요 약
본 연구는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 혼파조 합 및 그물망 설치에 따른 초지의 생산성, 식생변화 및 사료 가치를 조사하여 신속한 초지조성에 적합한 방법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본 시험은 2014년에 중부지역 35°내외의 절개 지에 초지를 조성하여 2015년과 2016년의 월동 후 생육특성, 식생변화, 목초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확인하였다. 초종별에 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TF, PRG 및 RT의 3가지 초종이었다. 혼파조합별에서 주구는 그물망의 유․무로 두었으며, 세구는 혼파조합 3가지로서 처리구 A는 OG위주, 처리구 B는 TF위주 및 처리구 C는 PRG 위주였다. 그물망(방조망 이용)은 일반 농가에서 간단하게 구비할 수 있 는 그물망을 3겹으로 처리하였다. 월동 후 생육에서 초종별은 목초 피복도 측면에서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 은 차이가 없었다. 또한 그물망의 처리는 초종 및 혼파조합별 에서 모두 목초의 피복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초기정착 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초지식생 변화에서 초종별은 초 기정착과 이후 예취에도 지속적으로 목초 피복도를 유지하였 던 TF 단파가 유리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목초 피복도를 지 속적으로 유지한 OG 및 TF 위주가 유리하였다. 또한 그물망 의 처리는 초종 KBG 및 RT 단파와 혼파조합 PRG 위주에서 잡초의 비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목초 생산성에서 초종 별은 TF 및 KBG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혼파조합별은 처리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초종별의 사료가치는 조성 1년차 에서 CP 함량으로 KBG 및 RT 단파가, NDF 및 ADF 함량으 로 TF 단파가 우수하였으며, 조성 2년차는 차이가 미미하였 다. 혼파조합별은 조성 1년차에서 사료가치의 차이가 없었으 나, 조성 2년차는 PRG 위주의 혼파조합이 NDF, ADF 및 TDN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초 종 및 혼파조합 처리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을 종합하 면 중부지역 35° 경사의 절개지에서 초종은 TF 단파가 초기 목초 피복도가 높고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였으며, 혼파 조합은 OG 및 TF 위주가 지속적으로 식생을 유지하여 유리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물망을 처리하는 것은 목초의 초 기정착과 그 이후 식생변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