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7-5824(Print)
ISSN : 2287-5832(On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Vol.36 No.2 pp.109-114
DOI : https://doi.org/10.5333/KGFS.2016.36.2.109

Changes in Feed Value,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at Mountainous Pasture Grazed by Growing Korean Native Goat (Capra hircus coreanae)

Hye Jin Seong1, Se Young Jang1, Mi Rae Oh1, Yu Jiao Tang1, Yu Ling Ding1, Sang Woo Kim2, Gi Jun Choi2, Byong Tae Jeon1, Sang Ho Moon1*
1Division of Food Bio Science, Konkuk University, Chungju 380-701, Korea
2Nation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590-832, Korea
Corresponding author : Sang Ho Moon, Division of Food Bio Science, konkuk University, Chungju 380-701, Korea, 82-43-840-3527, moon0204@kku.ac.kr
April 26, 2016 May 10, 2016 May 16, 2016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grazing intensity of growing Korean native goats (Capra hircus coreanae) on mountainous pasture. It was carried out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mountainous pasture management and establishing feeding system of Korean native goats. Castrated, male goats (n=10) with average initial body weight (BW) ofxml:lang="en"> 23.33±2.15kg and an average age of 4 months were used in this study. Grazing goats were supplemented by concentrates with 1.0% of BW. The crude protein content of forage was the highest in October (22.71±0.25%) a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p<0.05) in monthly comparison. The forage productivity of pasture was the highest from May to June (1718.7±207.5~ 1672.0±422.8 kg/ha) but it was decreased in July (1356.0±103.8 kg/ha) because of drought and summer depression. Average daily gains (ADG) of goats were the highest in June (99.5±6.4 d/g). Grazing intensity was calculated by forage productivity and dry matter intake (DMI) and was the highest in May (65 head/ha).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grazing intensity was suggested to average 39 head/ha from May to October. It is desirable that adequate grazing intensity was maintained by adjusting supplemental feed.


육성 흑염소 방목 산지초지에서 사료가치, 사초 건물 수량 및 방목 강도의 계절별 변화에 관한 연구

성 혜진1, 장 세영1, 오 미래1, 당 옥교1, 정 우령1, 김 상우2, 최 기준2, 전 병태1, 문 상호1*
1건국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충주, 380-701
2국립축산과학원, 천안, 330-801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0229

    Ⅰ.서 론

    우리나라 국토의 60%를 차지하는 산림 중 초지 조성이 가능한 면적은 약 100만 ha에 이르고 있으며(Choi, 2013), 여기에서 생산되는 부존자원이 상당량 존재한다(Kim et al., 2012). 흑염소는 높고 경사진 곳을 좋아하는 특성이 있 기 때문에, 경사가 심한 유휴 산지의 활용 측면에서 흑염 소 사육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흑염소의 일반적인 채 식 활동과 습성은 평지에서 부드러운 목초 보다는 경사진 곳에서 야초류와 같은 거친 풀들을 선호하고, 건조하고 깨 끗한 환경을 좋아하며, 한 장소에서 집중적으로 풀을 뜯는 것이 아니라 계속 돌아다니면서 포괄적으로 채식하는 습성 이 있다(Gihad et al., 1980). 그리고 대형 반추 동물보다 반추위 내 섬유소 분해효율이 높기 때문에 산야초, 관목류 의 잎 같은 섬유소 함량이 높고 거친 산림 부산물 등을 이 용하는데 유리하다(Devendra and Burns, 1983). 이러한 특 성을 살려 산림 부산물을 흑염소의 사료자원으로 활용한다 면 사료비를 절감하여 생산비를 낮출 뿐만 아니라 산지 축 산을 통해 가축 복지의 관점에서 매우 우수한 사양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의 전형적인 흑염소의 사육 방법은 주로 산간 지역 에서 소규모의 방목 형태로 사육되어 왔으나, 90년대 이후 건강식품에 대한 축산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흑염소의 소 비형태도 중탕 위주의 약용에서 육류 공급원인 육용으로 전환되고 있는 상황이다(Song et al., 1999). 육용으로의 소 비가 늘어남에 따라 흑염소의 사육 형태도 집약적이며 다 두 사육이 용이한 농후 사료 위주의 집약식 사육 형태로 전환되면서 체계적인 사양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Hwang bo, 2014). 최근 흑염소의 사육 형태의 변화에 따라 점차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사양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흑염소 사료의 가치 평가(Hwangbo et al., 2008), 사 료 급여 체계(Jung et al., 2008), 번식능력(Song, 2003), 발 육(Kim et al., 2012) 등 집약적인 생산을 위한 흑염소의 생산성 향상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산지 초지를 활용한 흑염소 방목 사육 체계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흑염소 사육을 활성화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산지 초지 이용률 제고를 위한 관련 연구가 시 급한 상황에서 본 연구는 조방적인 흑염소 사육 방법인 방 목 형태의 사육 시 건물 채식량과 사초 건물수량의 분석을 통해 적정 방목 강도와 초지 생산성 및 가축 생산성의 월 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산지 초지 활용성 제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Ⅱ.재료 및 방법

