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6 No.2 pp.115-123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6.36.2.115

Effects of TDN/CP Ratio on Nutrient Intake, Body Weight Gain, Blood Characteristics of Dairy Heifers from 12 to 14 Months of Age

Gyeom-Heon Kim1, Won-Uk Hwang1, Hyun-Jin Kim2, Soo-Ki Kim1*
1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2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1-74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Soo-Ki Kim,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Konkuk University, Seoul 143-701, Korea, +82-02-450-3728, +82-02-458-3728, sookikim@konkuk.ac.kr
April 29, 2016 May 13, 2016 May 18, 2016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energy and protein ratio on the nutrient availability and body weight gain was determined to find the proper nutrient level for the stage of replacement dairy heifers before fertilization at approximately 12~24 months old after birth. Dry matter intake showed that the TDN/CP rate of T1 (5.0:1), T2 (4.5:1) and T3 (4.0:1) resulted in similar values. Among feces, the ash content of T1 was 11.07%, which was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3 (9.69%). It was also significantly (p < 0.05) higher than that of T2 (10.32%). When the TDN/CP rate was increased, the ash content in the feces was also increased. Regardless of the initial weight, weight gai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P rate in the feed was increased on the 30th day. On the 60th day, T2 showed the highest rate of gain (p < 0.05). As the TDN rate was decreased or the protein rate was increased,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p < 0.05) increased. Regarding GPT level in the blood after finishing the test, T1 and T3 (112.6, 88.3 u/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2 (50.9 u/l). For phosphorus level, T1 (46.3 mg/dl) showe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other treatments. For HDL cholesterol level, T2 (145.2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level than T1 (121.0 mg/dl) or T3 (132.3 mg/dl). For triglyceride levels, T3 (40.6 mg/dl) had significantly (p < 0.05) higher value than T1 (20.7 mg/dl) and T2 (29.0 mg/dl). For other blood parameters including BUN concentr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p > 0.05) difference among treatments. As a result, although feed intake and weight gain with TDN/CP rate of 4:1 showed best results, considering the excess body fat accumulation possibilities or blood metabolism, it seems 4.5:1 ratio is most appropriate.


TDN/CP 비율이 젖소 12~14개월령 육성우 영양소 섭취량, 증체량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김 겸헌1, 황 원욱1, 김 현진2, 김 수기1*
1건국대학교 동물자원과학과
2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Korea Institute of Planning and Evaluation for Technology in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311051-2

    Ⅰ.서 론

    최근 국내 젖소개량사업소의 2013년도 통계에 의하면 육 성우의 초산월령은 약 28.1개월령으로 낙농 선진국에서 권 장하는 24개월령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초산 분 만월령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육성 시기에 종부 가능한 체 격까지 발육을 촉진시켜 종부 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고, 고열량 사료를 육성우에 급여함으로써 발육을 촉진시켜 분 만사고 없이 초산 분만월령을 조기화 할 수 있다(ARC, 1980; Collier et al., 1982; Gardner, 1977; Jeong, 2013).

    송아지가 번식 가능하게 되는 시기는 첫 발정 전 발육속 도에 따라 다른데 고영양 급여로 성장이 빠르면 성 성숙도 빨리와 첫 발정이 빨라지고, 반대로 저영양 급여로 인한 늦은 발육은 첫 발정도 늦어진다(Barton et al., 1996; De La Sota et al., 1993). 그러나 송아지에게 고영양 사료를 급여함으로서 초산 종부시기를 빠르게 하는 것은 가능하지 만, 극단적인 고영양은 젖소의 유선조직 발달을 억제하여 유생산성이 평균보다도 저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rackley, 2004; Moon et al, 2002; Son, 2012). Choi (2004)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료 단백질의 과잉 공급이 번식능력을 저하시키는 데 그 이유는 과잉의 질소를 배출 할 때 소요되는 에너지와 관련이 있으며, 비유 초기에 유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가 체조직으로부터 배출될 때 과잉의 질소배출로 인해 추가적인 에너지가 손실되기 때문이라고 보고하였다.

