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서 론
옥수수(Zea mays L.)는 식용 및 공업용뿐만 아니라 품질 이 우수한 가축의 사료로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 는 곡류이다. 옥수수는 가소화양분 및 비타민 A가 풍부하 여 가축의 발육과 번식에 이로우며 전분질이 풍부한 사료 로서 조섬유함량은 1%에 지나지 않아 소화가 잘 되는 작 물이다. 우리나라는 매년 900만 톤의 옥수수를 미국, 브라 질, 아르헨티나 등으로부터 수입하고 있으며 그 중 70% 이상을 소, 돼지, 닭 등 가축의 사료로 소비하고 있다. 최 근 옥수수 국제가격 상승이 축산농가의 사료비 부담을 가 증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진흥 청에서는 축산경영인들에게 사료비 절감을 위해 사료용 옥 수수 등 사료작물 재배를 적극 권장하고 있으며 수입종보 다 종자가격이 낮으면서 수량 및 품질이 우수한 광평옥 (Moon et al., 2001; Son et al., 2006b; Son et al., 2009), 강다옥(Son et al., 2006a) 등의 품종을 지속적으로 개발 공 급함으로써 축산 농가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그러나 국내산 옥수수 가격이 수입 사료용 옥수수에 비해 1.5배 정도 높기 때문에 대외 가격경쟁력이 낮아 종실 사료용 옥 수수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 사료곡물 자급률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다수성 종실 사료용 옥수수를 육성하고 다수확 재배기술을 개발하 여 옥수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다. 장다옥(Son et al., 2004), 다평옥 및 안다옥(Son et al., 2013) 등이 다수성 종 실 사료용으로 육성된 품종으로 이삭이 크고 종실 수량이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된 신광옥은 착수고가 낮아 쓰러짐에 강하며 출사일수가 장다옥과 비슷 하고 100주당 이삭수가 많은 단교잡종으로서 기존 품종들 보다 우수하여 2012 직무육성 신품종 선정위원회에서 우량 신품종으로 선정되었기에 이에 대한 육성경위와 주요 생육 특성 및 수량성을 보고하고자 한다.
II.재료 및 방법
본 연구는 내도복, 다수성 사료용 종실 옥수수로 개발된 신품종 신광옥의 주요 생육특성과 생산성을 알아보고자 2010~2012년까지 3년간 수원, 홍천, 대구 등 3개 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신광옥의 교잡 모본인 KS172는 1999년에 수 집한 교잡종을 6세대에 걸쳐 자식(selfing)시켜 계통으로 육 성한 것이며 부본인 KS173은 2000년에 수집한 교잡종을 6 세대에 걸쳐 자식(selfing)시켜 계통으로 육성한 것이다. 신 광옥은 2007년에 육성된 자식계통 KS172를 종자친(모본)으 로 하고 자식계통 KS173을 화분친(부본)으로 하여 교잡된 단교잡종이다. 신광옥은 2008~2009년 2년 동안 생산력검정 시험을 거쳐 2010~2012년 3년 동안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 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그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2 농 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어 ‘신광옥’으로 명명하였 다(Fig. 1).
1.고유특성조사
수염색은 안토시아닌의 색소 표현정도에 따라 구분하였 으며, 종피색은 립의 등 부위색의 표현정도에 따라 구분하 였다. 출사일수는 파종기부터 출사기까지 일수를 계산하였 다. 간장은 지면에서 웅수목까지의 길이를 측정하였고 착 수고는 지면으로부터 최상단 암이삭이 달린 마디까지의 높 이를 측정하였다. 도복의 조사범위는 1~9로 우수한 것을 1, 불량한 것을 9로 표시하였다. 깨씨무늬병(Bipolaris maydis), 그을음무늬병(Exserohilum turcicum)의 조사범위는 0~9로 저항성은 0, 불량한 것을 9로 표시하였다. 검은줄오 갈병(BSDV), 이삭썩음병, 조명나방(Corn borer : Ostrina furnacalis)은 자연발생조건에서 조사하였다. 종실수량은 구 당 4열 가운데 2줄의 이삭을 수확하여 산출하였다.
2.지역적응성 시험
신광옥의 지역적응시험을 위해 종실용 옥수수인 장다옥 을 대비품종으로 선정하였는데 장다옥은 Son 등(2004)이 2003년 육성한 단교잡종으로 이삭길이가 수원19호보다 길 고 종실수량이 많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시비는 N-P2O5- K2O = 174-30-69 kg/ha로 그중 ha당 질소(N) 87 kg, 인산 (P2O5) 30 kg, 칼리(K2O) 69 kg을 기비로 파종 전에 시용하 였고, 파종 후 본엽 7~8엽기에 질소(N) 87 kg를 추비로 주 었다. 퇴비는 ha당 15톤을 시용하였다. 파종은 수원에서 4 월 22일, 홍천에서 4월 30일, 대구에서 4월 20일에 각각 재식밀도 60 × 30 cm(55,000본/ha)로 하였으며, 2립씩 심어 3~4엽기에 1주에 1개체만 남기고 솎아 주었다. 시험구는 난괴법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통계처리는 SAS프로그램(V. 9.1)의 PROC ANOVA procedure를 이용하여 최소유의차검 정법(Least Significant Difference Test, LSDT)를 통해 평균 값을 5% 유의수준에서 비교하였다.