    1.공시가축 및 사양관리

    본 실험에 이용된 공시축은 평균 체중 23.14 kg 내외의 4 개월 령의 거세 수컷 육성 흑염소 10두를 공시하였고, 시 험기간은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수행하였다. 공시축은 방목실험 개시시기에 개체관리를 위한 이표부착 과 개시체중을 측정하였다.

    실험은 전라북도 장수군에 위치하는 무진장축협 산하 생 축장 내 산지초지 중 일부를 구획하여 실시하였으며, 방목 지는 실험 개시 전 연중 방목강도 측정을 위해 3구획으로 나누어 실험을 준비하였다. 방목지의 각 방목 목구는 약 709.52 m2, 1044.82 m2 및 816.66 m2의 넓이로 분할되었으며, 방목지의 주 초종은 오차드그라스, 페러니얼 라이그라스, 벤트그라스 및 톨페스 큐 등으로 구성되었다. 방목지는 조 성된 지 20여 년이 경과된 해발 고도 600~650 m, 경사도 17~33°에 이르는 전형적인 산지 초지에 해당하는 곳이었다.

    시험축은 비가림 시설이 마련된 방목지에서 윤환 방목을 실시하였으며, 보충사료를 1일 1회 급여하였다. 음수는 자 유급수 가능하게 하였다. 보충사료는 시판 중인 배합사료 를 이용하였으며, 사료의 일반성분은 Table 1과 같다. 보충 사료의 급여 수준은 체중의 1%를 기준으로 하였고, 매월 체중 측정 후 조절되었다.

    본 연구에서 공시된 가축의 취급과 관리는 건국대학교 동물실험 윤리위원회의 심의(KU14109-1)를 거쳐 실시하였다.

    2.사초 건물수량 및 가축의 일당증체량 조사

    산지 초지에서의 사초 건물수량을 측정하기 위해 방목지 내에 흑염소의 채식을 회피하도록 3개소의 장소에 50×50 cm의 방형구를 설치하였다. 매월 동일한 방형구 내에서 시 료를 채취하였고, 시료 채취 후 현장에서 현물량을 디지털 밸런스(EK-6100, A&D전자저울(주))를 이용하여 측정 후, 실험실에서 통풍건조기에서 65℃의 조건으로 48시간 건조 하여 풍건물량을 측정, 건물률과 건물량을 환산하여 사초 건물수량을 측정하였다. 건조 후 확보된 시료는 분쇄기 (KNIFETEC 1095 Sample Mill)를 이용하여 1 mm screen을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분쇄 후 사료가치 측정을 위한 화 학 분석에 이용하였다.