    초산분만월령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첫 수 정 시 체중 및 체고가 각각 340 kg, 125 cm 정도로 적정 수준에 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육성단계의 사양관리가 중요하다(Baek et al., 2015). 그러나 국내에서는 육성우 사 육기간에 대한 무관심과 난산 및 산유량에 대한 걱정으로 일부 농가에서는 체중과 체고가 적정 수준에 도달하지 못 한 17~18개월령에 첫 수정을 시키고 있으며, 적정 영양소 수준과 초산분만월령 단축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 정이다.

    또한 젖소 육성우의 최적 성장에 있어서는 사료 내 에너 지와 단백질의 비율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NRC, 2001), Hill et al. (2013)은 송아지와 육성우 단계에서 에너지와 단 백질 요구량이 생산자의 경제성과 육성우의 향후 생산 능 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국내 젖소 육성우의 사육 기간에 따른 에너지와 단백질의 적정 공급 수준에 대 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TDN/CP 비율에 있어서 초기 체중을 고 려하여 증체에 필요한 단백질량을 요구량 보다 높게 설계 한 4.5:1을 기준으로 하였고, 대부분의 국내외 젖소 육성우 성장에 대한 연구 범위인 4.0:1~5.0:1 사이에서 설정하였다 (Lee et al., 2013; Huhtanen and Hristov, 2009; Gabler and Heinrichs, 2003; Brown et al., 2005; Gaynor et al., 1995; Ki et al., 2010). NRC (2001)를 기준으로 한 TDN/CP 비율, 4.7:1 전후에서 육성우의 사양실험을 수행하면서 수정 전 단계인 생후 12~14개월령까지의 에너지와 단백질의 비율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증체 및 혈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Ⅱ.재료 및 방법

    1.공시동물 및 시험설계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305.9 kg, 12개월령의 Holstein 송 아지 18두를 공시하였다. 급여사료는 자급조사료인 옥수수 사일리지와 호밀 사일리지를 주로 이용하여 사료의 TDN / CP 비율 각각 5.0:1, 4.5:1 그리고 4.0:1의 비율로 조정하였 다. 본 시험에서 처리구(T1, T2 및 T3)별로 각각의 우방에 6두씩 배치하여 적응기간 15일과 실험기간 90일로 총 105 일간 충남 당진시 소재의 목장에서 실시하였다.

    2.시험사료 및 사양관리

    Table 1과 같이 옥수수와 호밀 사일리지를 급여하는 조 건에서 육성우의 증체 및 영양소 이용성을 평가하였다. TDN/CP 비율별로 배합한 TMR 급여는 1일 2회(매일 08:00 및 16:00 h)로 나누어 급여하였고 전 시험기간 동안 자유채식을 하였다. 물과 비타민 및 무기물 등도 자유롭게 채식하도록 하였다. 그 외 젖소 사양관리는 농장 관행 기 준에 준해 실시하였다.

    3.조사항목 및 분석 방법

    체중은 실험 개시 30일, 60일과 90일째 측정하였고, 사 료섭취량은 급여량에서 잔량을 빼는 것으로 계산하였다. 사료 잔량조사는 매일 급여 전에 측정하였다. 영양소 소화 율 평가를 위한 분 채취는 직장을 통해 시험 종료일에 채 취하였다. 채취 직후 아이스박스에 넣어 실험실로 이동한 후 분석 시까지 -20℃ 냉동고에서 보관하였다.

    혈액 성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 개시일과 종료 일에 사료 급여 후 4시간째에 경정맥으로부터 20 ml syringe 를 이용하여 혈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혈액은 항응고 시 약(EDTA)으로 처리된 혈액 튜브에 담았다. 채취한 혈액샘 플은 현장에서 바로 원심분리기(Hanil science industrial, HA-12, Incheon, Korea)를 이용하여 2,500 rpm으로 5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혈장 내 Glucose, Cholesterol, Calcium, Phosphate, BUN, Albumin, Total protein, AST, GGT, Magnesium 및 Free cholesterol의 농도는 혈액분석기 (Gastat-600 series Blood Gas Analyzer, Techno Medica Co. Ltd., Yokohama,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O.A.C. (2005)의 방법에 따라 사료 및 분의 건물(dry matter), 조단백질(crude protein), 조지방(ether extract), NDF (neutral detergent fiber) 그리고 ADF (acid detergent fiber)를 분석하였다. TDN은 농촌진흥청 축산기술연구소 (NLRI, 2002)에서 제시한 소화율을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은 시료 및 분의 lignin 함량을 marker로 이 용하여 분 배설량과 영양소 배출량을 계산하여 각 영양소 소화율을 평가하였다.

