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서 론
우리나라에서 일부 보리는 기존의 식량작물의 개념에서 벗어나 이용목적이 조사료인 청보리라는 용어로 재탄생하 였다. 청보리는 수입조사료에 비하여 사료가치가 우수하면 서 가격이 저렴하여 대외경쟁력이 높고, 종실뿐만 아니라 잎과 줄기를 포함하고 있어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합사료의 대체효과가 크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Kim et al., 2007b; Seo et al., 2007). 따라서 2000년 이후 보리를 조사료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 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총체 조사료용 보리를 ‘청보리’라는 이름으로 개칭하여 품종개발을 본격화하였다.
청보리 품종은 일반 곡실용 보리에 비해 조사료 수량이 평균 30% 이상 많은 ‘영양’, ‘선우’ (2002), ‘상원’ (2004), ‘소만’ (2006), ‘영한’ (2008) 등이 개발되었는데, 이 중 ‘소 만’과 ‘영한’은 조숙종으로서 조사료 수량이 많으면서 중부 지방의 이모작용으로도 적합하다. 또한, 가축의 기호성 증 진을 위하여 망의 거치를 없애 매끄럽게 개선한 ‘우호’ (2005), 까락이 퇴화하여 가축이 섭식하기 좋도록 개발한 삼차망 ‘유연’ (2006), 잎귀가 없어 줄기가 부드럽고 밀식에 적합한 ‘다미’ (2007), ‘조미’ (2010), 그리고 ‘유연’의 탈립성 을 개선한 ‘유호’ (2008)를 육성하였다(Choi et al., 2007ab; Kim et al., 2007a; Park et al., 2008; Park et al., 2009).
국립식량과학원에서는 내한성, 도복 및 보리호위축병 등 의 내병, 내재해성이면서 후기까지 녹색이 유지되고 잎 비 율이 높아 사료가치가 우수한 청보리 신품종 ‘녹양’을 육 성하여 그 경위와 주요 특성을 보고하는 바이다.
II.재료 및 방법
1.육성경위
청보리 신품종 ‘녹양’은 한해 및 도복에 강하며 보리호 위축병에 저항성이면서 수량이 많고 품질이 우수한 조사료 용 청보리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육성되었다. 계통은 Fig. 1과 같이 2001년에 낙영을 모본, SB77368-B-145계통을 부 본으로 교배된 잡종세대인 ‘SB01T2017’에서 육성되었다. 여기서 선발된 SB01T2017-B-B-1-2계통에 대하여 2007년부 터 2009년까지 관찰시험, 생산력검정 예비시험 및 본시험 을 수행한 결과 특성이 우수하여 ‘익산457호’로 계통명을 부여하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전국의 6개소에서 지역적 응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역적응시험결과 ‘익산457호’는 기존품종인 ‘영양’보리 의 총체 수량성이 개선되고 성숙후기까지 녹체성이 우수한 특성이 인정되어 2012년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심의 회에서 ‘녹양’으로 명명되었다.
2.시험방법
지역적응시험은 경기 수원 전작 1개소, 전북 익산, 충북 청원, 충남 예산, 대구, 경남 진주 등 답리작 5개소에서 실 시되었다. 파종기는 수원이 10월 상순, 청원, 예산이 10월 중순, 그리고 대구, 진주, 익산이 10월 하순이었다. 파종방 법(휴폭×파폭×휴장×열수)은 전작이 25 cm × 5 cm × 6 m × 6열, 답리작이 150 cm × 120 cm × 6 m × 1열로 하였고, 파 종량은 전작이 18 kg/10a, 답리작이 22 kg/10a으로 하였다. 시비량은 진단시비로 일반보리 표준시비량의 30%를 증비 하였고, 질소질비료의 밑거름과 웃거름 비율은 수원이 60 : 40%, 청원, 예산, 대구가 50 : 50%, 그리고 익산과 진주가 40 : 60%로 나누어 시용하였으며, 인산과 가리는 전량 밑거 름으로만 시용하였다. 수확은 황숙기 초기에 실시하였는데, 생초수량은 전체구를 예취하여 ha당 수량으로 환산하였으 며, 건물수량은 각 품종별로 생초수량을 칭량 후 1 kg을 취 하여 70℃에서 60시간 건조 후 건물률을 산출, 생초수량을 곱하여 ha당 수량으로 환산하였고, 4℃ 저온 저장고에 보관 하여 조사료 분석용 시료로 이용하였다. 기타 생육관리는 농촌진흥청 표준재배법에 준하였고, 생육, 수량특성, 내한 성 및 병충해 저항성 등 특성검정은 농진청 신품종개발 공 동연구사업 수행계획서 조사기준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조 사료 품질평가에서 조단백질은 AOAC법(1995)으로, NDF (neutral detergent fiber)와 ADF (acid detergent fiber)는 Goering과 Van Soest (1970)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TDN 함 량은 88.9-(0.79 × %ADF)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Holland, 1990).
III.결과 및 고찰
1.고유특성
청보리 신품종 ‘녹양’의 고유특성은 Table 1과 같다. ‘녹 양’은 파성이 III이고, 잎이 담녹색이면서 넓은 편이다. 월 동직후 생장습성은 반포복으로 대비품종인 반직립형의 ‘영 양’과 차이가 있으며, 줄기, 까락, 탈립성은 ‘영양’과 같이 장간형, 일반망이면서 내탈립성이다. 또한 ‘녹양’은 ‘영양’ 에 비해 포장에서 잎과 줄기가 푸른 상태를 길게 유지하는 후기녹체성을 보였다(자료 미제시).