    가축의 생산성은 동일개체에 대한 월별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변화와 더불어 월간 일당증체량으로 생산성을 나타냈 다. 이를 위해 매월 일정한 시각에 각 개체별 체중을 측정 하였고, 이를 경과 일수로 나누어 월별 일당증체량을 기록 하였다.

    3.사료가치 분석

    산지 초지의 사료 가치 평가를 위해 월별로 채취한 시료 에 대한 일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시료의 조단백질, 조섬유,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에 대한 분석은 AOAC (AOAC, 1990)법에 준하여 실시하였고, 중성세제섬유소 (NDF)와 산성세제섬유소(ADF)의 함량은 Georing and Van Soest (1970)의 방법을 응용하여 분석하였다.

    4.방목강도 분석

    산지 초지에 있어서 흑염소의 방목 강도를 규명하기 위 해 매월 사초 건물수량을 측정함과 동시에, 흑염소 채식량 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방목강도를 월별로 나타내었다. 흑염소의 채식량은 방목 전후의 사초 수량의 변화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이를 위해 매월 일정시기에 2일 동안의 채식 량을 샘플링법을 이용하여 조사 후 일별 채식량을 구하였 다. 방목 강도는 사초 생산성을 채식량 기준으로 구하였으 며 방목 시 가축의 사초 이용률 약 80% (Amanda, 2006)를 기준으로 월별 방목강도를 제시하였다.

    5.통계분석

    조사 및 분석된 결과에 대한 유의성 검증을 위해 SAS program (ver 9.3, SAS Institute, Cary, NC, USA))의 GLM (General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산 분석을 실시 후 처리 간의 평균값 비교를 위해 Duncan (1955)의 다증 검정 법을 통한 유의차를 p<0.05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Ⅲ.결과 및 고찰

    1.흑염소 방목을 위한 산지 초지의 월별 사료가치 비교

    흑염소를 방목하고 있는 산지 초지의 월별 사료 가치 변 화를 분석한 결과는 Fig.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건물 함량 은 6월에 33.48±2.56%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으며, 이는 심한 가뭄으로 고사된 주수가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10월에 22.71±0.2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6월에 16.19±0.22%로 가장 낮은 값 을 나타냈다(p<0.05). 조섬유의 경우 9월에 30.25±0.3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조섬유의 함량은 계절에 따라 가을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가진다는 연구(Moon et al., 2015)의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조지방의 함량은 5 월에 3.40±0.11%로 낮았으나 6월 이후로 계속 일정한 함량 을 유지하고 있었다(p<0.05). NDF는 8월에 62.41±0.8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 Chae et al. (2015)의 보고한 8월 초순 55.83%와 8월 하순 56.08%의 결과에 비해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 ADF는 5월에 32.10±0.85%로 가장 높은 값 을 나타냈으며, 10월에 24.32±0.19%로 가장 낮은 값을 나 타내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종합적으로 시험 방목 지의 초지는 주로 목초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험기 간 동안 영양소 함량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즉 초지의 사료가치는 일정하게 유지가 되기 때문에 사초 건 물 수량과 채식량에 의해 적절하게 윤환 방목을 실시하는 것이 산지초지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2.흑염소 방목 산지 초지의 월별 건물 수량의 변화