    4.통계분석

    통계분석은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1, USA)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각 처리구간의 평균값 을 Duncan’s multiple range test를 이용하여 에너지와 단백 질의 비율에 따른 영향을 비교 검정하였다(Steel and Torrie, 1980).

    Ⅲ.결과 및 고찰

    1.영양소 섭취량

    Table 1은 본 시험에서 사용한 사료 배합비와 화학적 조 성이다. TDN/CP 비율별 영양소 섭취량은 Table 2와 같다. 건물 섭취량은 T1 (TDN/CP 비율, 5.0:1), T2 (TDN/CP 비율, 4.5:1) 그리고 T3 (TDN/CP 비율, 4.0:1)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으며, 지방, 섬유소, NDF, ADF는 처리구간 섭취량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90일째에서 CP 섭취량 은 TDN/CP 비율이 5:1, 4.5:1 및 4:1로 높아짐에 따라 1.18, 1.35 및 1.53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보였다.

    Groff and Wu (2005)는 사료 내 단백질 비율과 건물 섭 취량과는 큰 상관관계가 없다고 하였으며, Hoffman et al. (2001)은 건물 섭취량이 사료 내 단백질 함량(8.0~15.0%) 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고 보고하였다. Blome et al. (2003)도 사료 내 단백질 함량(DM기준)이 14% 보다 26%일 경우 섭취량이 19.2~33.9 kg/day로 증가하 였으나 조단백질 함량이 14~18% 구간일 경우 그 차이는 적었다고 하였다. Broderick (2003)은 사료 내 단백질 함량 (15.1~18.4%)이 높아질수록 건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 가(21.2~22.6 kg/day) 하였으며, CP 섭취량도 증가(0.99~ 1.02 kg/day)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전체 기간 평균 섭취량에서 TDN/CP 비율이 낮아짐에 따라 CP 섭취량은 T1 1.10, T2 1.24 그리고 T3 가 1.39 kg/day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수치를 나타내었다 (p<0.05). 이는 육성우 성장단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 시 기에서는 CP 함량이 14~18%인 경우 TDN/CP 비율이 4:1 ~5:1로 높아질수록 건물 섭취량과 CP 섭취량은 증가되며, CP 함량이 14% 이하로 내려갈 경우에는 섭취량 증가에 많은 영향을 주지 못할 것으로 사료된다.

    2.분 중 영양소 함량

    Table 3에서는 처리별 분 중 영양소 함량의 변화를 나타 내었다. 분의 영양소 함량 중 단백질 함량은 T2 처리구 (10.03%)가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나 처리구간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Lignin 농도를 고려할 경우 T2 처리구에서 가장 낮은 농도(4.21%)를 나타내 소화율 평가 시 가장 낮 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ADF 농도는 4.0:1 처리구가 40.43% 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이는 단백질 농도 증가가 소화관 내 통과속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시 섬유소 소화율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분 중 건물함량은 T1 처리구가 86.15%로 T2 (94.27%), T3 (93.42%)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여 CP 수준이 높으면 분 의 건물 함량이 증가한다고 판단되었다. ADF는 에너지 수 준이 높아질수록 수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처 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 중 회분은 T1이 11.07%로 T3 (9.6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고 T2 (10.32%)와 비교해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p<0.05), TDN/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 내 회분 함량은 감소되었다.

    Bodine and Purvis (2003)는 육우의 에너지 공급 실험에 서 분 중 ADF는 TDN/CP 비율이 8.2:1 처리구(3.9 g/kg B.W)가 4.9:1 처리구(2.9 g/kg B.W)에 비해 높게 나타났지 만 9.1:1 처리구(3.2 g/kg B.W)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분 중 섬유소는 사료 내 TDN 비율이 높아질 수록 증가를 하지만 TDN 비율이 어느 수준을 넘어서면 감 소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의 TDN/CP 비율에서는 에너지 수준이 크게 높지 않아 ADF가 감소하지는 않았다 고 판단된다.

