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서 론
우리나라는 세계 최대의 녹용 수입국이자 소비국이지만 국 내 사슴 사육두수는 지난 10년간 75% 이상 감소하고 있는 실 정이다. 국내산 녹용의 자급률도 최근까지 20.2% 내외로 정 체되고 있다(MAFDA, 2015).
사슴은 계절번식을 하는 동물로 일장변화에 민감하게 반응 하며 계절변화에 따라 사료섭취량도 달라진다(Aagnes et al., 1996). 조사료 섭취량도 계절변화에 따라 달라지는데, 여름철 에 조사료 섭취량이 최대가 되고 가을에 감소하여 겨울철에 최저에 이르고 봄철에 다시 회복된다고 알려졌다(Souma et al., 1998). 녹용의 성장과 생산성은 광주기, 호르몬 및 영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Haigh and Hudson, 1993), 특히 같은 조건에서 영양상태가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 다고 보고되었다(French et al., 1956; Blaxter et al., 1974).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산지생태축산 활성화의 일환으로 산 지에서 방목이 가능한 사슴과 염소 등의 중소가축 활용이 모 색되고 있으나, 우리나라 사슴농가 대부분은 사사사육의 형태 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Jeon and Moon, 2006). 더욱이 국내 사슴연구는 주로 사사사육을 기반으로 한 사양관리체계 확립 (Kim et al., 2013), 사슴뿔의 성장에 관여하는 영양학적 요인 연구(Jeon et al., 2005) 및 전국 사슴 사육실태조사(Kwak et al., 1994; Sung et al., 2003)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방목 초지를 이용한 사슴방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외에서는 방목지 초종 선택(Hare and Rolston, 1987; Min et al., 1997; Tseng et al., 2016)과 계절 조사료 품질 평가 (Hofmann, 1985; Webster et al., 2001) 및 방목에 따른 영양소 요구량과 생산성 향상 방법(Fennessy et al., 1981; Suttie et al., 1983; Adam, 1991)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는 산지 비중이 높기 때문에 산지방목을 통해 사 료비 및 생산비 절감 효과가 기대되며 친환경 축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슴 방목을 통 한 산지초지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사슴의 방목 시 사료 섭취량과 방목에 따른 녹용 생산성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Ⅱ.재료 및 방법
1.공시가축 및 시험처리
본 시험은 전라북도 남원시 소재 국립축산과학원 가축유전 자원센터의 사슴관리사와 방목지에서 2015년 5월 11일부터 8 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공시가축은 엘크(Cervus canadensis) 사슴으로 평균 체중 273 kg 내외의 5년생 수컷 엘크 사슴 12두 를 공시하였고, 사사구에 6두, 방목구에 6두를 각각 배치하여 사사구에는 건초를 무제한 급여하였고 보충사료인 배합사료 를 체중의 1.5%를 기준으로 매일 급여하였다. 시험 사료의 일 반성분은 Table 1과 같다.
사사 사육은 면적 8,115m2에서 군집 사육하였으며, 방목지 는 3개의 목구로 구분하여 윤환방목을 실시하였다. 방목지의 초종구성은 봄철에는 오차드그라스, 톨페스큐 및 레드톱 등 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여름철에는 바랭이, 피 등 야초류로 구 성되었다. 또한 방목구에는 보충사료를 1일 1회 급여하였으 며 급여수준은 체중의 1.5%를 기준으로 급여하였다.
2.사료 섭취량 및 증체량 조사
사사 사육에서 사료 섭취량은 급여한 사료와 섭취하고 남은 사료의 차이로 계산하였으며, 잔량은 다음날 오전 사료 급여 전에 수거하여 측정하였다. 방목구에서 조사료 섭취량은 방목 케이지(50×50 cm)를 설치하여 목구를 이동할 때마다 방목전 과 후의 수량차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L.′t Mannetje., 1978) 방목케이지는 각 목구 당 3 지점에 설치하였다. 증체량 은 실험시작체중과 종료체중의 차이에 의해 일당증체량으로 환산하였으며, 방목구에서 방목케이지를 이용한 건물섭취량 산출식은 아래와 같다.