    본 시험 방목지의 월별 건물 수량을 비교한 결과는 Fig. 2과 같다. 조성 후 약 20여 년이 경과된 시험 방목지는 라 인법(Kim and Keith, 1983)에 의한 식생조사 결과 출현빈 도 기준으로 티모시(14.33%), 켄터키블루그라스(12.33%), 화이트클로버(9.3%), 오차드그라스(9.0%), 톨페스 큐(3.23 %), 쑥(6.0%), 바랭이(5.33%), 소리쟁이(0.33%) 및 기타 초종으로 구성된 혼파된 초지로서, 5~6월까지는 높은 수 량(1718.7±207.5~1672.0±422.8kg/ha)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계속되는 가뭄과 여름철 하고현상으로 목초의 생육이 저하 되어 6월 이후에는 사초 생산성이 감소하는(Chae et al., 2015)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p<0.05). Lee (1992)는 C3 형(북방형)식물은 수분이 많고 서늘한 기후조건인 봄과 가 을에 생산성이 높으며, C4 (남방형) 식물은 건조하고 기온이 높은 기후조건인 여름에 생산성이 높다고 보고하여 목초의 종류에 따른 생산성의 변화를 제시하였는데, 본 시험 방목 지의 경우도 주로 북방형 목초로 구성되어 있어 봄철 이후 지속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산지 초지 특성상 고지대 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9월부터는 생산성이 690.67kg/ha 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10월(181.33kg/ha)에는 방목이 어 려울 정도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목초지로 구성된 산지 초지에서 방목 시 계절에 따라 사초 건물 수량이 다르게 때문에 시기에 맞은 적절한 방목 강도 의 조절과 함께 보충 사료의 급여 수준을 증감하여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3.방목 흑염소의 일당증체량 변화

    산지초지에서 방목 중인 육성 흑염소의 가축 생산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2015년 5월부터 10월까지의 방목 흑염소 의 월별 체중변화 및 일당 증체량을 Fig. 3에 나타내었다. 시험 개시 시 체중은 23.33±2.15kg 이었으며 종료 시 체중 은 32.27±3.09kg으로 방목기간 중 약 8.94kg의 증체를 나타 냈다. 본 시험에서 일당 증체량은 54.41±6.54g/day으로, 산 지초지에서 방목 시 흑염소의 일당 증체량은 42.8~59.8 g/day의 결과를 나타낸 연구(Hwangbo, 2008)와 방목 사육 시 생후 7개월 령의 수컷 흑염소의 일당 증체량은 50.6 g/day로 나타났다는 연구(Hwangbo, 2014)와 비교하여 비슷 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외국종인 보아종과 보아 교배종 의 일당증체량 127~174g (Dhanda et al., 2003)에 크게 못 미치며 동일 흑염소의 경우에도 TMR 급여에 의한 집약사 육 시의 일당증체량 120g (Moon, 2016)에도 훨씬 못 미치 는 생산성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염소의 증체가 품종, 성별, 성장 단계 및 사양 방법에 따라 차이가 나기 때문인 것으 로 사료된다(Hwang bo, 2014). 따라서 국내 재래종인 흑염 소는 외국종에 비해 생산성이 낮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량과 더불어 체계적인 사양관리 시스템의 정착이 시급한 상황이다.

    방목 중인 흑염소의 일당 증체량은 시험 기간 동안 6월 이 99.5±6.4g/d로 가장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5월이 가장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p< 0.05). 실험 개시 후 5월은 방목 적응기로서 체중이 낮은 경향이 있었으며 이후부터 적응이 되어 섭취량도 증가하여 안정적인 증체량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였다. 일반적으로 흑염소는 강건한 체질이지만 방목지에 입식하여 적응 기간 에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당 증체량 은 8월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건물 채 식량의 저하와 초지 생산성의 감소 등의 환경 조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증체량이 예상치 이하로 저하될 경우나 사초 건물수량이 낮을 경우에는 추가적인 보충 사료의 급 여를 통해 조절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흑염소 적정 방목 강도 설정