    Marston and Lusby (1995)는 육우에게 에너지나 단백질을 급여한 결과, 단백질 급여구(4.5 kg/day) 보다 에너지 급여 구(4.8 kg/day)에서 분의 배설량이 많아진다고 보고하였다. Reynal and Broderick (2005)은 비유우의 질소 대사 실험에 서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13.2%에서 10.6%로 낮아질수록 분 중 건물함량은 7.93 kg/day에서 6.70 kg/day으로 낮아졌 다. 이와 같이 젖소에 있어 분 중 건물함량은 조단백질과 에너지의 비율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되지만 본 TDN/CP 비율(4.0:1, 4.5:1 및 5.0:1)에서는 거의 영향이 없 다고 사료된다. 또한 단백질 농도에 따른 적정 섬유소 농 도, 가용성 섬유소 함량에 대한 권장 수준이 정립될 필요 가 있다.

    3.체중, 증체량 및 일당증체량

    처리구별 육성우의 체중, 증체량 및 일당증체량은 Table 4와 같다. 초기 체중과 상관없이 증체량은 실험 개시 후 30일 째 사료 내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 하였으나 60일째에는 T2 (14 kg)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p<0.05). 그러나 90일째에는 30일째와 같은 경향을 보이며 T3 (48.17 kg)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p<0.05). TDN 비율이 감소하거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질수 록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Broderick (2003)은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높아질수록 증체량은 증가하는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고 하였다. Devant et al. (2000)은 Friesian종 육성우 사료 내 단백질 함량이 감소할수록(17.3~13.8%, CP), 일당증체 량은 1.17 kg/day에서 1.23 kg/day로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육성기 에너지 농도증가를 통한 증체는 체성장 중 지방 축 적량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조기 성성숙은 체성장의 억제 를 초래하기도 한다. Chalupa et al. (1970)은 농후사료를 많 이 급여할 경우 프로피오닉산이 증가되어 체지방이 축적된 다고 하였다. Brugere-Picoux and Brugere (1980)는 6~12개 월령의 어린 소에게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하면 체지방이 증가하고 과비우증상(Fat cow syndrome)에 걸릴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T3 처리구의 일당증체량(1.02 kg/일) 은 체지방 축적이 과잉으로 이루어 질 수 있어 T1 처리구 의 비율(0.91 kg/day)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12개월령 육성우의 증체는 에너지와 단백질의 공급수준 가 운데 단백질 수준이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성성숙 이전 영양소 공급 수준 결정은 증체율, 체 지방 축적량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단백질 수준을 결 정할 때에 에너지의 공급 수준과 방법에 대한 고려가 필요 할 것이다.