2.가변특성
‘녹양’의 농업적 특성은 Table 2에서와 같이 초장이 104 cm로써 대비품종인 ‘영양’의 94 cm 보다 10 cm가 큰 장간 이다. 엽신비율은 ‘녹양’이 15.8%로 14.7%인 ‘영양’ 보다 높았지만, 이삭비율은 51.1%로 ‘영양’보다 6.2% 낮았다. ‘녹양’의 출수기는 전작에서 5월 10일로 ‘영양’보다 6일 늦 고, 답리작에서는 평균 5월 5일로 4일 늦었다. 지역별로는 중부 및 충청지역인 수원, 청원 및 예산에서 5월 5일∼12 일로 다소 늦은 경향이었고, 남부지역인 익산, 대구 및 진 주 지역에서 5월 3일~5월 7일로 빠른 경향을 보였다. 성 숙기는 전작재배에서 6월 7일, 답리작에서는 6월 3일로 ‘영양’보다 3일 늦었다.3
3.내재해성 및 내병성
신품종 ‘녹양’의 내재해성과 내병성은 Table 4와 같다. ‘녹양’은 대비품종인 ‘영양’보다 추위와 도복에 강한 편이 었다. 보리호위축병은 ‘영양’이 익산(III형)에서 중도저항성, 나주(I형)와 진주(IV형)에서 저항성을 보인데 반해 ‘녹양’ 은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흰가루병 은 감수성을 나타내어 향후 개선이 필요한 특성으로 판단 되었다.
4.조사료 생산성
생산력검정시험에서 ‘녹양’의 건물수량은 Table 5에서 보 는 바와 같이 14.0톤/ha으로 11.5톤/ha을 나타낸 대비품종 ‘영양’에 비하여 22% 증수하였다. 또한 3년간 실시한 지역 적응시험에서는 수원의 전작 1개소와 청원, 예산, 익산, 대 구, 진주 등 답리작 5개소의 평균 건물수량은 Table 6에서 와 같이 전작에서 평균 12.8톤/ha으로 표준품종인 ‘영양’에 비하여 7%, 답리작에서는 평균 11.5톤/ha으로 ‘영양’에 비 해 2% 정도 많았다.
5.품질특성
청보리의 수확시기인 황숙기 초기에 조사한 ‘녹양’의 탈 립성 및 조사료 품질특성은 Table 7과 같다. 사일리지용으 로 청보리를 수확할 때 발생하는 이삭의 곡실 탈립 정도는 ‘영양’과 신품종 ‘녹양’ 두 품종 모두 거의 곡실이 탈립이 되지 않는 내탈립성이었다. 사일리지 조단백질 함량은 7.2 %, ADF 및 TDN 함량은 각각 25.9%와 68.5%로 ‘영양’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TDN 수량 또한 8톤/ha으로 대등하 였다. 사일리지 품질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6.적응지역 및 재배상 유의점
‘녹양’의 적응지역은 Fig. 2와 같이 1월 최저평균기온 -8 ℃ 이상인 지역으로 북부산간내륙지방을 제외한 지역이다. 흰가루병에 약하므로 상습발병지에서는 재배를 피하고 만 파 시에는 파종량을 늘려서 파종하여 개체수를 확보하여 야 한다.
IV.요 약
청보리 신품종 ‘녹양’은 총체생산성이 높고 생육후기 녹체성이 우수하며, 도복에 강하고 보리호위축병에 저항성 인 품종이다. 이 품종은 2001년 ‘낙영’을 모본, 육성계통인 ‘SB77368-B-145’를 부본으로 교배하여 선발된 ‘SB01T2017- B-B-1-2’ 계통을 2007년~2012년까지 관찰시험, 생산력검정 시험과 지역적응시험을 거쳐 2012년에 육성되었다. ‘녹양’ 은 반포복 초형으로 파성이 III 정도이며, 잎은 담녹색이면 서 넓고, 줄기 굵기는 중간 정도이며, 이삭은 길고 까락은 일반망이다. ‘녹양’은 잎과 줄기의 후기녹체성이 ‘영양’에 비해 오래 지속되었다. ‘녹양’의 초장은 104 cm로 대비품종 인 ‘영양’에 비해 장간형이고, 평균 출수기와 성숙기는 각 각 5월 6일과 6월 4일로 ‘영양’보다 늦었다. ‘녹양’은 ‘영 양’보다 추위와 도복에 강하였고, 보리호위축병에 대하여 익산(III형), 나주(I형), 진주(IV) 등 모든 지역에서 저항성 을 보였다. ‘녹양’의 평균 건물수량은 전작에서 12.8톤/ha, 답리작에서 11.5톤/ha으로 영양’에 비하여 각각 7%, 2% 증수하였다. ‘녹양’과 ‘영양’ 모두 황숙기에 곡실의 탈립 정 도가 매우 낮았고, 조사료 품질은 조단백질 함량 7.2%, ADF 25.9%, TDN 68.5%로 ‘영양’과 대등하였고, 젖산함량 도 3.36%로 3.04%인 ‘영양’과 비슷하였으며, 사일리지 등 급은 2등급으로 양호하였다.
V.사 사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연구사업(과제번호 PJ006549)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