    혼파 산지초지의 월별 건물수량과 흑염소의 채식량을 기 준으로 계산한 월별 적정 방목강도는 Table 2에서 보는 바 와 같다. 산지 초지의 사초 건물 수량은 봄철(1,718.67± 207.47kg/ha)에 가장 높았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건물 섭취량은 체중이 증가할수록 증가 하며, 5월에 678.4g/d에서 10월에 1,076.1g/d로 증가하였다. Hwangbo (2007)는 대조구인 개량 목초구의 경우 건물 섭취 량은 584.4g/d, 시험구의 경우 각각 346.1~549.2와 324.2~ 492.9g으로 개량 목초구에 비하여 산야초구와 수엽류구가 낮게 나타났다는 연구의 결과와 다소 계절에 따른 건물 섭 취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이는 흑염소의 체중과 지속적인 방목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단기간의 결과 를 직접 비교하기 어려울 것으로 여겨지며, 연중 방목 시 방목이 진행됨에 따라 사초 생산성은 저하되나 흑염소의 건물 채식량은 증가하기 때문에 월별 방목 적정 두수의 조 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manda (2006)는 초지의 단위 면적 당 적정 방목 두수 계산 시 가축에 의한 이용율 의 한계에 따라 약 80%의 이용율을 방목 강도 계산 시 고 려할 필요성을 제기하였으며, 이를 감안하여 사초 생산성 과 흑염소의 건물 섭취량을 기준으로 적정 방목 두수를 계 산하면 5월이 65두/ha로 가장 높으며 이후 사초 생산성 저 하와 건물 섭취량의 증가에 따라 방목 가능 두수가 감소하 였다. 본 실험 기간 동안의 평균 방목 강도는 39두/ha이며 월별로 이를 초과하거나 부족할 시 보충 사료의 가감을 통 하여 조정해 나갈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산지 초지에서 육성 흑염소를 방목 시에는 평균 방목 강도 39두/ha를 기준으로 사초 생산성이 높은 봄철에는 사초의 과잉 생산이 되므로 보충 사료의 급여 수 준을 낮추며, 8월 이후 사초 생산성이 낮은 경우에는 부족 한 사초를 보충 사료의 급여 수준의 향상으로 조절하며 적 정 방목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Ⅳ.요 약

    본 연구는 산지초지에서 흑염소 방목 시 건물 채식량과 사초 생산량의 분석을 통해 적정 방목 강도와 초지 건물 수량 및 일당증체량의 계절별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산지 초지 활용성 제고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공시가축은 평균 23.33±2.15kg의 4개월 령 거세 흑 염소 10두였다. 보충사료의 급여수준은 체중 1%로 고정 급여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지 초지를 이용한 흑염소 방목지의 경우 계절별 사료 가치는 대부분 비교적 안정적 으로 유지되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10월에(22.71± 0.25%) 가장 높았으며, 월별 조단백질 함량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 가 인정되었다(p<0.05). 방목지의 사초 건물수량의 경우, 5 월~6월에(1,718.7±207.5-1,672.0±422.8kg/ha) 가장 높은 수 량을 보였으나 여름철 하고현상으로 인해 7월(1,356.0± 103.8kg/ha)에 생산성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계절별에 따른 흑염소 방목 시 일당 증체량은 실험 기간 중 6월에 99.5±6.4d/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연 중 방목 시 월별 사초 생산성은 변동이 있으나, 흑염소의 건물 채식량은 성장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에 월별 방목 적 정 두수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계절별 방목 강도 설정은 초지의 계절별 생산성과 채식량을 기준으로 분석되었으며, 5월(65두/ha)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본 실험 기간 동안의 평균 방목 강도는 39두/ha이며 계절별로 이를 초과하거나 부족할 시 보충 사료의 가감을 통하여 적 정 방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Ⅴ.사 사

    Ⅴ.

    이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10229)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Figure

    KGFS-36-109_F1.gif

    Seasonal change in chemical compositions at mountainous pasture grazed by Korean native goats.

    KGFS-36-109_F2.gif

    Seasonal change in dry matter yield of forage at mountainous pasture grazed by Korean native goats.

    KGFS-36-109_F3.gif

    Seasonal change in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of Korean native goats grazed at mountainous pasture.