    4.혈액 성상

    Table 5는 기간별 TDN/CP 비율에 따른 혈액 대사물질의 농도를 나타낸 것이다. 혈중 albumin, Total protein, glucose, GOT, GGT, bilirubin, globurin, BUN, calcium, Total cholesterol, creatinine 및 uric acid의 농도는 처리구간 차이 를 나타내지 않았다. 시험 종료 시의 혈중 GPT는 T1과 T3 (112.6, 88.3 u/l)가 T2 (50.9 u/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 를 나타냈으며, phosphorus는 T1 (46.3 mg/dl)이 다른 처리 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5). HDL cholesterol은 T2 (145.2 md/dl)가 T1 (121.0 mg/dl)과 T3 (132.3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T3 (40.6 mg/dl)가 T1, T2 (20.7, 29.0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특히 TDN/CP 수준별 급여는 혈액 내 지방 대사와 관련하여 영향을 미쳤으며, TDN/CP 수준 이 5:1 미만에서 HDL cholesterol 수치가 증가되어 혈액 지 방 대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홀스타인의 혈액 조성은 albumin이 3.3~4.1 g/dl, glucose 가 46.8~68.4 mg/dl, Total cholesterol 112.1~297.7 mg/dl 및 calcium은 8.8~10.4 mg/dl라고 하였으며, 성장단계별로 수치 는 달라질 수 있다고 하였다(Cozzi et al., 2011). 본 실험 에서의 glucose 수치는 초기에는 정상 범위보다 조금 높은 편(평균 78.6 mg/dl)이었으나 기간이 지남에 따라 정상 수 치를 보였다. 이는 혈액의 정상 수치가 성장단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라 사료되며(Cozzi et al., 2011), 정상 수 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아 정상적인 혈액 대사에 문제가 되 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제외한 혈액 조성들은 모 두 정상 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TDN/CP 비율별 급 여는 반추위 내 발효성상의 안정화와 에너지 단백질 공급 균형을 유지하면서 혈액의 대사산물과 간 기능의 수치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BUN 농도는 5.0:1, 4.5:1 및 4.0:1 TDN/CP 비율에 따라 시험 초기에 각각 17.9, 17.7 및 19.1 mg/dl로 나타났으며, 시험 종료 시는 각각 13.0, 12.5 및 14.8 mg/dl로 실험 초기 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BUN 농도는 뇨 질소 분비의 예측변수이고, 간의 요소생산량을 보여주는 지표이다(Kohn et al., 2005). 특히 젖소에서 BUN 농도가 높으면 정자, 난자 및 수정란에 독성효과를 줄 수 있어 수태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혈중 BUN 농도 를 20 mg/dl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또한 사료 중 용해성 단백질 함량이 높아도 에너지 공급량이 충분하면 암모니아의 많은 부분이 미생물체단백질로 합성되기 때문에 반추위벽을 통한 암모 니아 흡수를 줄여 BUN 농도를 20 mg/dl 이하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젖소에게 고단백질의 사료를 급여하면 필연적 으로 BUN 수치가 높아지지만 에너지를 충분히 공급할 경 우 정상 수치를 유지할 수 있음을 뜻하며, Park et al. (2013)의 비유중기 젖소에 에너지 수준별 급여 실험에서 에너지 수준이 충족됨에 따라 혈중 BUN 수치는 단백질 공급과는 큰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의 12 ~14개월령 육성우에서 사료 내 조단백질 비율은 혈중 BUN 농도와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의 BUN 수치는 20 mg/dl 이하로 정상 범주에 속했으며, T3에 비해 에너지 비율이 높아질수록 BUN 농도 는 안정되는 수치를 보였다. 이 시기의 TDN/CP 비율은 BUN 농도를 고려하였을 경우 BUN 과잉 수준(20 mg/dl 이상)에 가까운 T3 처리구보다 에너지 비율이 높은 T2와 T1 처리구 수준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Ⅳ.요 약

    본 연구는 수정 전 단계인 생후 12~14개월령의 육성우 에게 급여하는 사료의 적정 영양소 수준에 대해 알아보고 자 에너지와 단백질의 비율에 따른 영양소 이용성 및 증체 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건물 섭취량은 T1 (TDN/CP 비율, 5.0:1), T2 (TDN/CP 비율, 4.5:1) 그리고 T3 (TDN/CP 비율, 4.0:1)가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분 중 회분 은 T1이 11.07%로 T3 (9.69%) 보다 유의적으로 높아졌으 며, TDN/CP 비율이 높아질수록 분 내 회분 함량도 증가되 었다. 초기 체중과 상관없이 증체량은 실험 개시 후 30일 째 사료 내 CP 비율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 나 60일째에는 T2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증체를 보였다 (p<0.05). TDN 비율이 감소하거나 단백질 비율이 높아질수 록 증체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실험 종료 시 의 혈중 GPT는 T1과 T3 (112.6, 88.3 u/l)가 T2 (50.9 u/l) 보 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hosphorus는 T1 (46.3 mg/dl)이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 였다(p<0.05). HDL cholesterol은 T2 (145.2 md/dl)가 T1 (121.0 mg/dl)과 T3 (132.3 mg/dl)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triglyceride는 T3 (40.6 mg/dl)가 T1, T2 (20.7, 29.0 mg/dl) 보 다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다(p<0.05). BUN 농도를 비롯한 그 외의 혈액 분석항목들에서는 처리구별에 있어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섭취량과 증체율에서는 TDN/CP 비율이 4:1이 가장 좋았으나 체지방 축적이 과잉 될 가능성이나 혈액대사 수치를 함께 고려한다면 이 시기 에서는 4.5:1의 비율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Ⅴ.사 사

    Ⅴ.