3.녹용 생산량 조사
사슴의 녹용 생산량 조사를 위해 마취를 실시하였는데, Fentazine-10 (Fentanyl Citrate 0.8 mg/ml, Azaperone 6.4 mg/ml, Xylazine Hydrochloride 116.6 mg/ml, Parnell Laboratories Ltd, New Zealand)을 사용하였으며, 엘크사슴의 두당 마취용량은 3.0∼3.5 ml를 사용하였으며, 마취제 주사는 블루건을 사용하 였다. 절각은 마취제 주사 10여분 후 마취된 사슴의 육경아래 를 고무줄로 묶은 다음 외과 톱을 이용하여 절단하였다. 녹용생 산량은 낙각 후 80일령의 사슴에서 절단한 녹용의 중량을 전자 저울로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4.사료가치 분석
시험 배합사료, 건초 및 방목초지의 사료가치 평가를 위해 월별로 채취한 시료에 대한 일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 료의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에 대한 분석 은 AOAC (AOAC, 1990) 법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중성세제 섬유소(NDF)와 산성세제섬유소(ADF)의 함량은 Goering and Van Soest (1970)의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5.통계분석
조사 및 분석된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AS program (Ver. 9.2, SAS Institute, Cary, NC, USA))의 GLM (Gener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산분석을 실시 후 처리 간의 평균값 비교를 위해 Duncan (1955)의 다중검정법을 통 한 유의차를 P<0.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Ⅲ.결과 및 고찰
1.사육방법에 따른 엘크 사슴의 사료섭취량 및 증체량 비교
사육방법을 달리 하였을 때 엘크 사슴의 사료섭취량은 Table 2와 같다. 시험기간 동안 사육방법에 따른 사료섭취량 비교 시 유의성은 없었으나, 총 섭취량과 농후사료 섭취량은 사사사육이 높게 나타났고, 조사료 섭취량의 경우 방목 사육 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반추동물에서 사료의 수분 햠량과 섬유소 함량은 섭취량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 이다. 특히 사일리지와 같이 수분함량이 높은 조사료의 경우 소에서 사료섭취량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었다(Jackson and Forbes, 1970; Okamoto, 1979). 따라서 방목과 사사사육 시 섭 취량의 차이는 조사료의 일반성분에 따른 차이 뿐 만 아니라 수분함량과 시기별 섬유소의 함량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 방목초지의 수분함량이 81% 로, 섬유소(NDF, ADF)함량 각각 38%와 20%로 건초보다 매 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엘크 사슴의 농후사료 섭취량에 영 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방목과 사사 형태의 사육이 엘크 사슴의 증체에 미는 영향 은 Table 3과 같다. 시험 개시 시 체중은 방목구와 사사구가 각각 274 kg과 263 kg이며 종료 시 체중은 각각 324 kg과 307 kg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시험기간 동안 총 증체량은 방목 사육 시 50 kg 사사 사육 시 43 kg이었고, 일당증체량은 0.293 g과 0.254 g으로 방목사육에서 더 높게 나타났는데 조 사료원에 따른 사슴의 증체량이 23 kg ~ 40 kg이었다는 이전 연구결과와 유사하다(Kim et al., 2013). 증체량은 품종, 성별, 성장단계 및 사양방법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일반적으로 방 목보다는 사사 사육형태에서 증체량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방목 사육 시에도 보충사료의 종류와 급여량에 따라 증체량에 많은 차이가 나며, 충분한 농후사료의 공급은 방목 사육 시에도 증체량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Singh et al., 1998). 사슴의 증체량과 섭취량은 계절과 방목지의 초종 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초종에 따라 저작 에 의해 감소되는 탄닌의 양이 증체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 보고되었다(Waghorn et al., 1987; Wang et al., 1996). 본 시험에서 엘크 사슴의 사육 형태에 따른 섭취량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일당증체량은 방목 사육 형태에서 약 39%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목지 초종의 영양소 함량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며 방목 사육 형태에서 발육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앞으로 탄닌 성분에 따른 사슴의 섭취 량, 증체량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사육 방법에 따른 엘크 사슴의 녹용 생산성 비교
사슴의 녹용은 골조직의 일부로서 골조직 성장에 따른 일 년의 주기성을 갖고 있다(Chapman, 1975). 특히 녹용 성장기 에는 녹용 내 영양소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영양소 요구 량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며, 동일 조건에서 영양적 요인이 녹 용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French et al., 1956; Haigh and Hudson, 1993). 본 시험에서 방목과 사사 사 육 형태에 따른 엘크 사슴의 녹용 생산성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본 시험에서 엘크 사슴의 녹용 생산량은 사 사와 방목 사육 시 각각 6,783 g과 7,700 g으로 방목 사육 시 약 13% 정도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방목 사육 시 높은 증체 량과도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전 연구에서 영양관리는 녹용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녹용의 성장은 생 시체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사슴의 방 목 사육 시 방목지 초종의 영양적 성분이 녹용의 생산성과 사 슴의 증체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Fennessy and Suttie, 1985; Kusmartonto et al., 1996) 이것은 본 결과와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녹용 생산성에서 처리구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은 것은 개체 간의 편차가 심하여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Ⅳ.요 약
본 연구는 엘크 사슴의 사육방식에 따른 사료섭취량, 체중 변화 및 녹용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 하였다. 엘크 사슴 12두를 공시하여 사사사육과 방목사육 형 태로 사육하였으며, 처리구 간에 섭취량은 유사하게 나타났 다. 일당증체량과 녹용생산성의 경우 방목사육 형태가 높게 나타났는데, 일당증체량은 방목사육 시 약 39%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발육 개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녹용 생산성 역시 방목사육 시에 약 19%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 러나 녹용 생산성의 경우 개체 간 편차가 심하여 통계적 유의 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본 시험에서 방목사육 시에 일당증체 량과 녹용 생산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방목에 따른 조사료원 의 영양적 성분이 높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사 슴 방목의 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충분이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앞으로 계절과 방목지의 초종에 따른 녹용의 생산성 과 안정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 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