    Table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upplementary concentrate

    Estimated grazing intensity (head/ha) per ha as affected by forage productivity and dry matter intake

    Reference

    1. Amanda H (2006) Doing the Math : Calculating a Sustainable Stocking Rate, ND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Central Grasslands Research Extension Center,
    2.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ssociation of Offical Analytical Chemists,
    3. Chae HS , Kim NY , Woo JH , Back KS , Lee WS , Kim SH , Hwang KJ , Park SH , Park NG (2015) Changes of Nutritive Value and Productivity According to Stockpiled Period in Mixed Orchardgrass-Tall Fescue Pasture of Jeju Region , J. Korean Grassi. Sci, Vol.35 ; pp.93-98
    4. Choi GJ (2013) A suggestion for promotion of sustainable mountainous pasture , http://www.korea.kr/policy/pressReleaseView.do?newsId=155888942,
    5. Dhanda JS , Taylor DG , Murray PJ (2003) Part 1 Growth, carcass and meat quality parameters of male goats: effects of genotype and liveweight at slaughter , Small Rumin. Res, Vol.50 ; pp.57-66
    6. Devendra C , Burns M (1983) Goat production in the tropics, Commonwealth Agricultural Bureaux,
    7.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 Biometrics, Vol.11 ; pp.1-42
    8. Gihad EA , El-Bedawy TM , Mehrez AZ (1980) Fiber digestibility by goats and sheep , J. Dairy Sci, Vol.63 ; pp.1701-1706
    9. Georing HK , Van Soest PJ (1970) Forage fiber analysis,
    10. Hwangbo S , Choi SH , Kim SW , Kim WH , Son DS , Jo IH (2008) Effects of dietary concentrate levels based on whole-crop barley silage on growth and meat quality in growing Korean black goats , J. Anim. Sci. & Technol. (Kor), Vol.50 ; pp.527-534
    11. Hwangbo S , Choi SH , Kim SW , Kim YK , Sang BD , Kwon DJ , Jo IH , Choi JG (2007) Effects of Hilly Pasture types on performances and nutrient availability in breeding Korean Black Goats , J. Korean Grassi. Sci, Vol.27 ; pp.57-66
    12. Hwangbo S (2014) Effects of the Grazing and Barn Feeding System on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J. Agriculture. & Sci, Vol.48 ; pp.123-131
    13. Jung GW , Jo IH , Hwangbo S , Lee SH , Song HB (2008) Effects of different feeding systems on nutrient availbility, nitrogen retention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native or crossbred Korean black goats , J. Korean Grassl. Sci, Vol.28 ; pp.341-350
    14. Kim SW , Yoon SH , Kim JH , Ko YG , Kim DH , Kang GH , Kim YS , Lee SM , Suh SW (2012) Effects of feeding levels of concentrate on the growth, carcass characteristics and economic evaluation in feeds basde on Rice- straw of Korean Black Goats , J. Korean Grassi. Sci, Vol.32 ; pp.429-436
    15. Kim SC , Keith M (1983) Comparison of some methodologies for vegetation analysis in transplated rice , Korean Crop Sci, Vol.28 ; pp.310-318
    16. Lee SK (1992) Natural Grassland in Korea , J. Korean Grassl. Sci, Vol.12 ; pp.48-55
    17. Moon SH (2016) Development of utilization technique on grazing for black goat and deer , Annual Research Report. RDA, ; pp.1-47
    18. Moon SH , Kim SW , Choi GJ , Jang SY , Park JH , Jeon BT , Kim MH , Oh MR (2015) Current status of forage use on the goat farming in mountainous pasture , J. Korean Grassl. Sci, Vol.35 ; pp.112-118
    19. SAS (2008)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Inc,
    20. Song HB , Jo IH , Jun MJ , Park YK , Hong KC , Park NC , DO JC , Lim HS (1999) Study on the increasing method of income in the goat farmers, Daegu Univ. Press, ; pp.47-50
    21. Song HB (2003) Reproduction traits in the Korean native goat Doe , Korean J. Animal Reprod, Vol.27 ; pp.287-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