    본 연구는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과제번호 311051-2)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Figure

    Table

    Chemical composition and formulation of TMR fed to dairy heifers

    1)Based on measured values. DM basis.

    Effects of TDN/CP ratio on nutrient intakes of dairy heifers

    abMean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The chemical composition fo dairy heifers fecal

    1)DM, Dry matter; CP, Crude protein; ADF, Acid detergent fiber; NDF, Neutral detergent fiber.
    abMean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Effects of TDN/CP ratio on body weight, weight gain and daily gain of dairy heifers

    1)Initial : Adjustment period (during 15 days before beginning the experiment), 1st period : 0~30 days, 2nd period : 30~60 days, 3rd period : 60~90 days.
    2)Average daily gain.
    abMean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Effects of TDN/CP ratio on blood parameters of dairy heifers

    Data are mean ± standard deviation.
    1)ALT-GPT, Alanine aminotransferase; AST-GOT, Aspartate aminotransferase;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BUN, Blood urea nitrogen.
    2)Increment: final period - initial period.
    abMean in the same row with different superscript differ significantly (P<0.05).

    Reference

    1. Agricultural Research Council (1980)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Ruminant Livestock, Commonwealth Agricultural Bureaux, ; pp.121-166
    2. Association of Official Agricultural Chemists, and William Horwitz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3. Barton BA , Rosario HA , Anderson GW , Grindle BP , Carroll DJ (1996) Effects of dietary crude protein, breed, parity, and health status on the fertility of dair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79 ; pp.2225-2236
    4. Baek KS , Yoon HS , Lee WS , Ahn HS , Kim WH , Chae HS , Kim NY , Cho IC (2015) Effect of age at the first pregnancy on calving status in holstein heifers , Annals of Animal Resources Sciences, Vol.26 ; pp.13-20
    5. Blome RM , Drackley JK , McKeith FK , Hutjens MF , McCoy GC (2003) Growth, nutrient utilization, and body composition of dairy calves fed milk replacer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prote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81 ; pp.1641-1655
    6. Bodine TN , Purvis HT (2003) Effects of supplemental energy and/or degradable intake protein on performance, grazing behavior, intake, digestibility, and fecal and blood indices by beef steers grazed on dormant native tallgrass prairie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81 ; pp.304-317
    7. Broderick GA (2003) Effects of varying dietary protein and energy levels on the production of lactating dair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6 ; pp.1370-1381
    8. Brown EG , Vandehaar MJ , Daniels KM , Liesman JS , Chapin LT , Keisler DH , Nielsen MSW (2005) Effect of increasing energy and protein intake on body growth and carcass composition of heifer calve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8 ; pp.585-594
    9. Brugere-Picoux J , Brugere H (1980) Fat cow syndrome , Recueil de Medecine Veterinaire, Vol.156 ; pp.195-200
    10. Chalupa W , O’Dell GD , Kutches AJ , Lavker R (1970) Supplemental corn silage or baled hay for correction of milk fat depressions produced by feeding pellets as the sole forage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53 ; pp.208-214
    11. Choi BR (2004) Nutritional supplementing ways on feeding and management of dairy cow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Proceedings of the congress Korean society of veterinary clinics, ; pp.5-22
    12. Collier RJ , Doelger SG , Head HH , Thatcher WW , Wilcox CJ (1982) Effects of heat stress during pregnancy on maternal hormone concentrations, calf birth weight and postpartum milk yield of Holstein cows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254 ; pp.309-319
    13. Cozzi G , Ravarotto L , Gottardo F , Stefani A , Contiero L , Moro L , Brscic M , Dalvit P (2011) Short communcation: Reference values for blood parameters in Holstein dairy cows: Effects of parity, stage of lactation and season of production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4 ; pp.3895-3901
    14. De La Sota RL , Lucy MC , Staples CR , Thatcher WW (1993) Effects of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sometribove) on ovarian function in lactating and nonlactating dair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76 ; pp.1002-1013
    15. Devant M , Ferret J , Gasa SC , Casals R (2000) Effects of protein concentration and degradability on performance, ruminal fermentation, and nitrogen metabolism in rapidly growing heifers fed high-concentrate diets from 100 to 230 kg body weight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78 ; pp.1667-1676