III.결과 및 고찰
1.고유특성
신광옥의 수염색은 자색인 반면 대비품종인 장다옥은 담 녹색이고 종피색은 황오렌지색이며 립질은 중간종이다 (Table 1). 신광옥의 출사일수는 76일로 장다옥의 79일과 비슷하다. 신광옥의 간장은 244 cm로 장다옥의 247 cm와 비슷하지만 착수고율은 45%로 장다옥의 49% 보다 낮으며 도복은 1.7로 장다옥 정도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광옥 의 100주당 이삭수는 93개로 장다옥의 76개 보다 많으나 이삭길이는 18 cm로 장다옥의 20 cm와 비슷하다. 신광옥의 100립중은 32.7g으로 장다옥의 29.5 g과 비슷하다(Table 2). 신광옥의 깨씨무늬병(Bipolaris maydis) 저항성이 3.7로 중 강이고, 그을음무늬병(Exserohilum turcicum) 저항성은 0.3 으로 강한 편이다. 검은줄오갈병(BSDV), 이삭썩음병 및 조 명나방 저항성은 중 정도를 보인다(Table 3).
2.수량성
사료용 옥수수 신광옥(수원 185호)의 생산력검정시험을 2008~2009년 2년간 수원에서 실시하였다. 신광옥의 종실수 량이 11.79톤/ha로 9.49톤/ha의 장다옥 보다 24% 많았다 (Table 4).
사료용 옥수수 지역적응시험을 2010~2012년까지 수원, 홍천, 대구 등 3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신광옥의 종실수량은 3년간 3지역 평균 7.81 톤/ha로 장다옥의 6.76 톤/ha에 비해 16%가 많았으나 품종간 유의성은 없었다(Table 5). 지역적 으로 볼 때 신광옥은 장다옥에 비해 수원에서 15%, 홍천 에서 16%, 대구에서 16% 정도 종실수량이 많았다. 2011년 신광옥(5.93톤/ha), 장다옥(3.79톤/ha) 모두 종실수량이 2010 년과 2012년에 비해 낮았는데 이는 전국적으로 개화시기에 잦은 강우와 일사량이 적은 날이 계속되어 일사량의 부족 으로 암이삭의 비대가 나빴고 수염추출이 불량하여 불임 암이삭이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신광옥은 장다옥보다 생육 특성이 우수한 경향이었고, 재배 안정성이 높으며 유의적 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생산성이 우수하여 광범한 지 역적응성을 나타내는 종실 옥수수 품종으로 생각된다.
신광옥은 1대 단교잡종 옥수수로 해마다 교잡하여 종자 를 채종해야 한다. 채종할 때 채종지역의 기상, 토양 등에 따라 지역간 종자친(모본)과 화분친(부본)의 개화기 차이가 나타나므로 현재 보급종을 생산하는 강원도 영월지역에서 채종 안정성을 검토하였는데 2012년 모 ∙ 부본 재식비율을 2 : 1과 4 : 1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 시험을 한 결과 임실률 은 2 : 1에서 94%, 4 : 1에서 91%였다. 신광옥 종자친의 출 사기와 화분친의 화분 비산기간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 으며, 4 : 1 재식비율에서 채종수량이 3.84 톤/ha으로 2 : 1 재식비율에서 채종수량 3톤/ha 보다 더 많았다(Table 6). 신 광옥은 화분친의 능력이 충분하여 2 : 1 재식비율보다 4 : 1 재식비율에서 채종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광옥은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지만 검은줄오갈병에 대한 저항성이 중정도이므로 남부평야지의 검은줄오갈병이 많이 발생되는 지역(Lee et al., 1987; Lee et al., 1988)에서 는 재배를 피하고, 4월 중 ∙ 하순경 토양수분이 충분할 때 파종하며 검은줄오갈병 매개체인 애멸구 발생시기를 피하 여야 한다. 신광옥은 1대 교잡종이므로 매년 생산된 종자 를 이용해야 한다.
IV.요 약
신광옥은 다수성 사료용 옥수수 품종 개발을 목표로 2012년에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자식계통 KS172 과 KS173을 교잡하여 육성한 다수성 단교잡종이다. 신광옥 의 종피색은 황오렌지색이며 입질은 중간종이다. 신광옥은 2008~2009년 동안 생산력검정시험을 거쳐 2010~2012년까 지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수성 이 인정되어 2012 농작물 직무육성 신품종으로 결정되었고 신광옥으로 명명하였다. 신광옥의 출사일수는 대비품종인 장다옥과 비슷하다. 간장은 장다옥과 비슷하나 착수고율은 장다옥보다 낮고 도복은 장다옥과 비슷한 정도로 강하다. 100주당 이삭은 장다옥보다 17개 더 많고 이삭길이는 장다 옥과 비슷하며, 100립중은 장다옥과 비슷하다. 깨씨무늬병 저항성은 중강이며, 그을음무늬병에는 강한 편이다. 검은줄 오갈병, 이삭썩음병 및 조명나방 저항성은 중 정도이다. 신 광옥의 종실수량은 7.8 톤/ha로 장다옥과 비슷하다. 4 : 1(모 본 : 부본) 재식비율로 동시 파종하여 채종 시험한 결과 종 자친(모본) 출사기와 화분친(부본) 화분비산기간이 일치하 였으며 채종수량은 3.84 톤/ha이었다. 신광옥은 전국적으로 재배가 가능하다.