    16. Drackley JK (2004) Feeding for Accelerated Growth in Dairy Calves, ; pp.59-73
    17. Gabler MT , Heinrichs AJ (2003) Dietary Protein to Metabolizable Energy Ratios on Feed Efficiency and Structural Growth of Prepubertal Holstein Heifer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6 ; pp.268-274
    18. Gardner RW , Schuh JD , Vargus LG (1977) Accelerated growth and early breeding of Holstein heifer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60 ; pp.1941-1948
    19. Gaynor PJ , Waldo DR , Capuco AV , Erdman RA , Douglass LW (1995) Effect of prepubertal growth rate and diet on lipid metabolism in lactating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78 ; pp.1534-1543
    20. Groff EB , Wu Z (2005) Milk production and nitrogen excretion of dairy cows fed different amounts of protein and varying proportions of alfalfa and corn silage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8 ; pp.3619-3632
    21. Hill TM , Bateman HG , Quigley JD , Aldrich JM , Schlotterbeck RL , Heinrichs AJ (2013) Review: New information on the protein requirements and diet formulation for dairy calves and heifers since the Dairy NRC 2001 , The Professional Animal Scientists, Vol.29 ; pp.199-207
    22. Hoffman PC , Esser NM , Bauman LM , Denzine SL , Engstrom M , Chester-Jones H (2001) Short Communication: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growth and nitrogen balance of Holstein heifer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4 ; pp.843-847
    23. Huhtanen P , Hristov AN (2009)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dietary protein concentration and degradability on milk protein yield and milk N efficiency in dair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92 ; pp.3222-3232
    24. Jeong KS (2013) Effects of heifer ratio on efficiency of dairy management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Management and Policy, Vol.40 ; pp.1006-1016
    25. Kauffman AJ , St-Pierre NR (2001) The relationship of milk urea nitrogen to urine nitrogen excretion in Holstein and Jerse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4 ; pp.2284-2294
    26. Ki KS , Lee HJ , Kim SB , Lee WS , Lim DH , Lim HJ , Park SJ , Cho WM , Kim HS , Jin ZL , Lee ID , Kim WY , Jeo JM (2010) Effects of different energy and protein level of TMR on milk production of dairy goats in early lactati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0 ; pp.267-274
    27. Kohn RA , Dinneen MM , Russek-Cohen E (2005) Using blood urea nitrogen to predict nitrogen excretion and efficiency of nitrogen utilization in cattle, sheep, goats, horses, pigs, and rats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83 ; pp.879-889
    28. Lee BH , Nejad JG , Kim HS , Sung KI (2013) Effect of forage feeding level on the milk 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holstein lactating cow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3 ; pp.45-51
    29. Marston TT , Lusby KS (1995) Effects of energy or protein supplements and stage of production on intake and digestibility of hay by beef cows , Journal of Animal Science, Vol.73 ; pp.651-656
    30. Moon JS , Joo YS , Jang GC , Yoon YD , Lee BK , Park YH , Son CH (2002) Interpretation of protein-energy balance of feeding by milk urea nitrogen and milk protein contents in lactation holstein cow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Vol.44 ; pp.573-584
    31.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2002) Standard tables of feed composition in Ko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32. NRC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Nutrient requirements of dairy cattle, Vol.7 ; pp.381
    33. Park SB , Lim DH , Park SM , Kim TI , Choi SH , Kwon EG , Seo J , Seo SW , Ki KS (2013) Effects of different energy and rumen undegradable protein levels on dairy cow’s production performance at mid-lactation period , CNU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40 ; pp.333-338
    34. Reynal SM , Broderick GA (2005) Effect of dietary level of rumen-degraded protein on production and nitrogen metabolism in lactating dairy cows , Journal of Dairy Science, Vol.88 ; pp.4045-4064
    3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7) Korean feeding standard for dairy cattle,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36. SAS (2003) Statistical Analysis System,
    37. Son CH (2012) Nutrition and reproduction of dairy cow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Vol.29 ; pp.92-94
    38. Steel RGD , Torrie JH (1980)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A biometric approach , Principles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a biometrical appro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